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봉
[천자칼럼] 석봉의 달
한 사람의 현모는 백 사람의 교사에 필적한다는 말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흔히 맹모삼천지교의 고사를 든다.
맹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교육 환경을 바꿔 주고자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일화다.
공동묘지 근처에서 시장 근처로, 또 다시 한교 근처로 옮김으로써 맹자를 성인으로 만드는 기틀이 되었다는 내용이다.
한국에도 맹자의 어머니처럼 편모로서 아들 교육에 현명함을 발휘한 일에 적지 않았다.
그 가운데서도 조선조 중기의 명필인 석봉 한호의 어머니가 남겨준 교육 일화는 남다른바가 있다.
떡장수로 가계를 이어가고 어머니가 어늘 날 밤 등잔불을 꺼놓고 자신은 떡을 썰고 아들로 하여금 글씨를 쓰게 하는 시합을 하여 이김으로써 아들을 분발시켜 명필로 길러 냈다는 내용이다.
석봉 (1543~1605)은 개성에서 군수 대기의 5대손, 정랑 관의 손자로 태어났다.
1567년 (명종 22) 진사시에 합격한 뒤 사헌부감찰 가평군수 흡곡현령을 지냈고 사후에 호조참의를 추중 받았다.
그러나 그의 우뚝한 발자취는 한국서예사에 획을 그은 석봉체는 서풍확립에 있다.
석봉체는 중국의 왕희지체 등의 옛 서체법을 바탕으로부단한 학습과 노력을 통해 이룩된 독특한 서풍이다.
그 두드러진 특징은 숙련된 필체의 강경.단정함이다.
특히 그는 국가의 주요문서와 외교문서를 작성하는 사자관의 효시로서 후대 사자관의 사표가 되었고 또 그것은 직업서예가의 영역을 구축한 첫 케이스였다.
석봉체는 조선조 중기의 서풍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583년 왕명으로 쓴 "해서천자문"이 간행.반포된 이후 석봉체는 왕을 비롯한 왕실 고관에서 학동에 이르는 모든 계층의 서체에 널리 전파되었던 것이다.
또 그의 글씨는 중국에도 알려져 절찬을 받았다.
정부는 6월을 "석봉 한호의 달"로 정하고 전국 곳곳에서 그를 기리는 행사들을 펼친다.
한국서예사에 남긴 그의 예술적 혼이 활짝 피어 났으면 한다.
한국경제 1997년 06월 02일 (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