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한문자료

214부수

부수를 알면 한자가 보입니다. 총 214개의 부수에 대한 해설과 예시 한자가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한글은 24자의 조합, 영어는 26자, 일본어는 51자, 한자는 214자의 조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214개의 부수도 180개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예컨데, 龠은 口부, 龍은 立부, 龜는 黽부,  齒는 止부,  鼻는 自부, 齊는 亠부, 黍는 禾부 등과 같이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나마 지금 중국에서는 부수를 사용하지 않고, 발음의 따라 abc 순서로 사전을 편찬하고 있다.  

001 一(한 일)
002 丨(뚫을 곤)
위아래가 서로 통한다는 의미. 형태는 육서의 지사에 해당한다. 무실체로서 위, 아래가 통하여 사물이 상황이 되므로 지사가 된다.
例) 中, 串
003 丶(점 주)
끊어지는 곳에 있어서 그것을 안다.( 글자구성에서 점으로 의미를 부여하여 사물을 분별한다.)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무실체로 나타난다. 고로 지사에 해당한다.
例) 丸, 之, 丹, 主
004 丿(삐침 별)
오른쪽으로 어글어져 왼쪽 아래로 삐쳐 내린 형상. 왼쪽을 당겨서 동작이 상황이 된다. 고로 지사자다.
005 乙(새 을)
按) ① 제비 ② 봄에 초목의 싹이 돋아난 모습 ③ 물고기의 내장(魚腸) ④ 물이 흘러가는 모양
006 亅(갈고리 궐)
按) ① 갈고리 모양
007 二(두 이)
짝으로부터 2개의 수다. 2개는 수의 명칭이고 구체적으로 고정된 사물이 아니고, 둘로써 그 수를 그려 가리킨다. 고로 지사가 된다.
例) 云, 互, 井, 亞
008 亠(두돼지해밑 두)
'두'라는 자체 음은 지니고 있으나 '돼지 해(亥)'자에서 그 자형이 머리 부분과 같기 때문에 흔히 '돼지머리'란 부수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돼지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例) 亡夫, 交叉, 亦, 亥, 亨通, 享有, 京, 亭子,
009 人(사람 인)
按) 인간이 갖는 성질 또는 상태와 관련된 의미
例) 化, 仁, 仲, 休, 伐, 作, 代, 信, 俊, 偉
010 儿(사람 인)
按) 사람이나 두 다리와 관련된 의미
例) 兇, 兄, 見, 兒
011 入(들 입)
按) ① 갑골문은 끝이 뾰족한 화살촉 모양으로 다른 물체 안에 들어가기 쉬워 '들어가다', '가입하다'의 뜻 ② 초목 뿌리가 땅위에서 밑으로 들어가는 형상이다.
例)
012 八(여덟 팔)
按) 좌우측으로 서로 분별되는 형태를 그린 것으로, 구체적인 사물이 아니고, 일의 상황을 나타낸다.
例) 公私, 分, 半 共, 其
013 冂(먼데 경)
按) 邑의 바깥지역을 郊, 郊의 바깥을 野, 野의 바깥을 林, 林 바깥을  라 한다. 즉 '아주 먼 지역'을 이른다. 세로의 두 줄은 '멀리 이어진 길'을, 가로의 一은 '먼 경계'를 나타낸 모양으로 보인다.
014 冖(덮을 멱)
按) 어떤 물건을 덮어씌우고 있는 보자기의 모양.
例) 冠, 冥(어두울 명), 冪(덮을 멱)
015 冫(얼음 빙)
按) 얼음덩어리가 서로 겹쳐져있는 모양
例) 嚴冬雪寒, 凍傷, 冷冷, 凝固
016 几(안석 궤)
按) 자리에 앉을 때 팔꿈치를 받쳐서 몸을 기대도록 만든 安席, 작은 물건을 올려놓는 탁자
例) 安息處, 凱旋門
017 凵(입벌릴 감)
按) 땅에 구덩이를 파서 함정을 만들어 놓은 모양인데, 《說文》에서는 입을 크게 벌린 모양이라고 했다. 주로 '움푹 파인 곳'이나 '그릇'을 나타낸다.
例) 凶計, 凶家, 凹凸, 出嫁外人, 出家, 郵便函
018 刀(칼 도)
[설문] 칼은 무기이자 생활 도구이다. 전서의 형태는 人자와 구분하기 쉽지 않다. 대개, 永, 手, 毛, 電 등과 같이 긴 것은 부구려 쓰는 원칙에 따라 휘어져 있다. 
例) 分離, 一切, 月刊雜誌, 羅列, 刑罰, 判斷, 剖檢, 剝製, 創造, 割賦, 企劃, 劍
019 力(힘 력)
按) ① 쟁기 ② 근육의 향상
例) 功勞, 勤務
020 勹(쌀 포)
按) 사람이 몸을 구부려 두 팔을 벌리고 물건을 감싸고 있는 모양
例) 包裝, 匍匐
021 匕(비수 비)
按) ① 끝이 뾰족한 숟가락의 모습으로 '숟가락'의 뜻 ② 사람을 오른 쪽으로 돌려놓은 형태 ③'칼', '비수'의 뜻 ④ 사람을 거꾸로 한 형태
例) ① 匙(숟가락 시), 旨(맛있을 지) ② 北, 比 ③ 匕首 ④ 變化
022 匚(상자 방)
按) 물건을 넣어두는 네모난 대나무 상자로 '筐'의 本來字이다.
例) 匠人, 匣,  
023 匸(감출 혜)
按) 아랫부분은 비탈진 샛길로 이곳에 물건을 감추고, 윗 부분의 一로 가리워 덮은 것이다.
例) 隱匿.
024 十(열 십)
按) 가로선이 짧고 세로선이 긴 것은 十이고, 가로선이 길고, 세로선이 짧은 것은 七이다.
025 卜(점 복)
按) 점을 칠 때 거북의 등에 나타난 선의 모양
例) 占
026 卩(병부 절)
按) 사람이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으로, 후에 '兵符'나 '信標' 즉 신분을 증명하는 뜻으로 가차된다. 아래쪽에 위치할 때는 '㔾'이다.
例) 命令, 一節(마디 절), 印章, 危殆
027 厂(언덕 한)
按) 윗 부분이 튀어 나와서 비 따위를 피할 수 있는 낭떠러지의 모습으로, '절벽 아래', '돌'의 뜻으로 쓰인다. '바위에 기대어 지은 집'이란 뜻의 '广 '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例) 厓, 岸
028 厶(사사 사)
按) 두 팔을 벌려 마주 잡은 모습으로, '자기 것', '私有'를 표시한다.
例) 公私, 牟
029 又(또 우)
又자 자형은 무엇인가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펼쳐져 있는 오른손의 옆모습이다. 오른쪽 아래로 비껴 내린 기다란 하나의 획은 손에 연이어진 팔을 나타냈고 왼쪽을 향해 비껴 펼쳐진 세 개의 획은 세 손가락으로 다섯 손가락을 간략히 했다.
例) 叉, 友情
030 口(입 구)
[설문]口는 사람이 말하고 음식을 먹는 곳이다. 상형이다. 口는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므로 고로 그 물체를 그릴 수 있고 모양으로써 그것이 형성된다.
例) 叱責, 舌, 名, 鳴, 吐, 鼓吹, 向
031 위(圍의 古字 國의 古字)
按) 사방을 빙 둘러서 에워싼 형태로, '에워싸다'와 '나라'의 뜻이다.
