논단

궁궐(宮闕) 건물의 서열

궁궐(宮闕) 건물의 서열

 

의식주(衣食住)의 하나인 우리말 <두시언해>에 초간본의 ()’이나, 중간본의 ()’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집을 짓다라고 할 때의 동사 짓다()’손짓’, ‘몸짓이라 할 때의 의 조어형(祖語形)(行動)’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집을 뜻하는 한자는 30여 자나 될 정도로 매우 다양하다. 궁궐(宮闕)을 중심으로 사삿집에 이르기까지 문자학의 분석 요소인 형음의(形音義)’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과 궐()

궁궐(宮闕)은 궁()과 궐()로 구분되는데, ()은 임금의 사적인 공간을 뜻하고 궐()은 공적인 공간을 나타낸다. 경복궁을 예로 들면, 임금의 거처인 강녕전이나 왕비의 침소인 교태전은 궁()이고 문무백관이 문안을 드리던 정전(正殿, 勤政殿)이나, 국정을 논하기도 했던 장소인 편전(便殿 : 사정전, 만춘전, 천추전)은 궐()에 해당한다.

(집 궁; gōng)’자는 집 면()’에서 출발한다. ‘향할 향()’자는 창이 하나이지만 ()’은 창이 두 개인 집에서 출발하여 다시 이 여러 개인 집으로, 또다시 宮殿, 宮闕의 의미로 변화 확대되었다. (대궐 궐; quē,què) 안의 글자는 빠질 결()’이 변한 것으로 텅 빈 집의 의미에서 대궐(大闕)’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과 어울려 궁궐(宮闕)’이라는 단어를 만들고, ‘임금이 거처하는 집. 대궐(大闕). 궁전(宮殿). 금중(禁中). 궁금(宮禁). 궁정(宮庭)’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궁금(宮禁)’이라는 단어를 보면 금할 금()’자가 붙어있어서 매우 궁금해 진다.

조선의 5대 궁궐로는 경복궁(景福宮), 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덕수궁(德壽宮), 경희궁(慶熙宮) 등이 있다. 각 궁의 위치에 따라 법궁/정궁(중심 궁궐)인 경복궁을 '북궐', 창덕궁·창경궁을 '동궐', 경희궁을 '서궐'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2. (殿)과 당()

(殿)은 왕이 주로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건물로, 궁궐 건물 중에서 가장 격이 높고 규모가 큰 건물로 왕과 왕비 등 왕의 직계가족이 모여 사는 공간이다. 반드시 높은 기단(基壇) 위에 세워지고 네모반듯한 평면 위에 지붕의 형태는 팔작(八作)지붕으로 되어 있다. ‘팔작집맞배집과 달리 건물의 전후좌우 어느 쪽에서 봐도 지붕이 ()’자로 보인다. 殿(diàn)(번개 전; ; diàn), (제사 지낼 전; diàn), (꼭대기 전; diān) 등과 발음이 같거나 유사하며 의미도 상통한다.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