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欠是什麽(什么)

欠是什麽(什么)

 

도정문자연구소

欠(하품 흠, 이지러질 결; qiàn): 말하기[言]와 달리 입을 벌리고 ‘마시다’[飮], ‘노래하다’[歌], ‘기뻐하다’[歡], ‘탄식하다’[歎]의 의미. 나중에는 ‘흠모하다’[欽]에서, ‘욕심’[欲]으로, 욕심이 많으면 늘 ‘부족함’[欠缺]까지 뜻함. 缺의 약자로도.

 

欽(공경할 흠; ⽋-총12획; qīn): 청동기물이나 금[金]을 보고 欽慕함.

 

 

 

次(버금 차; cì): 입을 벌리고 침을 튀기며 말하는 ‘傲慢放恣한 모습’에서 ‘방자하다’의 뜻이었다. 놀랍게도 침이 二로 변하여 ‘버금(둘째)’의 의미로 바뀌게 되자, 본뜻을 살리기 위하여 恣(방자할 자; zì)를 만들었다. 따라서 次가 들어있는 글자는 ‘방자하다’ 또는 ‘버금’의 의미를 담고 있다. 次席, 次官, 次長, 次男, 次例次例, 次期, 節次, 數次, 再次, 次例, 次序, 漸次.

 

 

 

*‘아차!’ 하는 순간 으뜸에서 버금으로 밀려난다. 탄식할 嗟(탄식할 차; jiē).

 

*걷는 게 우선, 車는 次善.

 

*수석과 차석의 점수 差異는 적지만 상금 差異는 어마어마하다.

 

*앞서가는 사람의 행동 특성은 따라오는 사람 걷어차기, 차갑게 대하기,

 

*내 것을 먼저 쓰고, 借用은 次次.

 

*茶도 급히 마실 것이 아니라 次次 마셔야 맛이다.

 

*將次 此人도 此地에 且(‘비석’ ‘바치다’ ‘돕다’의 뜻이었으나 나중에 ‘장차’, ‘또한’의 의미로 바뀌자 ‘祖’ ‘租’ ‘助’등의 글자 탄생)로 세워질 것이다.

 

 

 

 

沇(침 흘릴, 강 이름 연; yǎn): 次보다 침이 더 많이 나온다. 涎(침 연; xián)

 

盜(훔칠 도; dào): 그릇 속의 먹을 것을 보면 군침을 흘리게 마련이다. 갑골문에서는 배 위에서 침을 흘리는 모습이었으나, 금문에서는 그릇을 보고 탐하여 재앙[災]이 일어나는 모습이다.[영화 ‘부시맨’] 盜賊은 刀子로 위협하고 堵牆을 넘어 逃亡가는 놈이다. 中日은 ‘盗’로 씀. 盜用, 鷄鳴狗盜.

 

 

 

姿(맵시 자; zī): 次+女. 여자는 마음이 첫째, ‘맵시’는 차선이다. 또는 여자의 2차 性徵이 ‘맵시’로 나타나다. 姿勢, 姿態.

 

咨(물을 자; zī): 입은 먹는 게 첫째, 질문은 차선이다. 姿+口로 보기도 한다. 침을 튀기며 여자의 맵시에 대하여 ‘묻다’. 下咨.

 

諮(물을 자; zī): 예서 시대에 와서 비로소 생긴 글자. 咨의 강조. 諮問↔諮詢(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음=컨설턴트consultant, 기업 경영에 관한 상담·진단·조언·지도를 하는 전문가).

 

資(재물, 자본, 바탕 자; zī): 건강이 첫째, 재물은 차선이다. 姿+貝로 보기도 한다. 돈의 자태, 곧 ‘돈의 모양’을 뜻한다. 資本主義, 資金, 資料, 資質, 資材, 資格, 投資↔投機.

 

粢(기장 자; zī,jì): 쌀 버금가는 ‘기장’을 뜻한다. 제사용. 黍(기장 서; shǔ): 원래는 禾가 기장이었다. 簡牘에서는 무성한 뿌리를 표현했으나, 雨의 변형으로 바뀌었다.

 

瓷(오지그릇 자; cí): 오지그릇을 말하는데, 유약을 발라 다시 구운 2차적인 그릇이란 뜻. 瓦(기와, 실패, 질그릇 와; wǎ): 두 조각이 맞물린 기와 모양. 큰 그릇은 기와처럼 둘을 합쳐 만든다. 陶瓷器. 靑瓷, 白瓷.

 

 

 

欣(기뻐할 흔; xīn): 전서에서 비롯한 글자이다. 가장 중요한 도구 斤이 있으니 입을 크게 벌리고 기뻐할 수밖에. 欣感, 欣慕, 欣喜雀躍.

 

 

 

款(정성 관; kuǎn): 전서에서 비롯한 글자이다. ‘祟(빌미 수)+欠’. 신의 능력이 나타나도록(재앙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성껏’ 빌다. 落款, 款待, 寬厚, 款談, 交款, 借款, 約款.

 

欲(하고자 할 욕; yù)

 

欺(속일 기; qī): 전서에서 비롯한 글자이다. 其는 소리를 뜻하지만 이미 대명사로 타인을 ‘속이다’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欺瞞, 詐欺, 自欺, 欺騙(기편), 虎豹豈受犬羊欺!

 

 

 

匃(빌 갈/개; gài): ‘亡+人’. ‘없는 것’[亡]이 있으면 ‘빈다’.

 

曷(어찌 갈; hé)은 ‘어찌할까?’하며 말하는 모습.

 

歇(쉴 헐; xiē)은 ‘어찌할까’ 하고 구상하며 ‘입을 벌리고 숨을 내뿜는(張口氣散)’ 모습이다. 歇價, 間歇, 歇息, /休/는 일 하다가 쉬는 소리, /息/은 잠자며 쉬는 소리.

 

歐(토할 구; ōu): 區는 ‘숨김’의 의미. 숨어 있던 것을 입을 벌리고 토하다. 欧. 歐美.

 

歎(탄식할, 한탄할, 읊을 탄; tàn): ‘難+欠’. 어려움에 탄식하다. 叹. 歎願, 風樹之嘆.

 

歡(기뻐할 환; huān): 雚(황새 관; guān. 기뻐서 /환/하게 웃다. 欢. 歡迎, 歡呼雀躍.

 

歠(마실 철; tiě): 잔손질하며 마시다. 綴(꿰맬 철; zhu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