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실

임기환의 '고구려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2>

임기환의 '고구려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2>

우리 곁의 고구려

기사입력 2004-06-18 

 고구려는 신라나 백제와는 달리 우리와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사실 신라와 백제는 수학 여행길이나 문화유적 답사 등을 통해 자주 그리고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물론 역사 그 자체는 아니지만 곳곳의 유적이나 유물을 통해 백제인과 신라인의 숨결을 가까이 느낄 수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고구려는 그 중심 무대가 지금의 북한이나 중국 땅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우리가 그리 쉽사리 다가갈 수는 없지요. 그래서 그런지 잘 알 수는 없지만 무언가 거대한 역사가 깊이 잠들어 있으며, 아직 그 실체를 우리에게 드러내 보이지 않은 신비감마저 느낄 정도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우리 주변의 전혀 예기치 않은 곳에서 의외로 아주 쉽게 그리고 자주 고구려를 만날 수 있습니다. 전혀 믿기지 않으신다구요?
  
  그러면 먼저 서울 아차산 보루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를 만나 볼까요.

 

40040618174248.JPG
고구려 토기 ⓒ프레시안

  어딘가 낯이 익지 않습니까?
  
  글쎄 어딘가에서 본 듯하지만 잘 떠오르지 않는다구요?
  
  요즘은 우리 주변에서 쉬이 보이지는 않습니다만, 햇살 바른 장독대에 옹기종기 모여져 있는 정감있는 옹기를 한번 떠올려 보십시오. 그 둥글고 소박한 모습은 항상 넉넉한 마음을 갖게 합니다.
  
  그럼 이 옹기와 고구려 토기를 비교해 볼까요?
  
40040618174248[1].JPG
옹기 ⓒ프레시안

  자 어떠십니까? 정말 똑 닮았죠.
  
  이게 우연의 일치일까요?
  
  아님 옹기에 고구려 토기의 모습이 전승되어 남아있게 된 것일까요?
  
  굳이 역사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왜 오늘날의 옹기가 1500년전 고구려 토기랑 그 생김새가 그리도 빼닮게 되었는지는 누구나 금방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고구려는 이렇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도 조용하게 우리 곁에 남아있습니다.
  
  어디 옹기 뿐이겠습니까. 좀더 구체적인 것은 앞으로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고, 내친 김에 여러분들이 답사할 수 있도록 남한에 남아있는 고구려 유적 한 두군데를 더 소개하지요.
  
  먼저 좀 전에 보여드렸던 고구려 토기가 무더기로 발굴된 아차산 고구려 보루 유적을 소개합니다. 통칭 ‘아차산 4보루성’이라고 부르는 이 한 곳에서만 무려 1천여 점의 고구려 토기가 출토되었는데, 그 양과 질이 북한에서 나온 토기에 못지 않다고 합니다.
  
  4보루성은 발굴 조사 결과 그 원래의 모습을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게 되었는데, 대략 군인 1백명 정도가 거주하고 있던 군사 시설이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이 근처 광장동과 구리시에 걸쳐 있는 아차산 줄기와 이어지는 용마산 줄기에서는, 한강에서 임진강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방어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15개 정도의 고구려 보루성이 발견되었습니다. 그 중 발굴 조사된 곳은 2곳에 불과합니다만, 많은 유물만이 나온 4보루성 하나만으로도 고구려는 한걸음 우리 가까이 다가오게 된 셈입니다.
  
40040618174248[6].JPG
40040618174248[2].JPG
아차산 4보루성 전경 ⓒ프레시안

  이 아차산 보루성 유적에서 멀리 한강변을 바라보면 강북쪽에 동서터미널이 보이는데 그 근처에는 구의동 군사유적이 있습니다. 이 유적은 1977년에 택지개발 조사를 하던 중 발견되었는데, 처음에는 다들 백제 무덤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당시는 백제 무녕왕릉을 발굴하여 백제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있었고, 또 바로 한강 너머 가까운 거리에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이라는 백제 도성 유적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레 이 곳도 백제유적으로 판단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외형상으로 보아 고분처럼 생겼기 때문에 처음 조사하면서는 다들 백제 고분일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다만 도저히 백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는 이상한 토기들이 나와서 다들 의아하게 생각했지요.
  
  그러다가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토기인 나팔입토기가 나오고, 또 아차산 보루성이 발굴조사되면서, 이 구의동 유적도 고구려 군사 유적임이 밝혀지게 된 것이지요. 즉 이 구의동 유적은 그 위치나 규모로 보아 아차산 보루성의 전방 초소 역할을 한 것으로 짐작됩니다. 이처럼 눈앞에 고구려 유적을 놓고도 이를 미처 알아보지 못하였으니, 이것만 보아도 그동안 고구려가 얼마나 우리에게 멀리 떨어져 있었나 짐작할 수 있지요.
  
  자 이제 발길을 좀더 북쪽으로 돌려볼까요.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임진강 북쪽의 현무암 수직단애 위에는 삼각형 모양의 평지성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유명한 ‘고구려 호로고루성’이지요. 이 호로고루성은 임진강 북안의 넓은 벌판 위에 우뚝 솟아 있어 마을 주민들은 '재미산' 또는 '재미성'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지금은 성으로 들어가는 입구 부분의 성벽이 훼손되어 있지만, 고구려의 축성술을 잘 보여주는 거대한 성벽입니다.
  
40040618174248[4].JPG
고구려 호로고루성 원경 ⓒ프레시안

  이 호로고루성이 자리잡고 있는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습니다. 왜냐면 이곳은 장마철을 제외하고는 물의 깊이가 무릎 정도밖에 되지 않아 말을 타거나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여울목을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이 지역은 '호로탄' 이라 하여 장단을 통해 개성으로 들어가는 주요 길목이었습니다. 아마도 호로고루성은 고구려가 남진하면서 구축한 전략적 거점이었던 듯합니다. 특히 이 곳에서는 수많은 고구려 기와편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그동안 우리 남한에서는 그동안 매우 귀했던 유물들이라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40040618174248[5].JPG
호로고루성에서 출토된 고구려 기와편 ⓒ프레시안

  임진강 일대에는 호로고루성과 비슷하게 생긴 고구려 성이 몇 개 더 발견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소개하도록 하지요.
  
  이렇게 아차산 보루성과 호로고루성은 멀리 떨어져 있던 고구려사를 우리 곁으로 한결 다가오게 하였습니다. 역사란 선인들의 발자취와 손길과 숨결이 어려있는 곳에서 더욱 가까이 느끼게 되는 법이니까요.

/임기환 역사학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