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화교실

不作蘭 <不二禪蘭>

   不作蘭 <不二禪蘭>--紙本水墨  55 * 31센티.  個人所藏<?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不作蘭의 題記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1> 不作蘭花二十年 偶然寫出性中天 閉門覓覓尋尋處 此是維摩不二禪

  난초를 그린 20년에 우연히 그려냈다. 마음 속의 자연을 문을 닫고 거듭 생각해보니 것이 바로 유마(維摩) 불이선(不二禪)이다.

 

  유마 불이선이란 유마경 불이법문품<維摩經 不二法門品> 있는 이야기이다. 모든 보살이 선열<禪悅> 들어가는 상황을 설명하는데 최후에 유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에 모든 보살들은 말과 글자로 설명할 없는 것이 진정한 법이라고 감탄했다는 것이다.

  지면에다 그리는 것의 설명보다는 마음 속으로 체득하는 것이 예술의 진정한 경지를 이해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내려쓰기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전개되는 장법이 특이하다.

 

<2> 若有人强要爲口實 又當以毘耶 無言謝之 曼香

  어떤 사람이 이유를 설명하라고 강요한다면 또한 비야리성<毘耶離城> 있던 유마의 없는 대답으로 응하겠다.  만향<曼香>

 

<3> 以草隸奇字之法爲之 世人那得之 那得好之也 漚竟又題

  초서와 예서, 기자법으로 그린 것인데 세상 사람이 이를 어떻게 것이며 이를 어찌 좋아하랴?  구경우제<漚竟又題>

(담글 , 거품 )

 

<4> 始爲達俊放筆 只可有一不可有二 仙客老人

처음으로 달준에게 주려고 그린 것이다. 이런 그림은 한번이나 그릴 것이지 번도 그려서는 안될 것이다. 선객노인<仙客老人>

 

<5> 吳小山見而豪奪可笑

오소산<吳小山> 이를 보고 억지로 빼앗아 가는 것을 보니 우습다.

달준<達俊> 오소산<吳小山> 어떠한 인물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부분은 나중에 별도로 써넣은 같이 보인다.

 

2. 不作蘭의 畵法연구

<1>좌로 향한 우출엽<右出葉>

바람에 불리듯 우측으로 쏠리는 형세인데 1,2엽으로 봉안<鳳眼> 이룬 3엽으로 파봉<破鳳>함에 있어 봉안을 거쳐감이 특이하며 4 역시 3엽과 같은 양상으로 파봉을 하고 있다.

 

우측에 촉의 란이 있는데 왼쪽의 란과 모양이 다를 , 같은 화법으로 5-7엽이 전개되다가 8엽으로 1 파봉하고 9엽과 10엽은 독립되어있다.

 

1개의 봉안을 3엽으로 2회에 걸쳐 파봉하는 것도 특이한데 다시 다음 4엽으로  2 파봉한다는 것은 기상천외의 기법이 아닐 없다. 그런데 것도 모자라  오른 다른 촉에서도 이러한 변칙 파봉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그야말로 기이하기 짝이 없고 부작란이  아니고서는 듣지보 보지도 못할 절세의 일품이 아닐 없다고 하겠다.

 

<2>삼절법<三折法>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