例) 罪囚, 囹圄
032 土(흙 토)
按) 땅 위에 한 무더기의 흙이 놓여있는 모습이며, 남성의 생식기를 나타내기도 하여, 甲骨文에서 '숫소, 숫양, 수퇘지' 등에는 '土'가 있다.
例) 牡, 地, 乾坤, 城, 域, 墻
033 士(선비 사)
按) ① 수의 시작인 一과 수의 끝인 十을 합한 자형으로, 數를 세는 것은 학식을 가진 선비가 하는 일이라 하여 선비를 뜻하는 글자가 되었다고 한다. ② 金文은 도끼의 모양으로, 도끼를 잡고 있는 남자라는 뜻이다. 도끼는 고대에 형벌을 집행하는 도구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은 '형관'이며, 확대되어 '벼슬하는 남자'의 뜻이다.
034 夂(뒤져서 올 치)
按) ① 한 사람이 뒤에서 두 정강이를 밀고 있는 모습 ② 위에서 아래로 내려올 때의 뒷발의 모습
例) 處, 各, 麥酒
035 夊(천천히 걸을 쇠)
按) 甲骨文은 '止'를 거꾸로 써서, 아래로 향한 한 쪽 발의 모습을 상형한 것으로 '천천히 걷는 것'과 관련된 뜻이다.
例) 夔(조심할 기), 憂慮
036 夕(저녁 석)
按) 甲骨文과 金文에서는, 月과 夕의 자형이 같아, 문맥으로 구분하였다.
例) 夙夜, 非夢似夢
037 大(큰 대)
按) 사람의 머리, 두 팔, 다리의 형상을 정면에서 본 것으로, 만물 가운데 사람이 가장 존귀하므로 인신되어 '크다'이다.
例) 夫婦, 天, 夭折, 夾, 美
038 女(계집 녀)
按) 두 손은 깍지를 끼고 무릎을 꿇고 곧게 앉아 있는 모습을 본뜬 것.
例) 妓生, 妻妾, 妬忌, 兄嫂, 姿態
039 子(아들 자)
按) 위 부분은 머리를, 가운데는 팔뚝을, 아래 부분은 강보에 싸여 있는 다리를 본뜬 것.
例) 孕胎, 孝道, 玄孫
040 宀(집 면)
按) 지붕과 벽을 본뜬 상형자이다.
例) 安, 宇宙, 宏壯, 家, 宮, 宣布
041 寸(마디 촌)
按) 사람의 손으로부터 一寸되는 곳에 맥박이 뛰는 곳을 寸口라고 한다. 寸 은 又 를 따르고, 一로써 寸口의 위치를 가리켰다.
042 小(작을 소)
按) ① 甲骨文은 세 개의 작은 점을 그려서 '미세함'을 나타낸다. ② 분별의 형태인 八을 다시 '丨'을 써서 쪼개어, '사물이 작다'는 뜻이다.
043 ꞗ(절름발이 왕)
按) 大를 변형하여 다리가 하나는 곧고, 하나는 굽은 형상으로, 절름발이라는 뜻이다.
例) 尤, 尨大
044 尸(주검 시)
按) 사람이 누워 있는 모양(人자를 눕혀 놓은 자형)으로 사람이 죽은 것을 나타낸다. 주로 '인체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고, '집', '신발'을 나타낸다.
例) 尸童, 尺, 尾, 屍體, 屋上, 居處, 尿道炎, 履(신 리)
045 ꟈ(싹날 철)
屮(왼손 좌)
按) 한 포기의 풀이 막 돋아난 모습
例) 艸(풀 초), 芔(卉)(풀 훼)
046 山(뫼 산)
산봉우리가 나란히 있는 모양을 본뜬 것이므로 상형자이다. 宣은 聲訓인데, 대개 산의 구름과 비로 땅의 기운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훈한 것이다.
047 川(내 천)
按) ① 하천이 구불구불 흘러가는 모습으로 '천'으로 읽힌다. ② 헝클어진 머리카락의 모습으로 '순'으로 읽힌다.
例) ① 邕(화할 옹, 막을 옹) ② 鬊(헝클어질 순), 順
048 工(장인 공)
按) ① 칼날이 둥그렇고 손잡이가 달려있는 칼 모습으로, '연장'이란 뜻이다. ② 직선이나 직각을 그리는 曲尺을 상형하였다. 곡척은 물건을 만드는데 쓰이므로 널리 공교함 또는 공작의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例) 巧妙, 巫堂, 攻擊, 功勞
049 己(자기 기)
按) 옛날 사람은 새끼줄에 매듭을 맺어 사물을 기록하였는데, 매듭이 있는 새끼줄의 모습인 己는 紀의 本來字이며, 가차되어 '자기'나 天干으로 쓰인다.
050 巾(수건 건)
按) 천 조각이 걸이에 걸려있는 모습
例) 頭巾, 布木商, 帆船, 帳幕, 旗幟, 幕
051 干(방패 간)
按) ① 끝이 갈라진 창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고대인 들은 이것으로 사냥을 하거나 싸우는 무기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방패'의 뜻이다. ②
例) 奸(범할 간), 竿(장대 간)
052 幺(작을 요)
按) ① 絲의 반쪽에서 아래쪽 반을 잘라낸 모습으로 '가늘다', '작다', '미약하다'의 뜻이다. ② 갓 태어난 아이의 형상을 본뜬 글자로 '작다'의 뜻이다.
例) 幻(변할 환, 허깨비 환), 幼稚園, 幽(그윽할 유)
053 广(집 엄)
按) ① 높은 바위 위에 집이 있는 형상을 그린 것으로 건축물과 관련이 있다 ② 此堂皇之形, 前面無牆
例) 庇(덮을 비), 店鋪, 庭園, 廊(복도 랑), 官廳, 府(곳집 부), 店(가게 점), 庫(곳집 고), 庵(암자 암), 廓(둘레 곽, 외성), 廟(사당 묘), 廚(부엌 주), 廠(헛간 창), 廳(관청 청), 廬(오두막집 려)
054 廴(길게 걸을 인)
按) 行의 왼쪽(彳, 자축거릴 축)을 취하여, 그것을 길게 늘어지게 한 것으로 '발을 길게 끌면서 걷는다'는 뜻이다.
例) 延期, 廻, 朝廷
055 廾(두 손으로 받들 공)
按) ① 왼손과 오른손을 나란히 모아 위로 향하고 있는 모습으로 '받들다'의 뜻이다. ② '十'을 두 개를 나란히 한 자형으로, 스무 사람이 모두 손을 잡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例) 戱弄, 疲弊
056 弋(주살 익)
按) 甲骨文은 가지진 나무줄기 아래에다 가로 목(木)을 박아서 그곳에 물건을 걸어놓게 만든 말뚝의 모습으로 '말뚝'의 뜻이었는데, 후에 '주살'로 쓰였다.
例) 弑害, 式
057 弓(활 궁)
按) 줄을 매지 않은 활을 본뜬 자이다. 위의 '一'은 활 자루이며, 나머지 부분은 활과 아래로 늘어진 것은 활줄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고대인 들은 활을 사용할 때에 비로소 시위를 매고, 평상시에는 줄을 늦추어 둠으로써 활의 탄력을 잃지 않게 하였다. 즉 활에 시위가 없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例) 弦(시위 현), 彈性, 解弛, 弘益人間, 弧(활 호)
058 彑(고슴도치 머리 계)
按) 멧돼지의 모습을 본뜬 彖(단)의 윗부분(머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큰 어금니를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하였다.
例) 彘(돼지 체)
059 彡(터럭 삼)
按) 길게 늘어진, 잘 빗질한 아름다운 머리의 모습으로, '긴 털', '무늬', '꾸미다'의 뜻이다.
