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논문

한민족의 아키타이프- 그 근원을 캐다(1)

한민족의 아키타이프- 그 근원을 캐다

 

  권상호(문학박사, 문예평론가)

 

예술이라 하면 예[技藝]와 술[學術]을 아울러 이르는 말인데, 요즘은 특별한 재료나 기교, 또는 양식으로 남의 시선을 끌려고 하는 비주얼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기예(技藝) 쪽에만 신경을 쓰고, 학술(學術)의 개념은 점점 희박해 지고 있어 안타깝다. 특히 서예(書藝)는 여타 장르보다도 인문학적 바탕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예술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근원 선생의 경우 이 두 가지를 정확히 아우르는 진정성 있는 예술가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선생의 작품에는 정치(精緻)한 기예와 상생(相生)의 기운이 우러남은 물론 여기에다 언어학, 철학, 고고학, 미술사 등과 같은 학술적 깊이에서 오는 관조적 정서가 배어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그의 작품 앞에 서면 깨달음의 감동과 함께 신화적 신성(神性)이 엄습해 와서 묘한 아우라를 느끼게 한다.

 

칼로 새김과 붓으로 그음, 그것은 근원 선생에게 있어서만은 단순한 전각(篆刻)이나 서예가 아니라 잊혀가는 한국 고대문화의 원형 탐구와 우리 민족 신화(神話)와 신앙(信仰) 속에 숨어있는 상징(象徵)을 밝히고자 하는 신념이자 염원의 표현이다. 일생에 걸친 인고(忍苦)의 시간을 거치며 한 점 한 획에 쏟은 정성은 그에게는 몸 수행이자 마음의 기도이다. 고희(古稀)를 훌쩍 넘기고 팔질(八耋)을 바라보는 춘추(春秋)에도 한민족(韓民族)의 정신적 DNA를 밝히고자 하는 선생의 열정만큼은 언제나 청춘이다. 지금도 발굴을 위한 삽과 괭이 대신에 붓과 칼을 들고 동아시아 일대를 두루 섭렵하며 한민족의 고대사와 고문화의 근원을 캐내고자 고심하고 있다. 공간적으로 광활하고, 시간적으로 유구한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들을 우리의 근원(近源)에서 캐내어 그 원형질을 빛살무늬로 밝혀내는 고문화(古文化) 상징(象徵)의 해석(解釋) 학자이자, 동시에 그 세계를 작품으로 형상화해내고 있는 작가(作家)의 길을 가고 있다.

 

여러 해 동안 제자로서 선생의 논문과 서적, 그리고 발표 작품을 마주하면서 선생의 필생의 작업’(, Lebenswerk)은 무엇일까를 생각해 왔다. 처음에는 작업의 범위와 접근 방법이 매우 다양하면서도 이채로워 쉽게 규정지을 수 없었지만, 근년에야 나름 큰 줄기는 잡을 수 있었다. 곧 선생의 필생 작업의 핵심은 바로 한국 고대문화의 아키타이프(Archetype) 구현이란 믿음이 생겼다. 철학에서 한 민족의 정신 속에 조상으로부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무의식의 관념을 아키타이프라 하는데 번역하자면 元型, 原型, 典型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결국, 선생의 필생 작업은 한국 고대문화의 원형 연구와 작품 제작을 통한 한민족의 정신적 DNA를 밝히는 작업이라 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석재문화상(石齋文化賞) 수상을 기념하여 열리는 초대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문화의 아키타이프를 찾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작품 창작의 동기, 창작 목적, 창작 내용, 창작 과정, 구도와 소재, 작품 속에서 이야기하는 사람 등을 분석해 봄으로써 선생의 사상과 철학 및 차별화된 작가 정신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선생의 경우 창작 동기 측면에서 보면 연정이발(緣情而發)의 작가이다. 緣情而發이란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나오는 말로 백운 선생의 문학 창작 동기를 적절하게 나타낸 구절이다. 그는 글의 연원을 ()에 연유(緣由)한 마음의 격동(激動)’에 두고, 일단 마음속에 격함이 있으면 자연히 발로(發露)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하여 緣情而發로서의 문학 창작관을 말하고 있다. (且文者 緣情而發 有激於中 必形于外 而不可遏止者也)

비록 문학과 서예라는 장르상의 거리는 있지만, 선생의 모든 작품에서 지나간 칼자국이나 붓질의 흔적을 살펴보면, 어떤 키워드나 이미지가 마음속에 불쑥 일어나면’(有激於中) 그 격동을 참지 못하고 즉시 형상화(形象化) 작업(必形于外)에 들어갔다. 작품을 자세히 볼 필요도 없이, 돌 위에서 칼을 잡든 종이 위에서 붓을 들든 거침없이 긋고 써 내려간 흔적에서 緣情而發의 작가임을 알 수 있다. 혹여 잘못 쓴 글자가 있더라도 왕희지(王羲之)난정서(蘭亭序)’에서처럼 초고는 그대로 두고, 그 위에서 교정해 나간 흔적을 살필 수 있다. 이것은 실수나 단점도 작업의 과정으로 노출하려는 작가의 의도된 계산이다. 필자는 이를 라이브서예(Live Calligraphy)라 칭하고 있다.

특히 서예의 경우, 결과는 조형예술이면서 과정은 음악이나 무용과 같은 시간예술적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진중하고 엄숙한 경서류(經書類)가 아니라면 작품 창작 동기에서 緣情而發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때 놓쳐서는 안 될 중요한 사항은 선생처럼 깊은 학문적 소양과 오랜 필륜(筆輪)이 있을 때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자칫 거친 작업은 어둡기 십상이고, 시간을 다투는 작업은 가볍게 보일 수도 있지만, 그래서인지 선생의 작품은 무거우면서도 어둡지 않고, 역동적이면서도 가볍지 않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