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란 무엇인가?
(1) 한시의 정의
한자로 기록된 시로 좁은 의미에서는 한대(漢代)의 시를 일컫는 말이지만, 중국 및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쓴 시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좁은 의미로는 시가(詩歌), 악부(樂府)만을 뜻함.
(1-1) 분류와 형식
한시의 분류기준은 자수(字數)·구수(句數)·압운·운자(韻字)·위치 등이다. 자수는 5언·7언이 대부분이며 4언·6언도 있다. 구수는 4구·8구가 대부분인데, 일반적으로 4구는 절구(絶句), 8구는 율시(律詩)라고 한다. 압운에서 운자는 대부분 구말(句末)에 둔다. 그러나 고대시 가운데는 구수·구중에 압운하는 경우도 있으며, 장시에서는 도중에 운을 바꾸기도 한다. 한시는 그 성격상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2) 한시의 종류
① 고체시(古體詩)
당나라 이전에 지어졌던 시로서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구(句) 수의 제한도 없이 4자, 5자, 7자 등을 한 구로 하여 작자의 임의대로 자유롭게 적은 시를 말한다. 고체시는 시경(詩經)에서 기원하여 전국 시대 말기 초사체를 거쳐 한(漢)대의 고체시로 발전되었다. 우리들이 흔히 근체시의 대립 개념으로 쓰는 고체시란 바로 한대의 고체시를 말한다. 또 악부라 불리는 시의 형식이 있는데 이는 한대의 관청의 명칭과 시체의 이름을 동시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음악에 맞춰 부르는 일체의 시가 및 사곡(詞曲)을 이른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는 근체시 성립 이전, 즉 태고의 가요에서부터 위진 남북조의 악부 가행(歌行)을 가리키지만, 근체시 성립 이후에 이루어진 시 중 근체시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시를 가리키기도 한다. 근체시에 비해 구법(句法)과 연의 구성 및 구수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5언·7언이 주가 되나 4언·6언도 있다. 압운은 존재하지만 엄격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것이 오언고시와 칠언고시이다.
② 근체시(近體詩)
당나라 건국 이후에 지어진 새로운 시의 형식으로 구수(句數), 평측(平仄), 압운(押韻) 등의 규칙이 매우 엄격하게 적용되는 시를 이른다. 뜻을 위주로 지어졌던 한대의 시는 육조(六朝)에 이르러 점차 기교로 흐르게 되었고 심약(沈約) 등에 의해 엄격한 압운법과 평측법이 수립됨으로써 종래의 시와 다른 근체시라는 새로운 시형이 탄생되었다. 기승전결의 구법이 있으며, 연의 구성과 대구의 구속이 있고 구수의 규정이 있다.
율시· 배율(排律)· 절구의 3종류가 있는데, 각각 5언·7언의 구별이 있다. ① 율시는 1편이 4운 8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2구절을 묶어 1련이라고 하고 수련(首聯)·함련(聯)·경련(頸聯)·미련(尾聯)으로 구성되며, 이때 함련과 경련은 반드시 대어(對語)를 써서 연구(聯句)를 이루어야 한다. 오언율시에는 제2·4·6·8구에 압운이 붙고, 칠언율시에는 제1·2·4·6·8구에 각운(脚韻)이 붙는다. ② 배율은 한 편이 6련 12구로 구성되며 한 구는 5언이 정격이나 7언도 있다. 평측과 압운은 율시와 비슷하지만 6련을 모두 대어연구(對語聯句)로 한다. ③ 절구는 기승전결의 4구로 이루어지며 1·2구는 산(散), 3·4구는 대(對)가 된다. 오언절구에는 제2·4구의 끝에, 칠언절구는 제1·2·4구의 끝에 압운을 둔다.