例) 彧(문체 욱), 彩色, 彪(무늬 표), 彰(밝을 창), 影, 鬚髥
060 彳(조금 걸을 척)
按) ① 上股(넓적다리), 中脛(정강이), 下足(발)이 서로 이어져 작은 동작의 형태로 잔걸음을 걷는다는 뜻이다. ② 行의 왼쪽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길', 또는 '간다'의 뜻과 관련된다.
例) 徘徊, 彷徨, 往來, 征服, 循環, 徐行, 從
061 心(마음 심)
按) 심장의 모양으로, '생각', '감정', '의지' 등과 같이 심장과 관련된 뜻을 나타낸다.
例) 忌憚, 志願, 忽待, 喜怒哀樂, 恐怖, 容恕, 恥辱, 喜悅, 恩惠, 憎惡
062 戈(창 과)
按) 甲骨文은 손잡이가 달린 긴 자루 끝에 옆으로 뻗은 칼날이 붙은 창 모양이다.
例) 我, 殺戮, 裁斷, 戰爭
063 戶(지게문 호)
按) 외짝문의 형태로, '문', '가옥', '가옥의 부속품'과 관련된다.
例) 扇風機
064 手(손 수)
按) 손의 모습
例) 拳鬪, 車掌, 如反掌, 擊退, 擧論, 打擊, 抗拒, 扶助, 搜査, 掌握, 愛撫, 攪亂(교란)
065 支(가를 지)
按) 손으로 대나무 가지를 꺾어들고 있는 모습으로 枝의 본래자이다. '가지', '지탱하다', '가르다', '지출하다' 등과 관련된다.
例) 鼓吹
066  (칠 복)
按) 손에 회초리나 나뭇가지를 들고 가볍게 치는 모양을 표현한 글자로 '치다'의 뜻을 지닌다.
例) 攻擊, 敎學相長
067 文(무늬 문)
按) ①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문신을 새겨놓은 모습 ② 엇갈린 무늬
例) 斑點
068 斗(말 두)
按) 甲骨文은 술을 푸거나 물건의 양을 잴 때 쓰는 기구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양을 재다', '푸다','국자' 등과 관련된 뜻이다.
例) 料(되질할 료), 斟(술 따를 짐)
069 斤(도끼 근)
按) 긴 자루가 달린 도끼의 모습으로, 가로는 돌도끼머리를 새겼고, 곧바른 것은 자루를 새긴 것이다.
例) 排斥, 斧(도끼 부), 斬首, 臥薪嘗膽,
070 方(모 방)
按) 쟁기의 모양으로, '두 사람이 한 개의 쟁기를 양쪽에서 잡고 나란히 땅을 간다'는 뜻에서 '나란히', '곁', '방향', '땅' 등의 뜻을 갖는다.
例)
071 旡(목멜 기)
无(없을 무)
按) 甲骨文은 앉아있는 사람이 얼굴을 뒤로 하고 입을 크게 벌린 모습으로, '이미 배풀리 먹었다', '다했다'의 뜻을 나타낸다.
例) 憤慨, 旣
072 日(해 일)
按)
例) 旦, 旭日, 杲(밝을 고), 杳(어두울 묘), 晝夜, 暗黑, 晴(갤 청), 暮(저물 모)
073 曰(가로 왈)
按) 입에서 기가 나오는 것을 본떴다.
074 月(달 월)
075 木(나무 목)
按)
例) 本末, 拘束, 杖, 根, 梧桐, 棺, 植木
076 欠(하품 흠)
按) 한 사람이 꿇어 앉아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으로, '하품을 하다'의 뜻이다가, 후에 '모자라다', '이지러지다'의 뜻으로 확장되었다.
例) 欣然(기뻐할 흔), 歌曲, 歡喜, 次善
077 止(발 지)
按) 발의 모습으로, 趾의 初文이다.
例) 正, 步, 武器
078 歹(부서진 뼈 알)
按) 骨에는 살이 붙어 있다. 그러나 冎(뼈 발라낼 과)에는 살이 떨어져 나가고 없다. 歺(歹)은  冎를 반으로 쪼갠 모양에서 '부서진 뼈'를 뜻한다. 따라서 '죽음'과 관련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例) 死, 災殃, 殉葬, 殘骸, 殮(염할 염), 殲滅
079 殳(창 수)
按) 손에 몽둥이나 창을 들고 있는 모양으로 '치다'의 뜻으로 쓰인다.
例) 殺害, 毁損, 毆打
080 毋(말 무)
按) ① 보화의 형상을 ―로 뚫어서 그것을 가진다는 뜻이다. ② 母와 같은 모양이었는데, 小篆 이후에 두 점을 횡성으로 바꾼 가차자이다.
例) 毋(말 무), 貫(꿸 관)
081 比(견줄 비)
按) 두 사람이 나란히 서 있는 모습으로, '나란히 있다', '비교하다'의 뜻과 관련이 있다.
例)
082 毛(털 모)
按) 새의 깃털 모양
例) 毬(cf.球), 秋毫(가을철에 가늘어진 짐승의 털→미세함)
083 氏(각시 씨)
按) ① 나무막대기 끝에 용이나 뱀 같은 모양의 totem이 걸려있는 모습으로, 종족의 상징물 ② 손잡이가 달린 작은 칼로, 공동식사 때 쓰는 고기 자르는 칼을 나타낸다. 즉 공동식사에 참여하는 것은 씨족원이므로 '씨족'의 뜻이다. ③ 民과 비슷한 모양으로, 위쪽의 사선은 '감은 눈'을, 세로선은 칼로 눈이 찔려 못쓰게 된 모습으로, '눈이 찔려 망가진 피지배 씨족'의 뜻
例) 民
084 气(기운 기)
按) 구름이 일어나는 모양을 상형한 것으로, 세 개인 것은 많은 것을 나타내는 三이다.
例) 餼(보낼 희)
085 水(물 수)
按) 흘러가는 물의 모양
例) 江, 沈沒, 溺死
086 火(불 화)
按) 불꽃이 솟아오르는 모습
例) 膾炙, 螢雪之功
087 爪(손톱 조)
按) 아래를 향해 무엇인가 잡는 손과 손톱의 모습으로, '손톱', '발톱', '손으로 잡다' 등의 뜻이다.
例) 爭, 爬(긁을 파), 受(받을 수)
088 父(아비 부)
按) 한 손에 돌도끼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밭에서 일하는 남자', 또는 '한 가족의 통솔자'라는 뜻이다.
例) 爸, 爹  
089 爻(효 효)
按) 점을 칠 때 쓰는 대나무 가지를 서로 엇갈려 놓아 둔 모습
例) 敎, 學
090 爿(나무조각 장)
按) 나무의 왼 쪽 조각으로 '牀(평상 상)'의 본래 글자.
例) 牆
091 片(조각 편)
按) 나무의 오른 쪽 조각으로, '나무를 쪼개서 얇게 만든 납작한 물건'이란 뜻이다.
例) 版
092 牙(어금니 아)
按) 위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맞물려 있는 모양으로 壯齒이다.
例) 邪惡, 萌芽(맹아)
093 牛(소 우)
按) 긴 뿔이 달린 소의 머리와 귀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
例) 牝(암컷 빈), 牝牡(수컷 모), 牢(우리 뢰), 牧童, 犧牲, 牽引
094 犬(개 견)
按) 甲骨文은 개가 위로 매달아 있는 상태에서 꼬리를 위로 감아올리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개', '짐승류', '이민족', '수렵' 등과 관련된다.
