起床有感(기상유감)
도정문자연구소 권상호
‘얼’을 나타내고(表現) 알아듣기(理解) 위해서는 ‘말·글’을 ‘알’아야 한다.
표현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얼’이지만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뜻’이다. (- 듣다, 들 入, 들어오다, 드나들다...)
‘뜻’ 곧, ‘말귀(내 생각엔 ’말끼‘ 또는 ’말기‘로 써야한다고 본다)’를
알아들어야(남의 말을 듣고 뜻을 알아야) 가슴이 ‘뜨끈뜨끈’(뜻근)해 진다.
‘얼말글’ ‘말글뜻’을 形音義(형음의)라고도 한다.
모든 일과 공부의 시작은 /기/에서 출발한다.
오늘은 /기/ 발음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합니다.
기필코(期必-), 기어코(期於―), 기어이(期於―), 꼭, 반드시, 틀림없이~
‘~ 해냈구나. ~ 성사시켜야 한다.’
起(일어날 기; ⾛-총10획; qǐ)
몸도 붓도 起身(기신), 起筆(기필)해야 활동할 수 있다.
서예의 시작은 붓을 종이 위에서 일으켜 세워야 한다. 이것이 起筆(기필)이다.
하루의 시작은 몸을 寢牀(침상)에서 일으켜 세워야 한다. 起床(기상) 또는 起寢(기침)이다.
漢詩(한시)나 論說文(논설문)도 起(기)로부터 시작한다.
起承轉結(기승전결)=起景情思(기경정사). 起死回生(기사회생), 동산재기(東山再起), 一念發起(일념발기). 緣起(연기: 불교에서는 生起消滅(생기소멸)하는 모든 현상을 일컫는다. 모든 현상은 원인인 ‘인(因)’과 조건인 ‘연(緣)’이 상호 관계하여 성립하며, 인연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 인연생기(因緣生起).
氣(기운 기; ⽓-총10획; qì)
물의 운행은 上昇氣流(상승기류)에서 시작된다.
*왜 구름을 /운(雲)/이라 발음할까? /운(運)/하니까.
전쟁 승리는 군사의 勇氣(용기)에서 시작된다.
힘이 달리면서도 남에게 지기 싫어하는 마음에 傲氣(오기)를 부리면 곤란하다.
氣候(기후), 氣山心海(기산심해), 陽春和氣(양춘화기)=春風和氣(춘풍화기), 和氣滿堂(화기만당), 氣盡脈盡(기진맥진), 社會正氣(사회정기: 사회의 바른 氣風),
氣韻生動(기운생동)- 畫六法(화육법) 중에서. 韻致(운치= 興致, 風致. 格調, 風致地區)
基(터 기; ⼟-총11획; jī)
건축은 基礎(기초)를 다지는 데에서 시작된다. 基礎工事(기초공사)
基本(기본), 基準(기준), 基盤(기반), 基底(기저) 疾患(질환).
무덤, 碑碣(비갈), 塔(탑) 따위를 세는 단위.
基督教(←그리스도교)= 耶稣教(야소교. 耶稣의 중국 발음은 /예수/), 新教(신교).
機(틀 기; ⽊-총16획; jī)
제품 생산은 機械(기계) 始動(시동)에서 시작된다.
대개 富者(부자)들은 어린시절의 가난이 부자가 되는 轉機(전기)가 되었다.
絶好(절호) 機會(기회), 勿失好機(물실호기), 孟母斷機(맹모단기)= 斷機之敎(단기지교), 斷機之戒(단기지계, 訓戒), 孟母三遷(맹모삼천), 機動打擊隊(기동타격대).
技(재주 기; ⼿-총7획; jì)
어떤 일을 효과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技術(기술)이 있어야 한다.
技巧(기교)를 부리다. 마음껏 技倆(기량)을 發揮(발휘)하다. 技藝(기예)를 닦아 達人(달인)에 이르다. 시내버스 技士(기사). 酒色雜技(주색잡기). 一人一技(일인일기). 技術提携(기술제휴).
期(기약할 기; ⽉-총12획; qī,jī)
약속은 期約(기약)에서 시작된다.
期待(기대)를 걸다. 飮酒(음주) 團束(단속) 期間(기간). 期約(기약) 없이 떠나가다. 一世一期(일세일기)= 한平生. 萬歲一期(만세일기)= 千載一遇(천재일우).
記(기록할 기; ⾔-총10획; jì)
문사철은 記錄(기록)에서 시작된다.
大書特記(대서특기)= 大書特筆(대서특필). 新聞(신문) 記事(기사), 撮影(촬영). 記憶(기억).
企(꾀할 기; ⼈-총6획; qǐ)
기도(企圖)하고 기획(企劃)하여 기업(企業)이 탄생한다.
企圖(기도): 어떤 일을 이루려고 꾀함. 또는 그런 계획이나 행동. 計劃(계획), 圖謀(도모), 試圖(시도). 企劃(기획): 일을 꾀하여 계획함. 企業(기업)
祈(빌 기; ⽰-총9획; qí)
서양 속담에 ‘전쟁에 나갈 때는 한 번, 배 타고 바다에 갈 때는 두 번, 결혼할 때는 세 번 祈禱(기도)하라’라고 했다. 결혼할 때는 무엇보다 정서적 심리적 성격적 宮合(궁합)이 중요하다.
祈雨祭(기우제). 祈福(기복)信仰(신앙), 豊年(풍년)祈願(기원).
器(그릇 기; ⼝-총16획; qì)
밥이나 국을 먹기 위해서는 담을 容器(용기)가 있어야 한다.
絃樂器(현악기). 角度器(각도기), 噴霧器(분무기), 生殖器(생식기), 呼吸器(호흡기), 醫療器(의료기), 醫療機器(의료기기), 廚房器具(주방기구), 運動器具(운동기구), 實驗器具(실험기구).
君子不器(군자불기): 「군자(君子)는 일정(一定)한 용도(用途)로 쓰이는 그릇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한 가지 재능(才能)에만 얽매이지 않고 두루 살피고 원만(圓滿)하다는 말.
信使可覆(신사가복)이요 器欲難量(기욕난량)이라
믿음(信)은 실천(증험)할 수 있도록(可覆) 하고(使), 기량(器量: 사람의 德量과 才能)은 헤아리기 어렵도록(難量) 하고자 한다(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