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각교실

전각 교실

 

篆刻 敎室(전각 교실)

                                      

                                     塗丁 權相浩


  그림이나 글씨의 작품에 찍는 인장을 낙관인이라고 한다. 낙관인을 납석 종류의 돌이나 나무 등에 예술적으로 새기는 것을 篆刻(전각)이라고 한다. 전각(篆刻) 이란 한마디로 말하면 인장(印章)을 새기는(刻) 것이다. 인장은 주로 전서(篆書)로 각을 하였기 때문에 전각이라 하였으며, 옛부터 인(印)은 신(信)이라고 하여 소유나 증명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인(印)은 권력 용도로 행사되기도 하였으며, 금석학(金石學)의 융성과 함께 시인묵객(詩人墨客)들의 취미로써 각인(刻印)이 유행하였으며, 개인의 예술적 감흥을 나타내는 데까지 발전하여, 서예와는 또 다른 예술의 한 장르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인장(印章)은 은대(殷代)로부터 주(周), 전국(戰國) 시대의 것들이 각지에서 출토되었으며, 그 이후 명청대(明淸代)와 현재까지 전각은 날로 발전하여, 서예와 더불어 엄연히 예술의 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1) 준비물


  전각도(새김칼), 인재(새길 돌), 세필(가는 붓), 사포, 먹, 주묵(붉은 먹), 손거울, 인주


  (2) 음각과 양각


  그림이나 글씨에 찍는 도장을 새기는 것을 전각(篆刻)이라 하는데 주로 돌에다가 전서체의 글씨로 새기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서화에 찍는 도장은 대개 성명은 음각(陰刻)인 백문(白文)으로, 호(號)는 양각(陽刻)인 (朱文)으로 새긴다.


  (3) 인면의 배자 방법(장법)


  인면에 인문을 아름답게 배자하는 방법을 장법이라고 하는데, 자형에 따라 장법을 달리 할 수 있다. 도장에 인문을 아름답게 배자하기 위해서는 인면의 분할에 대한 안목과 더불어 글자를 바르게 쓰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4) 제작 과정


① 유리판 위에 사포를 놓고 인면(印面)을 평평하게 간 뒤에 붉은 먹[朱墨]을 칠한다.

② 새기려는 문자를 종이 위에 여러 모양으로 배치해 보며 인고(印稿)를 작성한다.

③ 작성된 인고를 뒤집어 놓고 보면서 먹을 찍은 세필로 인면에 그대로 옮겨 쓴다.

④ 거울에 비추어 보면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한 뒤에 전각도(篆刻刀)로써 새긴다.

⑤ 인면을 깨끗이 닦아 내고 인주를 묻혀 찍어 본 뒤에 다시 수정하여 완성한다.


 (5) 인장(印章)의 종류


① 인장을 인주에 묻혀 찍을 때, 새겨진 문자의 요철(凹凸)에 따라 글자가 흰색으로 나타나면 白文印(陰文), 글자가 붉은색으로 나타나면 朱文印(陽文)이라 하며, 한 인장 속에 주백문이 섞여 있으면 주백문상관인(朱白文相關印)이라고 부른다.

② 인장은 그 소유자가 관청(官廳)이냐 개인이냐에 따라 구별되는데, 관공서에서 사용하는 인장이면 관인(官印), 개인이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면 사인(私印)이 된다.

③ 각인(刻印)은 그 재질에 따라서 돌에 새긴 것이면 석인(石印), 나무에 새긴 것이면 목인(木印), 쇠에 새기면 금인(金印), 구리에 새기면 동인(銅印), 도자기에 새기면 도인(陶印)등 여러 형태가 있다.

④ 사용 목적에 따라서는, 작품 상단에 찍히는 두인(頭印), 하단부에 찍는 유인(遊印)이 있다. 그리고 작품 끝에 서명하고 찍는 인장을 낙관인(落款印)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작가 이름을 새긴 성명인(姓名印), 아호를 새긴 아호인(雅號印), 집이름을 나타내는 당호인(堂號印)이 있다.

⑤ 이 밖에도 감상용으로 새긴 길상인(吉祥印), 시구(詩句)나 좋은 말을 새긴 사구인(詞句印)이 있으며, 또한 자기의 도서(圖書)임을 확인하는데 쓰이는 장서인(藏書印)이 있다.