例) 犯罪, 狂人, 九尾狐, 猛烈, 人面獸心, 狩獵
095 玄(검을 현)
按) ① 금문에서는 매달려 있는 실 모양으로, 실이 매달려 있는 빈 곳은 빛이 잘 비치지 않아 어둡기 때문에 '검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玄'과 ' (작을 요)'는 본래 같았으나, 음과 뜻이 달라졌다. 小篆 이후 '亠'을 덧붙여, 숨겨진 작은 사물에 덮개를 더해 애초에 물체를 찾기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이리하여 '깊숙하다', '심오하다'는 뜻이 됐다. ② 弦(시위 현)의 본래자로, 가죽을 꼬아서 활시위를 만들었는데, 그것의 색깔이 검붉었기 때문에 '검붉은 색'이란 뜻을 나타낸다.
例) 玆(이 자, 검은 자)
096 玉 (임금 왕) (구슬 옥)
按) ①《說文解字》에서 王은  이 三을 꿴 모양이다. 王자의 맨 위의 가로획은 天, 맨 아래의 것은 地, 중간 것은 人이고, 세로획이 셋을 관통한다는 의미에서 천하통치자라고 풀이했다. ② 갑골문 금문에서는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를 본뜬 모양이다. 이 도끼는 천하를 정복하는데 사용되는 병기의 일종이자 사령집행에 사용되는 형구(刑具)의 하나였다. 따라서 도끼는 왕권과 군사통수권의 상징물이다. ③ 玉 세 개를 끈으로 꿰놓은 모습
例) 聖人, 皇帝, 玩具, 珊瑚, 珍貴, 珠玉, 切磋琢磨
097 瓜(오이 과)
按) 金文은 참외넝쿨에 열매가 열린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바깥 부분은 넝쿨을, 가운데 부분은 열매를 나타낸다. 나무에 달리는 열매는 '果', 일년생 넝쿨에 열리는 열매는 '瓜'이다.
例) 瓠(표주박 호), 瓢(박 표)
098 瓦(기와 와)
按) 진흙을 빚은 다음 불에 구워서 만든 질그릇과 도자기 종류로, 후대에 의미가 축소되어 '기와'를 뜻한다.
例) 甁(병 병), 甑(시루 증)
099 甘(달 감)
按) 甲骨文은 입안에 짧은 가로 선을 그어 음식물이 입 안에 있을 때 단맛을 느낄 수 있는 감각부위가 이 곳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例) 甛(달 첨)
100 生(날 생)
按) 초목이 땅 위로 돋아나서 자라는 형상으로, '나다', '살다', '자라다', '만들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例) 生産, 甦生(蘇生)
101 用(쓸 용)
按) 甲骨文과 金文은 甬(골목길 용)의 본래자로, 꼭지가 달린 종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 종의 꼭지에 막대를 끼워서 들어올린다는 의미에서 '들어올리다', '채용하다', '쓰다'는 의미를 나타나게 되었다.
例)
102 田(밭 전)
按) 甲骨文은 네모나게 구획난 耕地나 狩獵地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네모 속의 十자는 밭과 밭 사이에 난 길이며, 남북(丨)으로 난 것을 阡(천), 동서(一)로 난 것을 陌(맥)이라고 한다.
例) 町(밭두둑 정), 境界, 男
103 疋(발 소)
按) 위에는 장단지와 무릎, 아래에는 발이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발(足)을 나타낸다.
104 疒(병들어 기댈 녁)
按) 사람이 병들어 침상위에 누워 앓고 있는 모습으로, '病'의 본래자이다
例) 盜癖, 疵(흠 자), 疾病, 痛症
105 癶(등질 발)
按) 甲骨文은 두 발로 어디에 올라가거나 무엇을 밟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두 발을 나란히 하고 있다'는 뜻을 나타낸다.
例) 登山, 出發(쏠 발, 떠날 발)
106 白(흰 백)
按) ① 촛불 심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밝다', '분명하다', '희다'의 뜻이다. ② '日'의 위를 뾰족하게 그려, 아침 해가 地面 위로 막 솟아오른 모습을 본뜬 것으로, '희다'는 뜻이다. ③ 두개골이 白骨化한 것 즉 해골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희다'는 뜻이다. ④ 도토리 모양을 본뜬 것이다 '희다'는 뜻이다.
例) 皓(흴 호), 皎(달빛 교), 魂魄
107 皮(가죽 피)
按) 덮여 있음을 뜻하는 厂(언덕 한)에, 뾰족하고 날카로운 연장을 상징하는 丨(통할 곤)과 오른손을 의미하는 又(또 우)로 구성된 글자로, 덮여있는 부위를 날카로운 연장을 이용해서 손으로 벗겨 쓰는 부위가 (동물의) 가죽이라는 뜻이다. '革'은 벗겨낸 껍질, '皮'는 벗겨내기 전의 피부의 상태, 벗겨내는 동작을 나타낸다.
例) 皺(주름 추)
108 皿(그릇 명)
按) 물건을 담아 놓는 그릇의 단면도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例) 盃, 盆, 益, 盈(찰 영), 燈盞(잔 잔), 盤
109 目(눈 목)
按) 사람의 눈의 모양
例) 盲(소경 맹), 看, 眉, 眼, 盼(눈 예쁠 반)
110 矛(창 모)
按) 긴 자루 끝에 날카로운 칼날이 붙어있는 무기나 창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矛(창 모)는 앞으로 찌르기 좋도록 되었고, 戈(창 과)는 옆으로 후려치거나 낚아채기에 좋게 되었다.
例)
111 矢(화살 시)
按) 화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위쪽은 화살촉, 중간부분은 화살대, 아래쪽은 화살의 꼬리이다.
例)
112 石(돌 석)
按) 절벽이나 낭떠러지 아래에 떨어져 있는 돌을 본뜬 상형자로, '돌', '돌의 상태'와 관련된다.
例) 硯(벼루 연), 碎(부술 쇄),磁石, 礎(주춧돌 초)
113 示(보일 시)
按) ① 二가 天地間의 형상을 상징하여 하늘이란 의미를 지니고, 하늘의 해, 달, 별을 상징하는 小를 받친 글자라고 보는 견해 ② 一은 하나로 모으다란 의미가 있으므로 제단 위에 음식을 모아놓았음을 나타낸 글자라고 보는 견해 ③ 神에게 제사지낼 때 제물을 올려놓는 제단의 모습으로 보는 견해
어느 설을 따르든 제사를 의미하는 글자이며, 이러한 제사는 신에게 보이는 의식이므로, 그 훈이 '보일 시'가 되었다.
例) 祭祀, 祠堂, 祝福, 祖上, 祈禱
114 禸(발자국 유)
按) ① 짐승의 뒷발이 땅을 밟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발자국'을 나타낸다. 좌우가 열려있는 것이 '뒷발', 가운데의  이 '꼬리'로, 蹂(짓밟을 유)와 같은 뜻이라고 한다. ② 큰 손으로 벌레 한 마리를 잡고 있는 모습 ③ 두 마리의 벌레가 서로 밟고 있는 모습 ④ 손으로 막대기를 잡고 있는 모습
'동물'과 관련이 있다.
例) 禽
115 禾(벼 화)
按) 줄기 끝에 벼이삭이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으로, 위쪽은 이삭과 잎을, 아래는 줄기와 뿌리를 나타낸다. '벼', '곡식', '수확', '조세'와 관련된다.
例) 秋, 稅金, 秧苗, 種子, 收穫, 香
116 穴(구멍 혈)
按) 바위굴이나 땅을 파서 만든 굴의 입구 모습으로, '굴', '구멍 모양의 器物', '구멍의 상태', '구멍을 뚫는 것'과 관련된다.
