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匕是什么 - 원고

匕是什么

도정문자연구소

 

匕(비수 비; bǐ)의 자원은 복잡하다. 두 번이나 구부려서 표현한 것을 볼 때 ‘길쭉하게 생긴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소전을 보면 ‘칼 도(刀)’보다 짧은 ①‘匕首[短刀]’를 뜻함이 분명하다. 그러나 갑골문을 보면 ②고기나 과일 등을 꽂아 먹는 두 갈래진 ‘꼬치나 포크(叉子)’ 또는 ③국물을 떠먹는 ‘숟가락’이나 ‘국자(勺子)’였다. 그런데 갑골문을 보면 ④다소곳한 여성의 옆모습으로 보이지 않는가? 물론 숟가락은 여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匕-刀-斤의 비교: ‘비수’에서 ‘칼’로, 다시 ‘낫 또는 도끼’로 의미가 확장된다.

 

 

 

* 比와 从: 둘 다 ‘두 사람’을 뜻함. 발음 /비/와 /종/으로 판단해야 한다. 

比(견줄 비; bǐ,bì): 比는 여성이 낳은 자식들 → 나란하다, 견주다.

比丘尼(비구니)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구족계를 받은 여자 승려.

* /비/라는 발음의 의미

①‘여성’: 比, 奴婢, 妃, 妣(죽은 어미 비; bǐ), 屄. 雌雄

②‘낮다’: 卑, 秘密裏에 比較, 批評當함. 

③‘批評하다’: 批(칠 비; pī). /비켜!/ /어비어비/ /非/ 

④비어있다’: 秕(쭉정이 비), 屁

⑤‘돕다’ 毘=毗=裨

 

旨(맛있을 지; ⽇-총6획; zhǐ) 입을 딱 벌린 사람. 匕+甘(口 안의 맛있는 음식). 맛있는 고기를 칼로 가르는(꼬챙이로 꽂은, 숟가락으로 떠먹는) 모양이다. 여기에서 ‘맛’이란 뜻이 나온다. 나중에는 要旨, 趣旨, 敎旨(종교나 교육의 취지, 임금의 명령)에서 보듯이 ‘뜻’이나 ‘취지’ 등을 뜻하게 되었다. 하기야 뜻[情意]도 맛있어야 한다. 

*甜(달 첨; tián) 甛의 본자.

*某(매화 매→아무 모; mǒu) 나무 위에 맺은 맛있는 과일. 원래는 매실이었다. 매실의 맛은 실제로 새콤달콤하여 그 맛을 규정지을 수 없어서 ‘아무(개), 어느(것)’의 뜻으로 쓰이자, 본뜻을 살리기 위해 만든 글자가 梅이다. 매(槑)→매,모(某)→매(梅). 某르다.(沒+ᄋᆞᆯ다)

*謀(꾀할 모; móu) 말로 규정지을 수 없다. =모의(謨擬, 模擬), 도모(圖謀), 참모(參謀), 모의고사(模擬考査)

 

脂(기름 지; ⾁-총10획; zhī) ‘고기 중에 맛있는 부분’은 ‘기름’이다. 脂肪(기름 방)을 먹으면 빵빵해 진다. ‘기름지다’는 ‘영양이 좋아 윤기가 있다’는 뜻이다.

漬(담글 지; zì) 責(꾸짖을 책; zé). 오이지, 짠지.

指(손가락 지; zhǐ) ‘손으로 맛있는 먹을거리를 잡는 모양’에서 ‘손가락’을 뜻한다. 손가락, 젓가락, 엿가락, 윷가락, 노랫가락. 知(사냥)하여 잡은 旨(善味)는 脂가 많아 맛있으니, 竹枝에 꽂아 오래 維持하고 싶다. 志(뜻 지; ⼼-총7획; zhì), 摯(잡을 지; ⼿-총15획; zhì). 肢(사지 지; ⾁-총8획; zhī), 砥(숫돌 지; ⽯-총10획; dǐ) 蜘(거미 지; ⾍-총14획; zhī), 遲(늦을 지; ⾡-총16획; chí), 지루하다, 支離滅裂

 

匙(숟가락 시; chí,shi) 是+匕. 포크[飯叉]. 飯匙(밥 숟가락), 湯匙(국 숟가락). 

*勺(구기 작; ⼓; sháo) *叉(깍지 낄 차; ⼜; chā) 

钥匙[yào‧shi] 열쇠의 뜻도 나중에 추가. 钥=鑰

匙箸: 匙(숟가락 시; chí,shi)+箸(젓가락 저; zhù)=수저. 好吃(chī).

 

此(이 차; ⽌-총6획; cǐ) 止(발)+人. 사람의 발이 있는 곳→이곳→이것.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