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감

죽림칠현과 유백륜의 주덕송

죽림칠현(竹林七賢)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위(魏) , 진(晉) 왕조 시절 정치 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을 주고받고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들이다.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적인 노장사상(老莊思想)이 그들의 근본 사상이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언제나 죽림 아래 모여 거칠 것 없이 술을 마셔, 죽림 7현이라고 불렀다”라고, 6조 송의 유의경(劉義慶)이 《세설신어(世說新語)》에 말하고 있는 것과 같이, 7인을 한 그룹으로 묶어서 생각하는 것은 일찍부터 있었다. 그러나 그 사상적 중심은 혜강완적의 두 사람이며, 다시 산도와 향수, 유영과 완함·왕융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죽림이란 방외(方外)의 땅, 즉 자연이란 뜻이다. 조씨의 위(魏)에서 사마(司馬)씨의 진(晋)으로의 정권 항쟁기에 스스로의 정치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죽림과 술에 자기도회(自己韜晦)하려고 하였다.

 

혜강은 반사마(反司馬)의 거병(擧兵)을 하려 했고, 완적은 혜강이 사마소 때문에 형사(刑死)한 다음해에 죽고, 그 다음해에야 사마씨의 진왕조가 정식으로 성립된다. 산도는 이 정권교체기에 79세의 장수를 누리다가, 진나라 원훈(元勳)으로서 죽었다. 《장자》의 주서(註書)를 쓰고 은일의 뜻을 보인 향수도 사마소에 사관(仕官)을 구했다. 완적에게서 속물이란 평을 받은 왕융은 진나라 시대까지 장수했으며, 인색하여 밤낮 돈계산을 했다고 전해진다. 〈주덕송(酒德頌)〉을 쓰고, 언제나 술을 휴대하고, 종자(從者)에게 괭이를 가지고 따르게 하여, “내 죽은 곳에 나를 묻어라” 하고 기이한 말을 토한 유영의 과대한 도가적 언사는 자기도취에 불과한 것이었다. 이들은 정치적 계절(季節)에 명철보신(明哲保身)하지 않으면 안 된 중국의 사군사(士君士)들에게 하나의 상징적인 존재로서 전해 내려온 사람들이다.

 

酒德頌[주덕송]-劉伯倫

 

술을 몹시 좋아한 劉伯倫이 술의 功德을 稱頌하여 지은 頌類의 文章이다. 竹林七賢의 한사람인 劉伯倫은 阮籍[완적], 嵇康[혜강]등과 함께 老莊思想의 淸談에 沒頭하고 술을 마시고 俗世의 모든 禮法을 無視하는 生活을 했으며, 어떤 意味에서 술은 欺滿[기만]으로 가득 찬 當時의 社會에 대한 反抗의 手段임과 동시에 現實 逃避의 道具이기도 했다. 또한 그들은 山林으로 逃避하여 벼슬에 從事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社會에서도 술 속으로 逃避한 요즘말로 하면 알코올 中毒者들인 셈이다. 게다가 無爲自然을 尊重하며 萬物無差別의 虛無的인 人生觀을 가르친 老莊思想이 이런 傾向[경향]을 한층 强化시켜 中國의 多感한 哲人이나 詩人들을 飮酒癖에 빠지게 한 것으로 陶淵明, 李白, 杜甫등이 위의 劉伯倫을 飮酒의 스승으로 삼아 後世에 永遠히 愛酒家라 稱해 진다.

 

酒德頌[주덕송]

有大人先生 以天地爲一朝 萬期爲須臾 日月爲扃牖 八荒爲庭衢.

[유대인선생 이천지위일조 만기위수유 일월위경유 팔황위정구.]

行無轍跡 居無室廬. 幕天席地 縱意所如. 止則操巵執觚

[행무철적 거무실려 막천석지 종의소여. 지즉조치집고]

動則挈榼提壺 唯酒是務 焉知其如.

[동즉설합제호 유주시무 언지기여]

*여기 대인 선생이 있다. 태초 이래의 시간을 하루로 보고, 만세의 긴 세월을 잠시라 생각하고, 해와 달을 빛을 비추는 창문쯤으로 생각하고, 광활한 천지를 집안의 정원과 네거리 정도로 생각한다. 탈것에 구애받지 않고 마음대로 가서 활보하고, 좁은 곳을 싫어하니 집이 있을 수 없다. 하늘을 지붕 삼고 땅을 자리라 여겨, 마음 가는 대로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멈추면 작은잔, 큰잔 할 것 없이 술잔을 기울이고, 어디를 가도 술통과 술독을 끌어당겨 술 마시기를 힘쓰니, 그 나머지 일은 어찌 알겠는가?