例) 窟(굴 굴), 陶窯(기와 굽는 가마 요), 穿(뚫을 천)
117 立(설 립)
按) 땅 위에 한 사람이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
例) 竝列(아우를 병), 驛站(우두커니 설 참)
118 竹(대 죽)
按) 잎사귀 두 개가 아래로 드리워져 있는 대나무 가지 두 개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例) 簡(대쪽 간), 簾(발 렴), 書籍, 竹筍, 筆
119 米(쌀 미)
按) 甲骨文은 쌀알이 그릇 안의 가로막이 양쪽에 세 개씩 (셋은 많음을 의미)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 가로막이가 후에 十자로 모양이 변했다. '米'는 '껍질이 벗겨진 알맹이인 쌀'을 뜻하고, '稻'는 '벼'를 나타낸다.
例) 粉(가루 분), 粒子, 糟糠之妻
120 糸(가는 실 사(멱)
按) 한 타래의 명주 실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가는 실이란 뜻이다. 甲骨文에서는 絲,幺(작을 요)는 동일한 글자였다.
例) 絃樂器, 經緯, 線
121 缶(장군 부)
按) 액체를 담는 질그릇종류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위 부분은 뚜껑, 아래 부분은 容器이다. 진(秦)나라에서는 이것을 '악기' 즉 '질장구'로도 썼다.
例) 缸(항아리 항)
122 网(그물 망)
按) 새나 고기를 잡는 그물을 쳐놓은 모습을 본뜬 상형자로, 罔과 같은 자이고, 網의 본래자이다. 小篆은 겉모양은 그물의 줄을 나타냈고 속 모양은 그물코를 나타냈다.
例) 罪, 網羅, 罔(그물 망), 罕(그물 한)
123 羊(양 양)
按) 양의 머리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양', '양의 특성', '양의 상태'와 관련이 된다.
例) 美, 群, 養
124 羽(깃 우)
按) 새의 두 날개(또는 날개에 있는 긴 깃털)를 본뜬 상형자이다.
例) 飛翔(빙빙 돌아 날 상), 翼(날개 익), 扇(사립문 선, 부채 선)
125 老(늙은이 로)
按) ① 甲骨文은 등이 구부정한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걸어가는 모습 ② 小篆은 지팡이가 匕로 변하였다.
例) 孝
126 而(말 이을 이)
按) 小篆은 맨 위의 一은 코끝을, 양 옆은 수염을 표시했다. 16세기부터 '말을 잇다'의 뜻으로 바뀌었다.
例) 忍耐
127 耒(쟁기 뢰)
按) 小篆은 좌우로 칼날이 여럿 달린 쟁기를 손으로 잡고 있는 모습
例) 耕作, 耘(김맬 운)
128 耳(귀 이)
按) 밖은 귀의 윤곽을, 가운데 가로 그은 두 개의 획은 귓구멍을 나타내고 있다.
例) 聞, 聾啞(귀머거리 롱)(벙어리아), 聰(귀 밝을 총), 聽, 聲
129 聿(붓 율)
按) 갑골문이나 금문은 한 손으로 털이 있는 붓대를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뜨고 있다. 손이 같이 표현된 것은 붓을 사용할 때 항상 손으로 잡기 때문으로 그 의미를 분명히 나타내 주기 위해서다. 예서에서 다른 글자와 합쳐져 쓰일 때는 가장 아래 삐쳐 나온 부분을 생략하여 사용한다.
例) 書, 畵家
130 肉(고기 육)
按) 고기는 고정된 형태가 있지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는 고깃덩어리의 단면을 그렸다. 중간의 선이 고깃덩어리의 단면을 표시한 것이다.
例) 鷄肋, 肩(어깨 견), 肱(팔뚝 굉), 胸(가슴 흉), 頭腦, 膝下(무릎 슬), 五臟六腑
131 臣(신하 신)
按) 신하가 머리를 숙였을 때의 눈의 모습으로, '보는 동작', '볼 때의 눈의 모습'과 관련이 있다.
例) 臥床(엎드릴 와), 監(볼 감)
132 自(스스로 자)
按) 코 모양으로, '코','냄새'와 관련이 있다.
例) 惡臭(냄새 취), 休息(숨쉴 식)
133 至(이를 지)
按) ① 새가 높은 곳으로부터 땅에 이르는 형상 ② 화살이 먼 곳으로부터 어떤 지점에 이르러 꽂힌 형상으로, 윗부분은 활을 나타내고, 아랫부분은 땅이나 과녁을 나타낸 것이다.
例) 到達(이를 도), 送致(보낼 치)
134 臼(절구 구)
按) 곡식 따위를 넣고 절굿공이로 빻거나 찧는 속이 우묵한 절구이다. 네 개의 선은 절구 안의 쌀알이거나, 안쪽의 거친 자국이다.
例) 舂(찧을 용)
135 舌(혀 설)
按) 甲骨文은 입에서 길게 뻗은 뱀의 혀의 모습
例) 甛
136 舛(어그러질 천)
按) 두 발이 서로 밖을 향해 엇갈린 모양으로, '배반하다', '어긋나다'의 뜻이고, 뜻이 확대되어 '어지럽다', '어수선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例) 舞
137 舟(배 주)
按) ① 갑골문은 배의 좌우측을 튼튼히 연결시키기 위해 칸막이가 붙여진 '나룻배'이다. 小篆은 물 위에서 배가 잘 나가도록 앞 쪽 부분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② 술그릇을 받치는 쟁반 또는 예기를 뜻하기도 한다.(?)
例) 航海, 船舶, 艦隊
138 艮(어긋날 간)
按) 小篆은 目과 人으로이루어져, 사람 눈의 어떤 모습을 나타내었으나, 후에 '눈'의 의미로 眼이 쓰이게 되자 '어그러지다', '거스르다', '그치다' 등의 뜻으로 가차되었다. 또한 八卦의 명칭으로도 쓰였다.
例) 艱難(어려울 간), 怨恨, 限界
139 色(빛 색)
按) ① 小篆은 아래의 꿇어앉은 사람 위에 또 사람이 앉아있는 모양으로, '남녀간의 애정'을 뜻하였다가, '안색', '색채', '용모' 등으로 확대되었다. ② '刀+巴(=卩)'로 칼로 糸(가는 실 멱)을 자른다는 뜻으로, '絶'의 본래자이다.
例) 妖艶
140 艸(풀 초)
按) 풀들이 여러 개 돋아나는 모양
例) 暮(저물 모), 莫(없을 막, 저물 모), 葬, 芳年(꽃다울 방)
141 虎(범 호)
按) ① 虍는 범의 머리부분, 虎는 범의 전신을 그린 것이다. ② 《說文》은 虎皮의 무늬를 본 뜬 것이라고 한다.
例) 虐待, 敬虔(정성 건), 捕虜, 彪, 皮膚
142 虫(벌레 충(훼)
按) 가늘고 긴 모체의 살모사의 모습인데, 뱀의 머리는 두 형태로, 하나는 삼각형이고, 또 하나는 선으로만 표현한 형태이다. 그 중 삼각형이 오늘날의 자형으로 변화했다. 옛 사람들은 뱀을 벌레 가운데 대표되는 동물로 생각했는데, 벌레는 일반적으로 작은 동물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
例) 蛇酒, 大蛤, 蜂, 蝴蝶, 螢雪之功, 養蠶(누에 잠), 靑蛙(개구리 와)
143 血(피 혈)
按) 제사 때 신에게 바칠 희생물의 피를 그릇에 담아놓은 모습으로, 가운데의 작은 선이나 동그라미는 피를 나타낸다.
