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전남 곡성군 죽곡면 연화마을에 칩거하며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0~1977) 과 남농(南農) 허건(許楗.1907~87) 이후의
남화(南畵) 화단을 이끄는 아산(雅山) 조방원(趙邦元.77)화백의 말씀
"글씨도 크게는 그림의 범주에 속하고 '서화동근'(書畵同根.글씨와 그림은 한 뿌리라는 뜻)이란 말도 있잖소."
"그림이나 글이나 '반안반심'(半眼半心.반은 눈으로 보고 반은 마음으로 봄)이라고 하잖습니까. 눈을 기쁘게 하는 데 그치지 말고 마음을 기쁘게 하고 움직일 수 있어야 합니다. 요즘 재(才)가 뛰어난 글씨들은 많지만 천금 같은 무게가 있는 글씨는 보기 힘든 것 같아요."
"먹 색깔을 찬찬히 들여다 보고 있노라면 그 안에 갖은 색이 다 있는 게 보입니다. 수묵화는 농담(濃淡)에서부터 발묵(潑墨.먹물이 번져서 퍼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영감이 없으면 안 됩니다."
그는 기분이 좋지 않거나 날씨가 좀 음울해도 붓을 들지 않는다. 좋은 그림은 맑은 정신에서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실제 그의 그림들은 기운이 생동하고 기(氣) 같은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훤칠한 키(1m78㎝)와 반백의 머리, 마른 체구, 광채가 나는 얼굴, 적은 말수 등 그의 풍모 또한 도인(道人)을 보는 듯하다.
"대작은 힘이 있어야 하는데 늙으니까 기운이 없어 잘 안 됩니다. 이제야 겨우 그림에 대해 뭔가 알 것 같은데 안타깝습니다. 세상과 인생을 알고 내 사상이 선 지금부터 그리는 게 진짜 내 그림인데 말입니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권상호
"글씨도 크게는 그림의 범주에 속하고 '서화동근'(書畵同根.글씨와 그림은 한 뿌리라는 뜻)이란 말도 있잖소." 전남 곡성군 죽곡면 연화마을에 칩거하며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1890~1977) 과 남농(南農) 허건(許楗.1907~87) 이후의 남화(南畵) 화단을 이끄는 아산(雅山) 조방원(趙邦元.77)화백.
약 60년 세월을 그림 그리기에 정진해 온 그가 24~28일 광주시 남도예술회관에서 자신의 상징인 '수묵 산수(水墨 山水)'가 아닌 붓글씨를 가지고 전시회를 연다. 이번 전시회에는 서예 약 30점 외에 그가 좀처럼 안 쓰는 채색의 풍속화 5점과 특유의 수묵화 8점도 나온다.
趙화백은 "그림 그리다 남은 먹물로 몇자씩 써 봤을 뿐"이라고 말하지만 그의 붓글씨는 상당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자신의 서예 작품 가운데 6점을 골라 2001년 발간한 작품집에 넣기도 했다.
趙화백의 붓글씨는 서예에 일가견이 있는 철학자 안병욱(安秉煜.83)씨도 찬사를 보낸 바 있다. 安씨가 20여년 전 광주에 왔다가 한 식당에 걸린 그의 글씨를 보고 그를 만나기 위해 예약했던 귀경 비행기 표까지 물렸다고 한다.
"그림이나 글이나 '반안반심'(半眼半心.반은 눈으로 보고 반은 마음으로 봄)이라고 하잖습니까. 눈을 기쁘게 하는 데 그치지 말고 마음을 기쁘게 하고 움직일 수 있어야 합니다. 요즘 재(才)가 뛰어난 글씨들은 많지만 천금 같은 무게가 있는 글씨는 보기 힘든 것 같아요."
전남 신안군 지도에서 태어난 그는 19살 때인 45년 목포에서 남농 문하에 들어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55년부터 58년까지 4회 연속 국전에서 특선을 차지했다.
59년 추천작가, 63년 초대작가 반열에 오르고 심사위원을 역임하는 등 젊은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특히 30대 초반부터 먹물로만 그리는 먹 그림이라는 자신만의 독특한 화법을 전개해 왔다.
"먹 색깔을 찬찬히 들여다 보고 있노라면 그 안에 갖은 색이 다 있는 게 보입니다. 수묵화는 농담(濃淡)에서부터 발묵(潑墨.먹물이 번져서 퍼지는 것)에 이르기까지 예술적 영감이 없으면 안 됩니다."
그는 기분이 좋지 않거나 날씨가 좀 음울해도 붓을 들지 않는다. 좋은 그림은 맑은 정신에서 나온다고 믿기 때문이다. 실제 그의 그림들은 기운이 생동하고 기(氣) 같은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훤칠한 키(1m78㎝)와 반백의 머리, 마른 체구, 광채가 나는 얼굴, 적은 말수 등 그의 풍모 또한 도인(道人)을 보는 듯하다.
그는 돈에 조금이라도 욕심이 있었다면 불가능한 일들을 많이 했다. 17살 때 처음으로 판소리 공연장에 갔다 넋을 잃을 만큼 매료됐다는 趙화백은 68년 남도 국악원을 세웠고 생활이 어려운 국악인들을 돕는 등 국악에도 적지 않은 시간과 돈을 쏟아부었다.
또 고미술품을 수집하는 데 열정과 재력을 쏟아 서화.서첩.간찰류 5천8백62점과 성리학 연구 백과사전 격인 성리대전목판각(性理大全木版刻) 9백39점을 모았다.
90년에는 이를 곡성군 옥과면 성령동의 땅 4천여평과 함께 전남도에 내놓아 옥과미술관을 만들게 했다. 이후 사람들이 12억원을 주겠다며 팔라던 성령동 땅 20만평도 망설임없이 내놓았다. 10만평은 청화(淸華) 큰스님에게 내줘 성륜사(聖輪寺)를 창건케 하고 나머지 10만평은 아산문화재단에 기증한 것이다.
그리고 69세 때인 94년 섬진강 지류인 보성강과 가까운 곳에 새 거처를 마련, 광주 생활을 접고 부인 유화순(柳和順.73)씨와 단 둘이 살고 있다. 화가로서 한창 성가를 누리고 지역 원로로서 대접을 받을 나이에 이를 마다하고 은둔의 길로 들어선 것이다.
요즘 그는 내년 말께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 계획으로 1백호 이상 위주로 작업하고 있다.
"대작은 힘이 있어야 하는데 늙으니까 기운이 없어 잘 안 됩니다. 이제야 겨우 그림에 대해 뭔가 알 것 같은데 안타깝습니다. 세상과 인생을 알고 내 사상이 선 지금부터 그리는 게 진짜 내 그림인데 말입니다."
곡성=이해석 기자<lhsaa@joongang.co.kr>
2003.05.21 19:16 입력 / 2003.05.22 09:09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