 

有貴介公子 搢紳處士. 聞吾風聲 議其所以. 乃奮袂攘衿 怒目切齒

[유귀개공자 진신처사. 문오풍성 의기소이. 내분몌양금 노목절치

搢紳禮法 是非鋒起 先生於是 方捧甖承槽 銜杯漱醪 奮髥踑踞 枕麴藉糟

[진신예법 시비봉기 선생어시 방봉앵승조 함배수료 분염기거 침국자조]

*귀한 신분의 인사와 귀족의 자제분들, 넓은 띠에 홀을 꽂은 높은 벼슬아치와 처사들이 성토하는 소리를 나는 듣는다. 몹시 흥분한 그들은 소매를 걷어붙이고 삿대질을 하면서 눈을 부라리고 이를 갈면서, 예법에 관한 설명을 늘어 늘어놓으며, 칼날을 세우듯이 대인 선생에 대한 시비를 일으킨다. 이때에 선생은 바야흐로 술 단지를 들어 술통의 술을 받아 술잔에 가득 붓고, 탁주를 마신 다음, 술에 젖은 수염을 쓰다듬으며 두 다리를 뻗고 그 자리에 눕는다. 선생은 누룩을 베개 삼고 술 찌개미를 자리삼아 누었다.

 

無思無慮 其樂陶陶 兀然而醉 恍爾而醒 靜聽不聞雷霆之聲 熟視不見泰山之形

[무사무려 기락도도 올연이취 황이이성 정청불문뇌정지성 숙시불견태산지형

不覺寒暑之切肌 嗜慾之感情. 俯觀萬物擾擾焉 如江漢之浮萍. 二豪侍側焉

[불각한서지절기 기욕지감정. 부관만물요요언 여강한지부평. 이호시측언.]

如蜾蠃之與螟蛉.

[여과라지여명령.]

 

*온갖 생각과 근심이 사라지고, 즐거움만이 도도하며, 홀로 우뚝 취하고, 황홀한 기분으로 술에서 깨어난다. 고요히 귀를 기울여도 하늘을 찢는 우레 소리마저 들리지 않고, 아무리 눈을 떠도 태산의 형태도 보이지 않는다. 살갗을 파고드는 寒暑[한서]의 고통을 느낄 수 없고, 무엇을 즐기고 싶은 욕망도 사라진다. 만물이 뒤섞여 있는 어지러운 속세를 굽어보면, 그 모든 것이 양자강에 떠 있는 浮萍[부평]같이 여겨지고, 대인 선생을 성토하는 무리들은 나나니벌이나 푸른빛을 띤 배추벌레쯤으로 여긴다.

 

위의 劉伯倫 先生은 언제나 한 단지의 술을 가지고 다니며, 삽을 메고 따라다니는 從者에게 “내가 죽거든 그 죽은 장소에 묻어라.” 라고 强調 했던 先生의 放逸超脫[방일초탈]을 따라갈 사람은 古今을 通해서 아직도 없다는데 내 周圍에 있는 醋甁[초병]들 挑戰[도전] 한번 해 보실 분 계시는지 모르겠다.

*蜾蠃[과라]:나나니벌.

*螟蛉[명령]:배추벌레.

*漱[수]:양치질할.

*醪[료]:막걸리

*漱醪 [수료]:막걸리를 마시다.

*甖[앵]:술단지.

*扃[경];문, 빗장.

*牖[유]:창문.

 

不覺知有我 나의 존재조차 의식하지 못하니

安知物爲貴 어찌 物이 귀한 줄 알겠는가. 飮酒 其四 중에서- 陶淵明

 

"술이 사람을 취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취하는 것이요,

색(色)이 사람을 미혹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 스스로 미혹되는 것이다."

- 명심보감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당나라 때의 대시인 이백(李白)의 작품입니다. 제목은 월하독작(月下獨酌)이라고 하죠. 해석하면 "달빛 아래 홀로 술을 마시다" 정도...

 

 

天若不愛酒(천약불애주) 하늘이 술을 즐기지 않았다면

酒星不在天(주성부재천) 하늘에 주성이 있을 리 없고

地若不愛酒(지약불애주) 땅이 술을 즐기지 않았다면

地應無酒泉(지응무주천) 땅에 어찌 주천이 있겠는가

天地旣愛酒(천지기애주) 천지가 이미 술을 즐겼으니

愛酒不愧天(애주불괴천) 술 즐김이 어찌 부끄러우랴

已聞淸比聖(이문청비성) 듣기에 청주는 성인과 같고

復道濁如賢(복도탁여현) 탁주를 일러 현인과 같다하니

聖賢旣已飮(성현기이음) 성현을 이미 다 마신 후에

何必求神仙(하필구신선) 신선은 더 구하여 무엇하랴

三盃通大道(삼배통대도) 석 잔 술에 큰 도에 통하고

一斗合自然(일두합자연) 한 말에 자연과 하나 되거니

俱得醉中趣(구득취중취) 취하고 취하여 얻는 즐거움을

勿謂醒者傳(물위성자전) 깨어 있는 이에게 전하려 말라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