구분 |
종류 |
자수 |
구수 |
특징 |
고체시 |
고시 |
4 言 |
제한 없음 |
압운의 제한이 심하지 않고, 평측의 제한이 없음 |
5 言 |
제한 없음 | |||
7 言 |
제한 없음 | |||
악부 |
5 言 |
제한 없음 |
5언과 7언 외에 4언4구 또는 잡언 등 형식이 일정치 않음 | |
7 言 |
제한 없음 | |||
근체시 |
절구 |
5 言 |
4 구 |
압운과 평측의 제한이 매우 엄격하고, '기, 승, 전, 결' 형태를 취함 |
7 言 |
4 구 | |||
율시 |
5 言 |
8 구 | ||
7 言 |
8 구 | |||
배율 |
5 言 |
12 구 |
8구보다 늘어나 율시가 확장된 형식임. | |
7 言 |
12 구 |
四聲 : 한자를 '장단고저'에 따라 나눈 네 가지 갈래. 즉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을 말한다. 소리 나는 모양을 살펴보면 ① 평성 : 평탄하게 낮은 소리, ② 상성 : 처음이 낮고 끝이 높은 소리, ③ 거성 : 처음이 높고 끝이 낮은 소리, ④ 입성 : 끝이 폐쇄되는 소리와 같다. 자전에는 글자마다 '聲'을 표시하고 있다.
韻字 : 운모가 같으면서 사성의 '성'이 같은 계열의 글자들. 즉 '운'이란 사성에 의하여 분류된 글자를 한 단계 더 분류한 것으로, 한자음에 있어 처음의 자음을 除(제)한 그 다음의 모음이 같은 계통의 글자들을 말한다. 한자의 음절에서 성모(聲母)를 제외한 부분. 또는 그것을 종류에 따라 나눈 것. 성조의 차이에 따라 평·상·거·입의 사성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그 유사성에 따라 분류한 것을 이른다. 예전에는 200여 운이었으나 뒤에 정리되어 106개로 운이 분류되었다.
言 : 시 한 구의 글자수. 1구의 자수가 4자이면 사언시, 5자이면 오언시, 7자이면 칠언시이다.
言雜 : 시 한 수 속에 3·4·5·7 등의 구를 혼용한 시형.
絶·律 : '절'은 절구의 준말로 4구체의 시형이다. 한 구가 5자씩으로 된 5언 절구와 7자씩으로 된 7언 절구가 있다. 장시의 한 토막과 같은 시라는 뜻이다. '율'은 율시의 준말로 한 수가 8구로 된 시형이다. 한 구가 5자인 5언 율시와 7자인 7언 율시가 있다. 규칙이 엄격한[律] 시라는 뜻이다.
(1) 고체시의 짜임
고체시는 일정한 형식의 제한(자수의 제한, 구수의 제한)이 없이 대체로 짝수 구에 압운하며 중간에 환운(換韻)까지 할 수 있다.
고체시 |
시경체 |
4언이 기본구로 됨 |
|
고시 |
4언시 |
구수의 제한이 없음, 환운할 수 있음. | |
5언시 | |||
7언시 | |||
5·7 잡언 | |||
3·7 잡언 | |||
3·5·7 잡언 | |||
초사체 |
1구 5·6·7언이 주종이고, 매구 또는 격구로 영탄조의 어조사 '兮'가 쓰임 | ||
악부체 |
악기의 반주로 노래 부르게 된 악장, 자수의 제한없이 잡언체가 주류를 이룸. |
(2) 고체시의 발전 과정
① 시경에서 초사로 이어짐
② 한대에 악부가 발생함
③ 한대에 이르러 오언시가 발생함
④ 위·진 시대에 이르러 칠언시체가 정식으로 성립함
⑤ 남북조와 수대에 이르러 고시의 변체, 장단구의 출현 율시의 형성으로 근체시에 이어짐
근체시는 또한 '금체시'라고 부르기도 한다. 당대 이후 대체로 과거와 관계되어 생겨났다고 한다.