  (6) 전각의 기법(技法)


  인장에 새기는 문자는 거의 전서(篆書)를 사용하기 때문에, 우선 전서를 잘 이해하고 그 필법(筆法)을 익히는 것이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전각은 그러기 때문에 먼저 서예가로서의 기본 과정과 많은 서예 수련을 쌓은 연후에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각에 자법(字法), 장법(章法), 도법(刀法)이 있는데, 이는 서예의 필법(筆法)이 전각에 그대로 원용되기 때문이다. 서예의 필법과 장법이 전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고 새긴다면 예술성이 결여된 여느 도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전각은 되도록이면 서예의 각 서체를 두루 섭렵한 다음에 여기(餘技)로 새기는 것을 권하고 싶다.


① 자법(字法) : 인면(印面)에 새기려는 글자를 먼저 붓으로 써서 한자 한자의 형체가 서법(書法)에 합당한지를 확인한다. 서체(書體)의 발전 과정에서 볼 때 속자가 아닌지, 글자의 모양새가 제대로 되었는지, 그리고 전법(篆法)에 모순되지나 않았는지를 살핀다.


② 장법(章法) : 한자 한자의 결구(結構)를 확인한 다음에는, 인면에 새기려는 문장의 전체를 인면의 형태에 맞게 붓으로 작품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글자 글자마다 개성과, 전체로서의 조화가 어느 정도인지, 자형 또는 자간의 소밀(疏密) 관계, 공간의 조형성(造形性), 그리고 음양(陰陽) 관계 등을 고려한 다음, 인고(印稿)가 완성되면, 인면에 글자를 거꾸로 붓으로 쓴 다음 거울에 비추어 보아서 최종적으로 새겨도 좋은지를 확실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③도법(刀法) : 전각도는 붓과 같아서 집필법(執筆法)에 준해서 칼을 세워서 잡고, 약간 앞으로 뉘어서, 글자를 파든 글자 외의 공간을 파든, 도법에 따라서 작업을 하면 된다. 대체적으로 음각은 필획(筆劃)의 우측을 밖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끊고, 그리고 나서 돌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 다시 필획의 다른 쪽을 처음과 같이 끊어서 잡아당긴다. 양각을 할 경우에는 필획의 좌측을 끊고 돌을 돌려서 다시 다른 쪽을 끊어 당긴다. 어떻든 새긴 획을 붓이라는 모필의 特性인 유연성과 칼이라는 강직성이 함께 표현될 수 있도록 선질(線質)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다 새긴 인장을 인주에 묻혀 화선지에 찍을 때에는 서예적인 생명력(生命力)과 공예적인 미감(美感)이 곁들어 있어야 좋은 작품이라 하겠다.


  (7) 사구인(詞句印)

   문구를 새긴 인장이다. 사구인은 서화의 적당한 여백에 찍어 특별한 조형미를 나타낸다. 서화의 오른쪽 위에 찍는 두인(頭印), 중간에 찍는 유인(遊印) 등이 있다.


  (8) 초형인(肖形印)

    사람의 얼굴, 새, 짐승 등의 모양을 새기는 것을 말한다. 물상의 특징만을 간결하게 나타내는 추상미가 아름답다.


  ☞ 알고 새기자

◇ 자법 : 인고 작성시에 적절한 전시의 자형을 사전에서 선택하는 법을 말한다.

◇ 장법 : 인면을 바탕으로 하여 인문을 조형적으로 포치하는 법.

◇ 도법 : 전각도로써 글자를 새기는 여러 가지 방법.

◇ 낙관(落款) : 서화(書畵) 작품을 완성하고 제작 연월(年月), 호(號), 성명 등을 기록하고 도장을 찍는 것. 협의로는 도장을 대신하는 말.

◇ 전각 : 서화에 찍는 인장(印章)을 가리키는 말로 새기는 문자의 서체가 한자의 전서로 되었기 때문에 붙인 이름.

◇ 두인(頭印) : 작품의 오른쪽 어깨에 찍는 인장으로 수인(首印)이라고도 한다.

◇ 방각(傍却) : 서화에 서명하는 것과 같이 인장을 다 새기고 인재의 측면에 새긴 때와 새긴 이의 호나 성명을 새기는 것을 말하며, 구관(具款) 또는 측관(側款)이라고도 한다.

◇ 봉니 : 나무나 대쪽에 쓴 문서를 노끈으로 묶고 그 위에 찰흙을 이겨 붙이고 도장을 찍어 비밀을 보장하기 위해 찍은 도장의 일종.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그린비
감사합니다
어처구니김
공부 잘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