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계소식

미술품 속의 한·중·일 호랑이 모습은

중앙박물관 ‘3국 호랑이‘전

미술품 속의 한·중·일 호랑이 모습은?


호랑이는 동아시아 문화에서 오랜 시간 수호와 길상(吉相)을 상징했다. 한국에서는 호랑이가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상이었다.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던 일본에서도 호랑이는 설화를 통해 전해졌고, 중국에서는 용맹과 벽사, 길상을 상징했다.

동아시아 문화 속에서 호랑이는 민족의 영물에서 예술의 주체로 다양하게 변모해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동아시아 미술에서 호랑이의 모습을 조명하는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 한국·일본·중국’을 26일 개막한다. 이번 전시는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중국 국가박물관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특별전으로 호랑이 미술 작품 105건, 145점을 선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1998년 이후 20년 만에 여는 호랑이 전시이자 한·일·중 국립박물관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세 번째 특별전이다.
국토의 3분의 2가 산으로 이루어진 한국은 일찍부터 호랑이가 많이 서식해 ‘호랑이의 나라’로 불렸다. 한민족 문명의 시작을 알리는 단군신화는 곰과 호랑이로부터 시작한다. 전시를 기획한 박경은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호랑이를 수호신이자 군자(君子)로 여기는 생각은 중국에서 전국시대와 한대 이후 시작돼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됐다”며 “한국에서는 호랑이를 신성시하거나 친구처럼 인식했는데, 친근감 때문에 해학적이면서도 인간미가 넘치는 호랑이 민화가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단원 김홍도가 그린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와 ‘죽하맹호도’(竹下猛虎圖), 작자 미상의 18세기 ‘맹호도’(猛虎圖) 등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맹호도 3점을 처음으로 한자리에 선보인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호랑이 그림 중 가장 큰 작품도 비슷한 크기의 용 그림과 함께 공개된다. 이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약 2.2m로, 조선시대 관청의 문이나 대청에 붙인 세화(歲畵: 새해를 축하하는 그림)로 추정된다. 박 연구사는 “맹호도를 보면 가는 붓으로 털을 한 올 한 올 그려 생동감과 기세가 느껴진다”며 “호랑이가 산에서 나오는 모습을 그린 그림은 선비의 출세를 은유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던 일본에서는 호랑이가 상상이나 종교를 통해 전해졌다. 도교 미술에서는 사신과 십이지로, 불교 설화에서는 맹수로 묘사됐다. 전시에는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활동했던 소가 조쿠안(曾我直庵)과 18세기 화가인 가노 미치노부(狩野典信)의 ‘용호도’(龍虎圖) 병풍, 마루야마 오쿄(圓山應擧)가 그린 고양이를 연상시키는 호랑이 그림 등이 출품됐다. 제니야 마사미(錢谷眞美) 도쿄국립박물관장은 “일본에는 호랑이가 없어 상상하거나 한국, 중국의 호랑이 회화를 참고해 그림을 그렸다”며 “기본적으로 일본의 호랑이 그림은 귀여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