例)
144 行(갈 행)
按) 甲骨文이나 金文은 서로 교차되어 사방으로 트인 사거리를 본 뜬 것이다.
例) 街, 官衙(마을 아)
145 衣(옷 의)
按) 上衣의 모습으로, 윗부분은 옷깃, 가운데 두 소매는 비어있고, 좌우의 두 깃은 한 곳에 모아져 있다. 즉 양쪽 두 소매와 옷깃을 오른쪽으로 여민 형상이다.
例) 衣裳, 衾枕(이불 금)(베개 침), 袋(자루 대), 被
146 襾(덮을 아)
按) 그릇에 뚜껑을 덮은 모양으로, '덮는다'는 뜻을 나타낸다.
例) 覆(뒤집힐 복, 덮을 부)
147 見(볼 견)
按) 甲骨文은 큰 눈을 가진 사람이 끓어 앉아있는 모습
例) 視, 觀覽
148 角(뿔 각)
按) 甲骨文과 金文은 가운데가 뾰쪽한 뿔의 형상으로, 위는 뾰족한 뿔 끝을, 아래는 그 몸체를, 가운데는 무늬 모양을 나타냈다.
例) 觴(잔 상), 解
149 言(말씀 언)
按) 甲骨文은 혀가 입 밖으로 길게 뻗어 나와 있는 모습이며, 혀끝에 가로선은 '이것으로 말을 한다'는 의미이다. 단순히 '말' 또는 '말하다'는 言이고, 상대와 대화나 토론을 하는 것은 語이다.
例) 討論
言(말씀 언) 갑골문의 言자는 말하는 口와 그 위에 혀의 닮음 꼴이 변해 이루어진 글자로 이해함이 좋겠다.
150 谷(골 곡)
按) 깊은 계곡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모양, 윗부분의 빗금 네 개는 물이 좁은 계곡 사이를 흘러나오는 물을, 아랫부분의 '口'는 산의 계곡을 표시한다.
例) 浴(목욕할 욕)
151 豆(콩 두)
按) 제사상에 올리던 높은 발이 달린 나무그릇으로 '祭器'란 뜻이었던 것이 '콩'으로 가차되었다. 윗부분은 뚜껑을, 가운데 부분은 그릇의 몸체를, 아랫부분은 높은 받침대를 나타냈다
例) 豊(굽 놉은 그릇 례, 풍년 풍, 禮의 古字, 豐의 俗字), 頭
152 豕(돼지 시)
按) 입이 삐죽 튀어나온 돼지의 몸통과 다리, 꼬리를 본뜬 모습으로, 돼지나 그것과 닮은 동물과 관련이 있다..
例) 豚(돼지 돈), 豪傑, 猪(돼지 저)
153 豸(발 없는 벌레 치)
按) 큰 입이 있는 머리와 길게 늘어뜨린 등, 다리와 꼬리 등을 본 뜬 짐승의 형상, 즉 등이 긴 짐승이 먹이를 덮치기 위해 등을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다. 후에 지렁이 따위의 발 없는 벌레도 가리키게 되었다.
例) 豹(표범 표)
154 貝(조개 패)
按) ① 甲骨文은 조개가 껍질을 벌리고 있는 모습(사람이 뒤에서 똑바로 바라본 모양)이다. ② 小篆은 윗부분은 조개껍질을, 아랫부분은 조개에서 펴낸 촉각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例) 貢獻(바칠 공), 貫(꿸 관),貪, 貧, 財貨, 賣買, 賞, 賻儀
155 赤(붉을 적)
按) 불(火)이 일어날 때 사람(大)의 안색이 붉어짐에서 그 뜻을 얻었다.
例) 赫(붉을 혁) 赦免
156 走(달릴 주)
按) 한 사람이 팔을 앞뒤로 크게 흔들면서 달려가고 있는 모습으로, 아래의 '止'는 발을 나타낸다.
例) 赴任, 起床, 超越
157 足(발 족)
按) 甲骨文은 '足', '疋(발 소)', '正'의 자형은 같다. 모드 아래는 '止'가 있고, 위는 '口'가 있는데, '足'과 '疋(발 소)'는 '정강이 뼈'로, '正'은 '城'을 그린 것이라고 했다.
例) 趾, 跳躍, 路
158 身(몸 신)
按) 金文과 小篆은 임신한 여자의 배가 불록 나온 모습을 옆에서 본 것으로, '임신하다'의 뜻이었던 것이 '몸', '자기', '몸소' 등의 뜻으로 쓰인다. 甲骨文의 배안의 점은 '배꼽'을, 金文의 아래 가로선은 '땅 위에 서있는 것'이나 '다리를 벌린 것'을 나타낸다고 한다.
例) 躬(몸 궁), 射擊
159 車(수레 거)
按) 甲骨文과 金文은 차체, 끌체, 두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수레이나, 小篆은 수레바퀴 하나에 비녀장(車轄)이 꽂혀있는 모습이다.
例) 軍, 軌(길 궤), 輪禍, 螳螂拒轍
160 辛(매울 신)
按) 노예나 죄수의 얼굴에 검은 표시를 새겨넣기 위해 사용한 칼 모양으로, '죄', '맛이 맵다' 등의 뜻과 관련이 있다.
例) 辛辣(매울 랄)
161 辰(지지 진)
按) 甲骨文은 조갯살이 삐쳐 나온 모양으로 蜃(무명조개 신)의 본래자 이다. 갑골문에서 이미 干支로 사용되고 있어서 때를 나타낼 때 쓰인다. 옛날에는 이것을 농기구로 썼기 때문에 '농사'와 관련되기도 한다.
例) 農事, 姙娠, 震(벼락 진)
162 辶(쉬엄쉬엄 갈 착)
按) 甲骨文은 길(行)과 발(止)을 그린 것으로, 길 위에 사람의 발이 있어 '길을 간다'는 뜻이다. 小篆은 길의 형태가 彡로 변화되었다.
例) 迅速, 進退, 逃走, 遭遇, 追跡
163 邑(고을 읍)
按) ① 甲骨文은 윗부분의 '口'는 특정한 장소를, 아랫부분은 사람이 꿇어 앉아 있는 모습을 나타냈다. 즉 '사람들이 모여서 마을을 이루는 지역'이란 뜻이다. ② 천자가 제후에게 고을을 다스리도록 내린 증표의 부호 ③ 제후나 대부가 직접 다스리는 영지
例) 邦(나라 방), 邸宅, 郊外(성 밖 교)
164 酉(닭 유)
按) 甲骨文과 金文은 배가 불룩 나오고 입이 좁은 술항아리의 모습이다. 입이 좁은 것은 술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酉자는 추수가 다 끝나면 햇곡식으로 술을 빚어 일한 노고를 위안하는 달인 8월을 뜻하기도 한다. 이는 옛날 사람들이 干支자를 이용해 각각의 달을 지칭했기 때문이다. 또 8월이 干支의 12동물 가운데 닭이므로 字訓이 되었다.
例) 酌婦, 酸(초 산), 醉中眞談
165 釆(분별할 변)
按) 甲骨文은 짐승의 발자국에서 발톱과 발바닥의 모습을 그렸다. 사방에 점으로 표시된 부분은 발톱 모양을, 가운데 十으로 표시된 부분은 발바닥 모양이다. 논이나 밭에 남긴 발자국을 보고 무슨 짐승의 발자국인지 알아낼 수 있기 때문에 '분별하다'의 뜻이 된다.
例) 解釋, 采(캘 채)
166 里(마을 리)
按) 田자와 土자가 합쳐진 글자로, 밭(田)은 사람이 곡식을 가꿔 먹을 수 있는 장소이고, 땅(土)은 사람이 집을 지어 거처할 수 있는 장소이다.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은 경작지와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두 의미를 합쳐져 '사람이 사는 마을'을 뜻한다.