(1) 절구의 짜임
절구(絶句)는 한시체(漢詩體)의 하나로 5언절구와 7언절구가 있다. 5언절구는 5언 4구 20자이고, 7언절구는 7언 4구 28자이다. 육조인(六朝人)의 시집에 "5언 4구의 시를 절구 혹은 단구(斷句)·절구(截句)라고 한다"라는 말이 있어 절구의 체는 한(漢)·위(魏)의 악부(樂府)에서 싹터 당대(唐代)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율시(律詩)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생겨났으므로 근체시에 속한다. 제1구를 상(想)을 일으키는 기구(起句), 제2구를 1구의 뜻을 이어받는 승구(承句), 제3구를 뜻을 살짝 전환하는 전구(轉句), 그리고 제4구를 1·2·3구의 뜻을 종합하여 묶는 결구(結句)라고 한다. 구의 구성은 ① 1·2구는 산구(散句)로써 기(起)하고 3·4구는 대구(對句)로써 결(結)한 경우, ② 1·2구 대구로써 기하고 3·4구 산구로써 결한 경우, ③ 4구 모두 대구를 쓰는 경우, ④ 4구 모두 산구를 쓰는 경우가 있다.
절구는 평측과 압운이 까다롭게 지켜진다. 5언절구의 운법(韻法)에는 평기식(平起式)과 측기식(仄起式)이 있다. 측기식을 정격으로, 평기식을 편격(偏格)으로 삼는다. 그런데 측기식이든 평기식이든 모두 제2구와 제4구의 제5자에 같은 운자를 압운(押韻)하는 것이 정격이다. 제1구에도 같은 운자를 압운하는 경우 제1구의 끝 3자가 측기식에서는 '측평평'이, 평기식에서는 '측측평'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구의 제2자와 제4자는 같지 않은 것, 즉 제2자가 측자이면 제4자는 평자로 해야 하는 이사부동(二四不同)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측기식과 평기식의 정격과 실제 작품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평자 ●측자 ◑평측 다 좋은 것 △압운이 들어 있는 것.)
7언절구는 300년간 성행했던 당대(唐代)의 신체시로 당시문학의 정수였다. 전체 작가가 2,200여 명이나 되며 만당(晩唐)으로 내려오면서 기교적으로 흘러 7언절구의 향기를 잃게 되었다. 평기식과 측기식이 있는데 5언과 달리 평기식을 정격으로, 측기식을 편격으로 삼는다. 5언보다 더 평측과 압운이 까다로운데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① 5언에서 말한 이사부동을 지켜야 한다. ② 매구 제2자와 제6자는 같이 하는 것, 즉 제2자가 평이면 제6자도 평이어야 하는 이육대(二六對)를 지켜야 한다. ③ 제4자의 평이 측과 측 사이에 낀 고평(孤平)과, 제4자의 측이 평과 평 사이에 낀 고측(孤仄)을 피한다. 제2자와 제6자의 고평·고측은 크게 나무라지 않는다. ④ 측기식의 제3구 밑의 3자가 고평이 될 때는 고측이 되도록 조절해야 한다. ⑤ 범죄(犯罪), 즉 제목이 〈명월 明月〉일 때 4구 중에 명자나 월자가 들어가는 것을 삼가해야 한다. ⑥ 압락(押落)이라 하여 제1구에 압운하지 않는 경우, 제1구를 평기식의 경우 '◑○◑●○○●'로, 측기식의 경우 '◑●◑○○●●'로 한다.
절구는 조(調)의 고아함, 운의 청고(淸高)함, 뜻의 심오함을 자연스럽게 담아야 한다. 말은 짧으나 뜻은 깊어서 함축부진(含蓄不盡)의 맛이 있는 한시체이다. 한국의 경우 최치원의 〈추야우중 秋夜雨中〉·〈도중작 途中作〉을 5언절구와 7언절구의 효시작으로 삼는다.
제 1구 |
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