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采 里 金부 초서

采 里 金부 초서

 

采(캘 채; cǎi,cài) - 

釋(释. 풀 석; shì) - 

里(마을 리; lǐ) - 

重(무거울 중; zhòng,chóng) - 

野(들 야; yě) - 예서에서 온 초서이다. 현대 서예가인 啓功의 마지막 초서는 해서에서 온 초서이다.

量(헤아릴 량; liáng) - 전서와 예서를 살펴보면 초서의 里 부분의 꼭지가 올라간 까닭을 짐작할 수 있다.

釐(厘. 다스릴 리; lí) - 3가지 형태의 초서로 뚜렷이 구분된다. 간체자는 처음의 王羲之 초서에서 따왔다. 전서를 보면 毛 자 받침형과 里 자 받침형의 두 가지가 있어서 예서를 거친 초서에서도 두 가지 형태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나중에는 발음이 비슷한 里(lǐ) 형태가 주로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金(성 김{쇠 금}; jīn) - 앞의 두 초서가 今 자를 살린 표현이다. 

釜(가마 부; fǔ) - 

釘(钉. 못 정; dīng,dìng) - 처음은 孫過庭 초서

釣(钓. 낚시 조; diào) - 

鈍(钝. 무딜 둔; dùn) - 

鈞(钧. 서른 근 균; jūn) - 

鈴(铃. 울 령; líng) - 

鈿(钿. 비녀 전, 금장식 전; diàn,tián) - 

鉅(钜. 클 거, 강할 거; jù) - 

鉉(铉. 솥귀 현; xuàn) - 솥귀의 구멍에 꿰어 들어올릴 수 있게 만든 고리.

鉛(铅. 납 연; qiān,yán) - 

鉞(钺. 도끼 월; yuè) - 

鉢(钵. 바리때 발, 사발 발; bō) - 

鉤(钩. 갈고랑이 구; gōu) - 

銘(铭. 새길 명; míng) - 

銀(银. 은 은; yín) - 

銖(铢. 무게 단위 수; zhū) - ‘两’의 24분의 1

銅(铜. 구리 동; tóng) - 

銜(衔. 재갈 함; xián) - 말을 부리기 위하여 입에 가로 물리는 쇠토막. 마함(馬銜).

銃(铳. 총 총; chòng) - 

銷(销. 녹일 소; xiāo) - 

銳(锐. 날카로울 예; ruì) - 

鋸(锯. 톱 거; jù,jū) - 

鋤(锄. 호미 서; chú) - 

鋒(锋. 칼끝 봉; fēng) - 

鋪(铺. 펼 포; pū,pù) - 

鋼(钢. 강철 강; gāng,gàng) - 

錄(录. 기록할 록; lù) - 

錢(钱. 돈 전; qián) - 

錦(锦. 비단 금; jǐn) - 金의 변화에 유의

錫(锡. 주석 석; xī) - 

鍊(炼. 불릴 련, 달굴 련; liàn) -  煉(련)과 동자(同字). 간체자 유의.

鍾(钟. 종 종; zhōng) - 

鍵(键. 열쇠 건; jiàn) - 

鎌(镰. 낫 겸; lián) - 

鎔(镕. 녹일 용; róng) - 

鎖(锁. 쇠사슬 쇄; suǒ) - 각각 孫過庭과 王鐸의 초서이다.

鎭(镇. 진압할 진; zhèn) - 

鏡(镜. 거울 경; jìng) - 

鐘(钟. 종 종; zhōng) - 간체자로는 鍾과 같다.

鐵(铁. 쇠 철; tiě) - 마지막은 오창석의 초서이다.

鐸(铎. 방울 탁; duó) - 마지막 2개는 王鐸의 초서.

鑄(铸. 쇠 부어 만들 주; zhù) - 앞의 것은 孫過庭 글씨.

鑑(鉴. 거울 감; jiàn) - 간체자 유의.

鑽(钻. 뚫을 찬, 끌 찬, 송곳 찬; zuān,zuàn) - 

鑿(凿. 뚫을 착; záo) - 마지막 초서는 愛 자 초서와 비교해야 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