例) 野, 理
167 金(쇠 금)
按) ① 두덩어리의 쇳덩어리 모양이었던 것이, 후에 그 옆에 도가니 모양을 덧붙여 금속을 녹이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쇠'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② 土와 今의 합성자로 본다
例) 針, 釜(가마 부)
168 長(길 장)
按) 甲骨文과 金文은 散髮한 긴 머리의 사람이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습이다. 머리털을 길렀던 옛날에는 머리털은 '길다'라는 뜻을 나타내기에 적합했을 것이다
例) 揮帳(휘두를 휘)(휘장 장)
169 門(문 문)
按) 두 개의 문짝 모양
例) 開閉, 閨房, 關門(빗장 관), 大闕
170 阜(언덕 부)
按) 甲骨文은 작은 언덕 셋이 연이어 있는 모습으로, '언덕'이었으나, 후에 '크다', '번성하다' 등의 뜻도 나타내게 되었다. '언덕', '언덕처럼 흙을 쌓아놓은 것', '언덕과 관련이 있는 지형이나 상태' 등과 관련된다.
例) 堤防, 陶藝, 陸地, 軍隊, 陳列, 隱匿
171 隶(미칠대)
按) 한 손으로 짐승 꼬리를 잡고 있는 모양으로, '잡다'의 뜻, 즉 '逮(잡을 체, 미칠 태)'의 뜻이다. '미치다'의 뜻일 때는 '대' 또는 '태'로, '근본'이나 '밑'의 뜻일 때에는 '이'로, 나머지는 '시'로 읽힌다.
例) 奴隸, 逮捕
172 隹(새 추)
按) 깃이 풍부한 꼬리가긴 새는 鳥, 몸이 간략한 꼬리가 짧은새는 隹라고 했다. 隹자는 '새'의 뜻 뿐 아니라 '높고 크다'의 뜻도 된다. 이는 옛날에 隹자가 崔자와 서로 통용되었기 때문인데, 隹가 '높고 크다'의 뜻일 때는 '최'로 읽고, '작은 새'의 의미일 때는 '추'로 읽는다.
例) 雁(기러기 안), 雌雄, 幼稚, 雞(鷄)肋
173 雨(비 우)
按)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
例) 雪, 雲, 地震(벼락 진), 霜(서리 상), 霧(안개 무), 露(이슬 로)
174 靑(푸를 청)
按) ① 生과 丹이 합쳐져 이뤄진 글자로, 초목의 싹(生)이 붉은 빛(丹)을 띠고 돋아나 푸른빛으로 변한다 하여 '푸르다'라는 뜻의 靑자가 만들어졌다는 설이다 ② 丹은 井을 나타내는 것으로, '봄철에 초목이 처음 돋아날 때의 색상'이라는 뜻이다.
例) 靜(고요할 정), 淸, 精米(쓿은 쌀 미)
175 非(아닐 비)
按) 새가 양 날개를 펴고 높이 나는 모습으로 飛의 초기 자형이다. 새가 양 날개를 펴고 날 때는 서로 등지기 때문에 '등지다', '위배되다', '아니다'의 뜻이다.
176 面(낯 면)
按) 사람의 눈과 얼굴 윤곽을 본뜬 형태로, 얼굴에서 가장 중요한 눈으로 코, 입, 귀 등을 대표했다.
例) 靦(부끄러워할 전)
177 革(가죽 혁)
按) 머리에서 꼬리까지 다 붙어있는 손질이 된 짐승가죽 모습으로, '가죽'의 뜻이다. 후에 털을 가공하는 과정에 비유하여, '고치다', '새롭게하다'의 뜻도 가진다.
例) 製靴, 走馬加鞭, 鞏固(묶을 공)
178 韋(다룸가죽 위)
按) 甲骨文과 金文은 가운데에 城(口)이 있고, 두세 개의 발이 서로 반대 쪽을 향해있는 것으로, '어긋나다', '위배하다'는 '違'의 본래자이다. 발 모양은 역시 止를 써서 甲骨文과 일치한다. '무두질한 가죽'으로 가차되자 '違'를 만든 것이다.
例) 保衛(지킬 위), 周圍(둘레 위)
179 韭(부추 구)
按) 땅(一)에서 부추가 자라는 모습
例) 纖纖玉手(가늘 섬)
180 音(소리 음)
按) 甲骨文은 입에서 혀가 밖으로 뻗어 나온 모습으로, '言'과 '音'이 같은 자형이었으나, 金文은 '言'의 입을 나타낸 부분에 一의 모양을 덧붙여 구분하였다. 一의 모양이 '말 속에 소리가 있음'을 나타낸 부호라고 한다.
例) 音響
181 頁(머리 혈)
按) 갑골문은 특별히 과장된 머리를 위에, 왼쪽을 향해 꿇어앉은 몸체를 아래에 그려 '首'의 뜻이다. 또한 '책의 페이지'나 '그것처럼 얇은 물체'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때의 '엽'으로 읽고, '葉'의 뜻이다.
例) 頸(목 경), 頭, 顔面, 額子(이마 액)
182 風(바람 풍)
按) 갑골문과 金文에서는 '凡'이나 '鳳'를 빌려 그 뜻을 나타냈다. 돛은 바람과 관련이 있어서 뜻을 빌린 것이다. 한편 고대인들은 바람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봉황새를 표현한 글자를 빌려 쓰기도 했는데, 나중에 바람을 뜻하는 글자는 바로 이 봉황새를 뜻하는 것에 음의 역할을 하는 凡자를 더해 썼다. 小篆에서 虫자가 덧붙여진 것은 분명하지 않지만 고대인들 생각에 바람이 불면 벌레가 생긴다고 여기어서였을까?
例) 颱風
183 飛(날 비)
按) 金文 이후에 보이는데, 새가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는 모양이다. 小篆은 윗 쪽은 새의 머리와 목덜미에 나 있는 긴 털을, 아래쪽은 펼쳐진 날개를 표현했다.
例) 飜覆
184 食(밥 식)
按) 甲骨文은 뜨거운 김이 무럭무럭 올라가는 음식물을 담은 圓形의 食器에 뚜껑이 덮여 있는 모양으로, '음식물', '먹다'의 뜻이다. '밥' 또는 '남에게 먹을 것을 주다'의 뜻일 때는 '사'로 읽는다.
例) 饑(飢)饉, 飢餓, 餓死, 飯饌, 修飾
185 首(머리 수)
按) 甲骨文은 짐승의 머리에 눈과 머리털이 있는 얼굴을 옆에서 본 모양이다. 金文은 머리털과 눈의 형상을 강조하였고, 小篆은 아래에 머리를 대표하는 눈과 위에 세 개의 머리털이 나타나 있는데, 세 개는 多數를 대표한다.
例)
186 香(향기 향)
按) ① 甲骨文은 黍(기장 서)와 口(입 구)로 이루어져 있고, 金文은 黍와 甘으로 이루어져있다. ② 甲骨文은 그릇 모양과 보리나 기장 같은 곡물 모양이 합쳐져 있는 모양이다. 곡물은 익었을 때 향기가 나기 때문에 그 뜻이 생겨난 듯하다. 곡물 주위의 작은 점은 무럭무럭 피어오르는 김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例)  
187 馬(말 마)
按)
例) 騎馬, 騰(오를 등), 驕慢, 驚異, 駐屯
188 骨(뼈 골)
按) ① 甲骨文은 몇 개의 뼈가 서로 얽혀있는 모습. ② 甲骨文은 대체로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肩胛骨의 모습.이며, 작은 선들은 뼈 위가 파열된 모습이다. ③ 小篆에 이르러 이전의 자형에 肉을 더하여 만들어졌다.
