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矛 矢 石부 초서

矛 矢 石부 초서

도정 권상호

 

  矛(창 모; máo) - 금문은 손잡이가 있는 긴 창의 모습이다. 창처럼 생긴 풀은 茅(띠 모; máo)이다. 毛(털 모; máo)도 길다는 뜻에서는 같다. 矛(모)는 모가 났으며, 模樣(모양)이 중요하다.   

 

  갑골문의 戈(창 과; gē)는 옆으로 찌르거나 베도록 고안된 낫처럼 생긴 것이다.

矛(모)와 戈(과)를 합친 글자는 戟(창 극; jǐ)이다. 

 

 

  矜(불쌍히 여길 긍; jīn,qín,quān) - 창으로 짐승을 잡아 놓고 보면 矜恤(긍휼)히 여기는 마음이 생긴다. 그러나 많은 잡은 사람은 矜持(긍지)를 갖기도 한다.

 

 

* 모양이 비슷한 글자 : 矢 - 失

 

  矢(화살 시; shǐ) - 矢가 失과 같은 이유는 첫 번째의 예서 형태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失(잃을 실; ⼤-총5획; shī) - 의미로 보면 大부의 글자라기보다 手부가 맞다. 矢와 모양이 같으므로 문맥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다.

 

 

* 모양이 비슷한 글자 : 矣 - 異 

 

  矣(어조사 의; yǐ) - 전서를 보면 발음을 나타내는 以(써 이; yǐ)자의 원형 밑에 矢를 붙인 글자이다. ‘쏜 화살이 그치는 곳’이란 뜻에서 ‘마치다’의 뜻이다.

 

  異(异, 다를 이; ⽥-총12획; yì) - 가면을 쓰고 춤추는 모습에서 ‘奇異하다’ ‘特異하다’의 뜻이 생겼다.

 

  冀(바랄 기; jì) - 九州(구주)로 나누었을 때 북방의 河北省(하북성) 지역을 가리키는 말. 나중에 ‘바라다’ ‘희망하다’의 뜻으로 바뀌었다.

 

知(알 지; zhī) - 

 

  短(짧을 단; duǎn) - 제기는 화살보다 짧음에서 뜻이 왔다. 短點(단점) 

 

 

  矯(矫, 바로잡을 교; jiǎo,jiáo) - 전서에서는 구부러진 화살을 바로잡는 도구를 가리킨다. 矯正(교정)

 

 

  破(깨뜨릴 파; pò) - 皮(피)는 분리의 의미로 ‘돌을 부수다’ 곧 破碎(파쇄)의 뜻이다.

 

  硏(갈 연; yán) - 幵(평평할 견). ‘돌이 평평해지도록 갈다’에서 의미가 나왔다. 여기에서 간 돌처럼 반짝이는 여자는 姸(고울 연; yán). 아름다워지려면 꾸준한 修練(수련)이 필요하다. 그래야 宴會(연회)에 나아갈 수 있다. 

 

現(나타날 현; xiàn) - 옥의 무늬가 나타남. 모든 나타남이나 빛남은 玄(검을 현; xuán)에서 출발한다. 炫(빛날 현), 縣(매달 현), 賢(어질 현), 顯(나타날 현), 峴(고개 현), 懸(매달 현), 絃(악기 줄 현)

 

  碑(돌기둥 비; bēi) - 卑(낮을 비; bēi)는 신분이 낮은 사람이 손에 큰 부채를 들고 주인을 모시는 모습이다. 소리를 뜻하기도 하지만 초기의 碑石(비석)은 墓誌石(묘지석)처럼 무덤 안에 넣거나, 밖이라도 낮게 설치했음을 알 수 있다. 

 

碎(부술 쇄; suì) - 돌이 죽을[卒] 때까지 부수다. 

碧(푸를 벽; bì) - 푸른 빛깔의 玉(옥)이나 石(석)을 가리킨다. 

碩(硕, 클 석; shuò) - 바위[石]처럼 큰 머리는 총명하여 碩學(석학)이라 생각했다. 석학은 자리[席(자리 석; xí)에 앉아 정보 分析(분석)은 물론, 문장 解釋(해석)도 잘 한다. 昔時(석시)의 일도 明晳(명석)하게 밝혀낸다. 

 

  確(确, 굳을 확; què) - 隺(새 높이 날 확, 두루미 학, 고상할 각). 산 위에 날아가는 학처럼 우뚝 솟은 바위에서 ‘確實(확실)’ ‘ 確固(확고)’ ‘確信(확신)’ ‘正確(정확)’ ‘明確(명확)’ 등의 뜻이 나왔다.

 

  磊(돌무더기 뢰; lěi) - 좌우 동형임에도 가로3점 처리를 하지 않았다.

 

  

磐(너럭바위 반; pán) - 

 

 

  磨(갈 마; mó,mò) - 

 

 

  磬(경쇠 경; qìng) - 

 

 

  磯(矶, 물가 기; jī) - 

 

 

 

 

 

  礎(주춧돌 초; chǔ) - 

 

 

  礙(거리낄 애; ài) - 碍(礙의 속자)

  礪(거친 숫돌 려; lì) - 

  

  礫(조약돌 력; lì)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