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吝嗇하지 말고 布德하라
인색(吝嗇)하다는 말은 ‘인색하게 굴다’에서처럼 재물을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치거나, ‘박수에 인색하다’에서처럼 어떤 일을 하는 데 대해서 지나치게 박할 때 쓰는 말이다. 두 글자의 공통점은 부수가 ‘口’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인(吝)은 돈은 쓰지 않고, 글[文]과 말[口]로 떼우는 행위이고, 색(嗇)은 쌀은 없고, 기장이 주식이던 시절, '보리[來]'를 가둬두는 곳을 뜻했다. 발음이 ㄱ받침으로 '새지' 않는 발음, 곧 '입성'이다.
吝(아낄 린; lìn): 현대적 해석으로 보면, 무늬(文)가 있는 아름다운 말(口)은 아껴야 한다 – 아낄 린. 글과 말로만 번지르르 하고 ‘인색하다’ - 인색할 린.
본래 회한(悔恨)이나 유감(遺憾)을 뜻한다. <설문>에서는 ‘恨惜’으로 풀이하고 있다. 인간은 회한이 있을 때, 늘 입안에 ‘嘖嘖(들렐 책, 외칠 책; zé)’ 하며 소리를 내며, 구각(口角, 입아귀, 입의 양쪽 구석)에는 추문(皺紋, 주름살 무늬)이 나타난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입 위에 무늬(紋)를 뜻하는 문(文)자를 더하여 지금과 같은 글자가 생겼다.
嗇(啬, 아낄 색; sè): 그 옛날에 '보리[來]를 수확하여 튼튼한 창고 안에 넣은 모양'에서 ‘아끼다’의 뜻이 생겼다. 다시 보리를 잘 보관하기 위하여 담장을 둘러놓은 모양이므로 ‘담’의 뜻도 갖게 되었다. 또 다른 설로는 색(穡)의 본자로 보고 있다. 전(田) 위에 화(禾)자 두 개가 놓인 모양에서 본뜻은 ‘收穫穀物(收获谷物)’이다. 더러는 돌 위에 수확해 놓은 벼로 보기도 한다.
布(베 포; bù): 금문에서는 ‘父 밑에 巾’으로 쓰고 있다. 물론 父는 소리를 나타내지만, 돌도끼(斧)를 든 ‘남성’의 의미와 으뜸의 뜻도 있다. 그렇다면 布는 으뜸가는 베의 의미도 있다. 이 父자가 又자처럼 변하여, 손에 들고 있는 수건의 모양이 지금의 글자이다. 손에 들면 布, 허리에 차면 帶(띠 대; dài), 화폐로도 쓰인 바 있는 귀하고 깨끗한 베는 帛(비단 백; bó)이다.
德(덕 덕; dé) : 갑골문에서 ‘척(彳)’은 더러 ‘행(行)’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도로’나 ‘방향’을 뜻한다. 그리고 ‘직(直)’은 눈동자(眼睛안정) 위에 ‘丨’을 그려 ‘직시(直視)’ 또는 ‘정직(正直)’의 의미를 나타내었다. 금문에 와서 심(心)을 더하여 ‘도덕(道德)’의 뜻을 나타냈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