例) 骸骨, 骨髓, 體
189 高(높을 고)
按) 甲骨文은 높고 큰 문이 있고, 그 위에 높이 세워진 城樓가 있는 모습으로, '높다'의 뜻이다. 小篆은 위는 지붕을, 아래는 누대를, 윗부분의 사각형은 먼 곳을 볼 수 있는 장소를, 아랫부분의 사각형은 출입구를 나타냈다. 아랫부분의 사각형에 대해 혹자는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라 했다.
例) 推敲, 亭子
190 髟(머리털 드리워질 표)
按) 긴 머리를 표현한 長과 그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털을 표현한  가 합쳐진 글자로, 머리털이 긴 모양이다.
例) 鬚髥, 理髮
191 鬥(싸울 투)
按) 두 사람이 서로 마주 잡고 격투를 벌이는 모습..
例) 鬪士
192 鬯(울창주 창)
按) ① 향료를 첨가하여 만든 '울창주'란 술을 뜻하는 글자로 강신(降神)할 때 썼다. 凵은 그릇이고, 그 가운데는 쌀을 형상하고, 匕는 술그릇의 둥그런 발이 변화된 형태이다. ② 단지나 항아리(凵) 안에 '울금초'라는 향초와 검은 기장 등을 넣고 술을 발효시킨 뒤, 그것을 국자(匕)로 뜨고 있는 모습으로, '울창주' 또는 '무성하다'라는 뜻을 갖는다.
例) 鬱鬱蒼蒼
193 鬲(솥 력)
按) 다리가 셋 달린 도자기나 쇠로 만든 그릇 모양. 위는 그 입(주둥이, 뚜껑)을, 가운데는 배 부분, 아래는 세 다리를 그렸다. '사이를 막는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격'으로 읽는다.
例) 核融合, 間隔
194 鬼(귀신 귀)
按) 괴상하고 큰 머리를 가진 사람의 모습으로 '귀신'을 뜻한다.
例) 魂靈, 魂魄, 魔鬼, 醜惡, 傀儡, 慙愧
195 魚(고기 어)
按) 물고기의 모양을 형상.
例) 魴魚, 捕鯨
196 鳥(새 조)
按) 새의 모양을 형상한 것으로, '隹'는 꼬리가 짧은 새, '鳥'는 꼬리가 긴 새를 가리켰다.
例) 鳴, 鳳凰, 鴛鴦, 鴻鵠, 鸚鵡
197 鹵(소금 로)
按) 안의 점은 소금을 나타내며, 밖은 소금이 담겨있는 삼태기와 같은 그릇을 나타냄.
例) 鹽田
198 鹿(사슴 록)
按) 머리의 뿔과 네 다리를 갖춘 숫 사슴의 모습을 상형.
例) 麒麟, 華麗
199 麥(보리 맥)
按) 보리의 줄기가 곧고 아래로 숙인 잎과 긴 뿌리를 나타냄.
例) 麵
200 麻(삼 마)
按) 두 그루의 삼을 낭떠러지(厂)나 처마(广) 아래에서 말리는 모양. 삼은 섬유로 분리하는데 집안에서 처리되므로 집을 나타내는 자형과 합쳐져 이루어졌다.
例) 鍊磨, 魔鬼, 靡
201 黃(누를 황)
按) '璜'의 본래자로, 甲骨文은 사람(大)이 허리에 둥근 玉을 차고 있는 모습으로, 佩玉의 뜻이었다. 패옥(佩玉)의 색깔이 노란색이므로 가차함. 즉 색깔은 추상적 개념으로 구체적 대상물이 없기 때문에 다른 대상물로부터 비롯된 글자를 빌어 표현한 것.
例) 縱橫, 廣範圍
202 黍(기장 서)
按) 줄기가 곧은 식물의 이삭이 위로 올라가 끝이 아래로 늘어진 모양에, 물방울이나 물의 형상이 덧붙여져 '기장'을 뜻하는 글자로 쓰임. '기장'이나 '기장의 성질'과 관련된 뜻으로 쓰인다.
例) 黎明
203 黑(검을 흑)
按) 아랫부분의 불을 때는 아궁이와 윗부분의 연기 빠져나가는 굴뚝모양을 그린 글자로, 굴뚝 위로 불꽃이 타오를 때에 남겨진 색깔(검정색)을 뜻한다.
例) 沈黙, 黜黨, 近墨者黑, 點劃
204 黹(바느질할 치)
按) 천에다 바느질하여 수를 놓은 형상.
205 黽(맹꽁이 맹)(힘쓸 민)
맹꽁이를 형상으로, 머리와 큰 배를 그렸다. '개구리'나 '자라'와 같이 물가의 동물과 관련된 뜻을 나타내고, '힘쓰다', '노력하다'의 뜻일 때는 '민'으로 읽는다.
例) 鼈(자라 별)
206 鼎(솥 정)
按) 두 개의 솥귀와 둥근 솥 배, 세 개의 솥발을 나타냄. 고대에 왕위 계승의 상징이 되면서 '귀중한 器物'로 되었다.
207 鼓(북 고)
按) 손에 북채를 들고 북을 치는 형상. 좌측의 士는 북에 달린 장식물, 口는 가죽을 댄 소리 나는 부분, 아래는 받침대, 우측의 '支'는 손에 나무막대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칠 복'의 뜻이다.
208 鼠(쥐 서)
按) '쥐'를 뜻하는 글자로 윗부분은 머리를 본뜨고, 아랫부분은 꼬리, 발, 배를 나타냈다. 甲骨文은 옆에 먹다 남은 찌꺼기까지 있다.
209 鼻(코 비)
按) 코 모양을 형상한 自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코의 뜻으로 쓰이지 않고 '스스로'의 뜻으로 전용되자, 그 글자에 음을 나타내는 畀(줄 비)자를 합쳐 만들어짐.
210 齊(가지런할 제)
按) 같은 높이로 가지런히 자란 곡물의 모양에서 그 자형이 이루어진 글자로 '가지런하다', '같다'의 뜻
例) 經濟, 齋戒
211 齒(이 치)
按) 甲骨文은 이가 입 안의 위아래에 나란히 나 있는 모양. 金文에서 음(音)을 나타내는 止(지)자 자형이 덧붙여지기 시작했다.
例) 妙齡
212 龍(용 룡)
按) '立' 은 용머리의 뿔이 변한 것, '月'은 용머리의 위턱과아래턱이 벌어져 있는 커다란 입이 변한 것, 우측은 목의 비늘과 다리가 변한 것.
例) 龐大, 聾兒, 掩襲, 襲擊
213 龜(거북 귀)
按) 머리와 발, 짧은 꼬리, 그리고 껍질이 두드러진 등이 있는 거북 모양을 그린 것으로, 옛날에는 거북의 껍질을 태워 그 갈라진 금을 보고 점을 쳤는데, 이로 인해 '트다', '갈라진다'의 뜻을 갖는데, 이때는 '균'으로 읽는다.
例) 龜裂
214 龠(피리 약)
按) 자형의 바탕이 된 피리는 황죽(黃竹)으로 구멍이 세 개 있고, 위의 삼각형 모양은 입 모양을 나타낸다.
例) 蘥, 龢(풍류 조화될 화 和의 古字)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Attention Required! | Cloudflare

Sorry, you have been blocked

You are unable to access bl-333.top

Why have I been blocked?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