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제8강> 가슴 이야기 1
心(마음 심) 심장- 가슴- 마음(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추리 상상적 사고력이 필요한 부수)
사람의 '심장'의 모양을 본뜬 모습.
+- 心 - 忠
+- 심 변으로 쓰일 때의 자형. '심방 변' - 恨
+- 심 발로 쓰일 때의 자형. '마음심 발' - 恭
思(생각할 사) 田은 신(정수리 신). 옛날 사람들은 머리와 심장은 모두 생각하는 일을 담당하는 기관이라고 생각. 갑골과 금문에는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데, 그 때는 '心'자로써 '생각하다'는 뜻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小篆 시대, 곧 秦나라 이후에 와서야 머리로 생각한다고 생각하여 '신(정수리 신)'자를 붙였다.
學而不思則罔;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속기 쉽고,
思而不學則殆;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확신이 서지 않는다. <論語>
신門(신문) 정수리.
想(생각할 상) 思也. 서로의(相) 마음을 생각하다.
忠(충성 충) 자기 마음의 中心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
충(근심할 충) 마음의 中心이 뚫리니 근심하다.
* 곤(뚫을 곤)→ 串(익힐 관)→ 찬(꼬챙이 찬)→ 患(근심 환)
志(뜻 지) 금문과 소전에서는 '之(音)'였고 '士'가 아니다. '기록하다'의 의미도 있다. 三國志
현대적으로 볼 때, '선비의 마음'은 뜻이 강하다.
誌(기록할 지)
識(기록할 지, 알 식)
意(뜻 의) 意志
義(옳을 의) 義理
忍(참을 인) 칼날(刃)이 심장을 찌르는 듯한 고통을 참고 이겨냄.
恭(공손할 공) 삼가다, 조심하다.
손을 한데 모아(共) 공경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急(급할 급) = 心(뜻) + 及(음). '마음이 급하다'는 뜻. 危急
현대적 해석으로는 '가슴[心]'에 들어오는 '刀[무기]'를 '계[손]'으로 막아야 할 정도로 급하다 하여 '급하다'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
* 마음의 작용은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새로운 해석이 많이 있을 수 있다. - 急, 志, 愛, 思 등
息(숨쉴 식) 숨, 호흡, 쉬다. '마음(心) 속의 기운이 코(自)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됨→숨.(단옥재)'. '코로 숨쉬는 일과 심장 박동 외에는 아무일도 안 하니→쉴 때의 모습→쉴 식. 休息. 窒息.
쌔근쌔근 숨쉬며 잠자는 자식 - '자식'의 의미. 子息.
憩(쉴 게) 혀와 코를 마음 편하게 가만히 두다.
* 休→息→憩―怠
忿(성낼 분) 마음이 갈라지니 성낼 수밖에. 忿怒. 憤(결낼 분)怒.
怒(성낼 노)
奴의 자형은 큰손으로 한 여자를 붙잡아 '노예'로 만드는 모습'이다. - 奴隸 노, 下人 노
잡일에 종사하는 '奴'는 책망을 듣기 일쑤여서 '성내는' 일은 다반사. - 성내다. - 怒發. 忿怒
* "奴는 노상 NO 하며 怒하지만 努해야 먹고 살 수 있다.
그래서 奴가 魯(노둔할 로)하면 露 많은 路에서 勞하다가 老한다."
慄(두려워할 률)
栗(밤나무 률) 갑골문은 나무 위에 가시가 붙은 세 개의 열매가 달려 있다. 이것이 밤나무. 밤은 세 톨이 하나로. 西자가 세 톨의 모양.
후에 두려움이나 추위로 '덜덜 떨다'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지금의 간체자에서 '慄(두려워할 률)'과 栗을 栗 하나로 통합하여 쓰고 있다. 戰慄(전율)
愛(사랑 애)
원래는 '기(기운 기)'로 썼다. 자형은 한 사람이 두 손으로 '심장을 들고 입을 크게 벌려서 마음 속의 애정을 하소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說文>에는 '惠也'로 풀이. 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마음이 곧 사랑이다.
치(치)자로 보면 사람이 사뿐사뿐 뒤에서 걸어온다는 뜻도 가능하다.
慶(경사 경) 옛날 사람들은 남의 경사스러운 일에는 언제나 사슴 껍질을 보내어 그 뜻을 나타내었다. 그래서 鹿과 心으로 이루어졌다.
鹿의 특징 1. 가장귀 모양의 뿔
2. 커다란 눈망울
3. 뾰족한 입
4. 유연한 몸매
5. 뛸 때의 발굽 모습
麓(산기슭 록) 사슴들이 모여사는 곳. 산기슭은 녹녹하다.
憐(불쌍히 여길 련) (병사들이) 죽어서 도깨비불(燐; 도깨비불 린)이 되다니 마음에 불쌍한 생각이 든다. - 可憐하다. 憐憫. 同病相憐. 간체자에서는 怜(영리할 령, 가련할 령)으로 쓴다.
린(도깨비불 린. 돌 틈을 물이 흐르는 모양 린; lín) 鬼火. 도깨비불은 밤에 이리저리 날아다니므로, 마치 걸어다닐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금문에서는 두 다리가 있다. 해서에서 石이 첨가.
寧(편안할 녕) 금문에는 집안에 탁자가 있고, 그 위에 그릇이 놓여 있는 모습. 곧 음식이 풍족하여 생활이 안정되어 '편안하다'. 후에 心이 붙어 安寧의 뜻이 됨.
德(덕 덕) = 悳(덕 덕) 갑골문에서는 '눈이 똑바로 앞을 보고 가는(척) 모습. 道德
척(조금 걸을 척) 또는 行에 직(눈이 똑바로 앞을 보고 있는 모습 - 정직)
恃(믿을 시) 남의 마음을 '헤아려 가야(寺)' 믿을 수 있다.
悉(다 실) 짐승의 발자국 + 心. 바로 앞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그 상황을 마음속으로 다 알고 있다. 본래의 뜻은 '상세하고 빠짐없이'. 知悉.
참고:禸(발자국 유; ⽱-총5획; róu) 채
兌(바꿀 태, 기뻐할 열)가 본래자. 웃을 때 생기는 입가의 주름→ '기뻐서 웃는 사람' 태
怡(기쁠 이) 목숨이 붙어 있으니 기쁘다. 전서에서 위 부분은 以자이므로 형성자이다.
의성적 요소가 강하다(이이!). 喜喜! 樂樂!
= 悅yuè(기쁠 열; 心-총10획)
= 說shuō,yuè(말씀 설; 言-총14획) 言자로 보면 '말'의 뜻이고, 兌자로 보면 '기쁨'이다.
"舌(혀 설; 舌-총6획)로 說한다." 열
銳(날카로울 예, 예민할 예) 칼이 가장 기쁜 상태는 '날카로울' 때이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