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상량문 서식

 

上樑文 書式

 

  내용에 따라 창건상량문, 중수상량문, 중건상량문 등으로 나뉜다. 원래 상량대에 간략하게 붓글씨로 썼지만 궁실, 관아, 학교, 사원 등에서는 써야 할 내용이 많아 따로 상량문을 써서 상량대에 홈을 파고 넣어 두었다. 종이 대신 비단에 적기도 하며 대나무나 나무·구리 통 등에 넣는데 통의 위아래에는 다음 중수 때 보태 쓰라는 의미로 패물이나 부적을 함께 넣었다. 일반 집에서는 장혀 배바닥에 먹글씨로 써서 마루에서 올려다 볼 수 있게 하지만 공공 건물에서는 마루도리 배바닥이나 받침장혀의 등덜미에 써서 결구(結構)하면 가려져 보이지 않게 하였다.

  공공건물에서는 조영(造營) 사실과 집지은 뒤 좋은 일이 있기를 비는 찬문(讚文), 공역에 관계한 사람들의 이름과 글을 쓴 시기를 적어 둔다. 일반 집에서는 집의 좌향과 개기(開基), 입주, 상량 날짜와 시각을 한 줄로 내려 쓰고 그 아래 두 줄로 기원 내용을 적는다. 때로는 집주인의 방명(芳名)을 적어 두기도 하였다. 선비들은 자신의 문집에 자기가 지은 상량문이나 당대 명문장의 상량문을 싣기도 하였다. 상량을 올리는 날에는 성대한 상량고사를 지냈으며 이를 상량식이라고도 하였다.

 

  그러면 실제로 쓰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세로로 긴 비단, 무명, 또는 종이에 아니면 원목 대들보 위에다 길게 붓글씨로 쓰는데, 맨 위에는 ‘龍’자를 크게 거꾸로 쓰고, 세로로 ‘某年某月某日立柱上樑’이라고 쓴 후에, 그 아래에 좀 작은 글씨로 다음의 내용을 두 줄로 쓴다. 이어서 오른쪽에는 '應天上之三光' (하늘의 삼광, 곧 햇빛 달빛 별빛에 감응하여)라 쓰고, 왼쪽에는 備人間之五福 (인간의 오복을 갖추었다.)을 두 줄로 쓴 뒤에, 그 밑에 큰 글씨로 거북 龜자를 쓰면 된다. 날짜는 쓸 때는 ‘甲申年四月  日’처럼 통상 구체적인 날짜를 비워둔다.

 

 

 

1. (龍) 歲在某年某月某日洪吉童社長開基定礎立柱上樑 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 (龜)

 

 

2. (龍) 甲申五月 日洪吉童甲午生立柱上樑 應天上之三光 / 備地上之五福 (龜)

 

 

3. (龍) 光武十年丙午十一月庚申竪柱同十二月初三日乙丑辛巳時上樑丑坐 (龜)

 

 

4. (龍) 洪武二十九年丙子十月初之日上樑 (龜)

 

 

5. (龍) 正統十三年戊辰三月十七日巽時立柱上樑 (龜)

 

 

6. (龍) 成化十五年己亥四月初二日卯時立柱上樑  (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드래그하여 복사한 후에 아래한글에다가 붙여서 보면 줄이 잘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