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匕不是匕·毛是什麽

匕不是匕·毛是什麽

도정문자연구소

 

疑(의심할 의; ⽦-총14획; yí): 갑골문에서 지팡이를 짚은 사람이 길[彳]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서 두리번거리는 모습이다. 여기에서 ‘疑心하다’의 뜻이 나왔다. 소전에 오면 ①두리번거리는 머리는 匕로 ②노인의 몸은 矢(shǐ)로 바뀌었다. 이는 발음을 돕기 위해서다. ③놀랍게도 오른쪽의 길[彳]은 헷갈리는 갈래 길[丫]로 바뀌었다가 다시 ④어디로 갈지 모르는 ‘아이의 발’(子+止[발])로 잘못 바뀌었다. 예서에 오면 오른쪽은 다시 ‘아이 머리+疋(발 소)’로 둔갑하여 지금의 어려운 모습으로 정착된다. 疑問, 疑心, 質疑, 嫌疑, 疑人勿使使人勿疑.

*疋匹: 疋(필 필{발 소}; ⽦-총5획; pǐ,yǎ,shū)는 ‘발 소’이기도 하지만, 피륙을 세는 단위 ‘필 필’로 쓰이기도 한다. 1疋(약 30尺, 옷 한 벌 감). 소나 말과 같은 동물을 세는 단위도 발음이 같은 匹(필 필; ⼖-총4획; pǐ)이다.

*寸尺尋: ‘자’[尺] = ‘10치’[寸, 3.03cm]. 노끈의 길이나 물의 깊이 등을 재는 단위인 ‘발’은 한자로 ‘尋’(xún) 자를 쓰는데, 이 글자는 左右의 두 팔을 벌려 헤아리는[寸] 모습 그대로이다. 1尋은 6尺이다.

*1959년, 미국과 영국연방의 국가들은 국제 표준 yard 길이를 정확하게 0.9144m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yard의 1/3인 feet(약자 ft.)는 30.48cm이 되고, 다시 feet의 1/12인 inch(약자 in.)는 2.54cm가 된다. 결론적으로 ‘1yard =3ft =36in.’이다. feet는 사람의 발 크기로 길이를 측정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참고로 cubic(약자 cu.)은 ‘立方의’ ‘三乘의’ ‘세제곱〔3차〕의’ 뜻이다. ‘a cubic foot’는 ‘입방 피트’. 나아가 ‘cc.’는 ‘cubic centimeter(s)’의 약자로 부피 단위이며 기호는 ‘㎤(세제곱센티미터)’로 쓴다. 예컨대 1cu.in.라 하면 2.54×2.54×2.54=16.387064cc가 된다. 여행 중에 ‘lbs’도 자주 접하는데, 이는 pound(약자 lb.)의 복수로 무게 단위이다. 파운드를 한자로는 磅(돌 떨어지는 소리 방; bàng,pāng)이라 한다. ①야드파운드법의 무게 단위《1파운드는 16온스, 약 453.6g. 기호는 lb, 복수는 lbs. 금형(金衡)(troy)으로 1파운드는 12온스, 약 373g이다.》. ②영국의 화폐 단위《1파운드는 100펜스. 기호:£, L》. 

 

 

길이

치(寸, 1/10자) / 자(尺) / 발(尋또는 間 =6자, 1.8182m) / 町(60간) / 里(6정, 약 0.4km)

넓이

坪,間(제곱의 단위, 6자 제곱(二乘) / 段步(300평) / 町步(3000평)

부피

홉(合, 1/10되) / 되(升) / 말(斗, 10되) / 섬(石, 10말)

무게

푼(分, 1/10돈) / 돈(錢, 1/10냥, 3.75g) / 냥(兩, 1/16근) / 斤 / 貫(100냥 또는 6.25근, 약 3.75kg)

 

우리말 ‘칸’은 間에서 왔으며, 지금은 주로 방의 수를 헤아릴 때 사용하나, 원래는 길이와 넓이 단위로 두루 쓰였다.

