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다음 원고 준비

叒 叕 取(취) 聚(취) 受(받을 수) 授(줄 수) 綴(철) 叔(아재비 숙) 叔父(숙부), 叠(겹쳐질 첩) 疊疊山中(첩첩산중),

帚(비 추)의 갑골문의 자형은 빗자루 모양이다. 금문에는 중간을 끈으로 묶은 모습이 보인다. 해서에서는 이 끈은 멱(冖)으로 아랫부분은 건(巾)으로 바뀌었음을 볼 수 있다.

帚(비 추) 앞에 손[扌]을 붙이면 손에 빗자루를 들고 있는 형국이므로 당연히 ‘쓸 소(掃)’ 자가 된다. 빗자루 대신에 사람을 붙잡으면 ‘부축하다, 돕다’의 뜻인 부(扶)가 된다.

한 여인이 손에 빗자루를 잡고 있는 모습은 ‘며느리 婦(부)’이다. 예컨대 婦人(부인), 夫婦(부부), 新婦(신부), 姙産婦(임산부) 등이 있다.

妻(아내 처)는 갑골문에서 여인의 머리를 얹어주고 있는 모습이다. 이 여인은 아내이고 머리를 잡은 사람은 남편이다. 그래서 이 글자를 ‘아내’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秋(추)에는 帚(비 추)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愁(수)

寸(마디 촌) 사람의 손으로부터 一寸되는 곳에 맥박이 뛰는 곳을 寸口라고 한다. 寸 은 又 를 따르고, 一로써 寸口의 위치를 가리켰다.

手(扌, 손 수) 拳鬪, 車掌, 如反掌, 擊退, 擧論, 打擊, 抗拒, 扶助, 搜査, 掌握, 愛撫, 攪亂(교란)

支(가를 지) 손으로 대나무 가지를 꺾어들고 있는 모습으로 枝의 본래자이다. '가지', '지탱하다', '가르다', '지출하다' 등과 관련된다. 鼓吹

攴(칠 복) 손에 회초리나 나뭇가지를 들고 가볍게 치는 모양을 표현한 글자로 '치다'의 뜻을 지닌다. 例) 攻擊, 敎學相長

손에 몽둥이나 창을 들고 있는 모양으로 '치다'의 뜻으로 쓰인다. 殺害, 毁損, 毆打

爪(손톱 조) 아래를 향해 무엇인가 잡는 손과 손톱의 모습으로, '손톱', '발톱', '손으로 잡다' 등의 뜻이다. 爭, 爬(긁을 파), 受(받을 수)

爸, 爹  

皮(가죽 피) 덮여 있음을 뜻하는 厂(언덕 한)에, 뾰족하고 날카로운 연장을 상징하는 丨(통할 곤)과 오른손을 의미하는 又(또 우)로 구성된 글자로, 덮여있는 부위를 날카로운 연장을 이용해서 손으로 벗겨 쓰는 부위가 (동물의) 가죽이라는 뜻이다. '革'은 벗겨낸 껍질, '皮'는 벗겨내기 전의 피부의 상태, 벗겨내는 동작을 나타낸다.

例) 皺(주름 추)

鬥(싸울 투) 두 사람이 서로 마주 잡고 격투를 벌이는 모습..

鼓(북 고) 손에 북채를 들고 북을 치는 형상. 좌측의 士는 북에 달린 장식물, 口는 가죽을 댄 소리 나는 부분, 아래는 받침대, 우측의 '支'는 손에 나무막대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칠 복'의 뜻이다.

爪(손톱 조)는 내미는 손이다. - 爭, 淨,

受(받을 수) - 授, 授受 帥(장수 수)가 守(지킬 수)한다. 袖(소매 수), 搜(찾을 수)

爰(이에 원) - 救援,

菜(나물 채) - 採(캘 채)

寸(마디 촌) - 尋(찾을 심)

攴(칠 복) 채찍질하다, 등글월문 = 복

殳(창 수)

友, 及, 殳(창 수, 갖은등글월문), 急, 級 등의 글자들은 모두 又[손]과 깊은 관계가 있다. '友'자는 '又+又'로서 손과 손을 맞잡고 뜻을 같이 하는 사이, 곧 '벗'을 나타낸다. '及'자도 '又+人'으로 분석되며 곧 뒷사람의 손이 앞사람에게 미치는 형상에서 '미치다'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投(투)'의 몸에 해당하는 '殳(수)'자는 '几(궤)+又'로 이루어졌으며 오른손에 들고 있는 기다란 무기란 뜻에서 '창'이란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急'자는 '心(심, 가슴)'에 들어오는 '刀(도, 무기)'를 '⺕(계, 손)'으로 막아야 할 정도로 급하다 하여 '급하다'의 뜻이 되었다. '級(급)'자는 전장에서 무기로 적의 머리를 벤 등급을 '糸(사, 실)'로 나타내었다고 하여 '等級(등급)' 또는 '階級(계급)'이라는 뜻으로 되었다.

又-友-及-急

/추/라는 발음에는 ‘꼴[芻], 뽑다[抽], 가을[秋], 쫓다[追]’ 등이 있는데 의미상 서로 통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口의 다양한 쓰임을 알아본다.

첫째, 당연히 입 구(口)자로서 입을 가리킨다. 右(오른쪽 우)는 밥 먹는 손, 句(글귀 구), 吐(토할 토), 君(임금 군), 吟(읊을 음), 吠(짖을 폐), 否(아닐 부), 含(머금을 함), 呼(부를 호), 吸(숨 들이쉴 흡), 吹(불 취), 吼 (목구멍 후), 吾(나 오), 告(알릴 고), 訥(말 더듬을 눌), 言(말씀 언), 咀(씹을 저), 呑(삼킬 탄), 呪(빌 주), 味(맛 미), 名(이름 명), 咄(꾸짖을 돌), 和(화할 화), 霝(비올 령)< 喜(기쁠 희), 嘶(울 시), 喉(목구멍 후),

물건을 가리킨다. 品(물건 품), 中(가운데 중), 呂(등뼈 여), 宮(집 궁),

텅빈 공간을 가리킨다. 同(한가지 동), 桐(오동나무 동), 洞(골 동), 筒(대롱 통)

머리를 가리킨다. 呆(지킬 보, 어리석을 태), 保(지킬 보)

특정한 장소를 가리킨다. 邑(고을 읍)은 ‘口+巴’ 의 회의자이다. 口는 굴복하는 사람(巴)이 사는 영역을 나타내고, 韋(다룸가죽 위)는 ‘발+口+발’의 모양의 회의자이다. 가죽을 가리키는 口 주변을 돌아가면서 밟고 있는 형상이다. 왼쪽을 향한 발과 오른쪽을 향한 발이 가죽 주위를 돌고 있는 모양이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게 돌고 있으므로 違(어길 위)의 의미가 있고, 주변을 두루 돌고 있는 모양은 圍(둘레 위)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