 

老(늙을 로; lǎo): 갑골문을 보면 疑 자와 비슷하다. 노인이 되면 이것저것 의문과 생각이 많아진다. 긴 머리칼, 굽은 몸, 지팡이를 잡은 손 등이 잘 나타나 있다. 금문에 오면 지팡이가 匕로 변했다. 이는 化(될 화)의 생략형으로 몸이 변했다는 의미이다. 이것이 소전에 오면 지팡이는 사라지고 ‘머리카락[毛]의 색깔이 변하여[匕] 앞뒤로 휘날리는 모습’으로 바뀐다. 노인은 경험이 많아 ‘老鍊하다, 老宿하다’의 의미가 나온다. 

 

考(상고할 고; ⽼-총6획; kǎo): ‘老+丂’. ‘丂’(기교 교, 巧의 본자) 자는 발음을 돕기도 하지만, ‘들을 두루 살피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깊은 생각, 깊이 헤아리다’ 등의 의미가 나온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잊지 말라는 뜻에서 先考(↔先妣)를 뜻하기도 한다. 老馬之智, 思考能力, 考慮, 考試.

孝(효도 효; ⼦-총7획; xiào): ‘老+子’.

 

毛(털 모; máo) 금문에 처음 나타나는 毛 자는 ‘흩어진 털’의 모양이다. ‘작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耗(줄 모; ⽾-총10획; hào) ‘쓸데없이 시간과 정력을 消耗(소모)한다.’라고 할 때의 耗 자는 원래 ‘수확한 곡식이 생각보다 적다’라는 뜻에서 ‘禾’ 자를 붙였는데, 나중에 ‘쟁기질[耒]을 덜하면 수확이 줄어든다.’라는 교훈을 살리기 위해 ‘耒’ 자로 바꾸었다. 消耗. bearing이 磨耗되다.

氈(모전 전; ⽑-총17획; zhān) ‘亶+毛’. 亶(믿음 단; dǎn,dàn)의 아래에 旦(아침 단; dàn)이 음을 돕고 있다. 祭壇 앞에 깔아놓은 毛氈이다. 絨緞, 洋탄자, carpet 등과 비슷한 뜻이다.

 

 

 

 

 

求(구할 구; ⽔-총7획; qiú): 衣 자에 털이 숭숭 달린 모습을 보면 분명 털옷이다. 어린양의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든 toscana, 작은 야생말(駒, 망아지 구; jū) 가죽으로 만든 mustang. 이는 모든 사람이 追求, 要求하는 것이므로 ‘구하다’의 뜻으로 쓰이자, 본뜻을 살리기 위해 裘(갖옷 구, 毛衣) 자를 새로 만들었다. 裘가 싸고 있는 것도 軀(몸 구; qū)이다. 體軀, 老軀, 巨軀. 輕裘肥馬(富貴榮華). 

救(건질 구; ⽁-총11획; jiù) 막대기 들고[攵] 털옷을 입은 사람을 救助하는 모습이다. 

 

表(겉 표; biǎo): ‘衣+毛’. 털이 겉으로 나오게 만든 옷이다. 表面, 表彰(드러내다).

毫(가는 털 호; háo) 高+毛. 높이 자란 긴 털일수록 가늘게 보이므로 ‘가늘고 작은 것’을 가리킨다. 긴 털로 붓을 만들었으므로 ‘붓’을 뜻하기도 한다. 毫는 길이의 단위로 釐의 1/10로 약 0.303mm. 秋毫, 毫釐之差.

豪(호걸 호; ⾗-총14획; háo) ‘高+豕’. 보통 돼지는 삶아먹기[者→煮] 좋은 猪(돼지 저; zhū), 그렇다면 特大의 야생 돼지는 豪. 英雄豪傑. 

尾(꼬리 미; ⼫-총7획; wěi,yǐ) ‘尸+毛’. 사람[尸]이 동물처럼 엉덩이에 꼬리[毛]를 달고 춤을 추던 모습에서 ‘꼬리, 끝, 흘레’ 등의 뜻이 나왔다. 龍頭蛇尾, 去頭截尾, 徹頭徹尾, 尾行, 交尾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