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삼각산(북한산)의 유래 - 삼각산 포럼 강의 자료

三角山 有感

1982년 3월에 서울에 올라왔으니 어언 서울 생활이 36년을 채우고 있다.
그 사이 삼각산 자락에 감겨 살면서 
숱하게 기상이 넘치는 삼각산을 바라보고 
붓을 닮은 인수봉을 특별히 섬기며 살아왔다. 
마침 삼각산포럼에서 삼각산을 주제로 특강을 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메모를 해 본다.

들어가는 말靑山不墨萬古屛流水無絃千年琴三必知 三不知
사고방식의 진화: 2분법(생사, 밤낮, 해달, 승패...) – 3분법(시간) - 4~5분법(공간)
지난여름의 만주 답사 소감(환인, 집안, 비사성, 오녀산성, 환도산성, 백암산성, 안시성, 선양 등 답사)- 역사는 쓰여진 거짓말이요, 신화는 쓰여지지 않은 진실이다.

은 이다. 봉우리가 하나면 '峰', 둘이면 '丘', 셋이면 '山' 다섯이면 '岳(嶽)'이다.
산은 天地人 三才와 깊은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산은 하늘을 이고대지를 딛고사람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사랑도 3의 수이다.
은 봉우리로 볼 때 //이고, //이고, //이고, /살아 있다/는 증거이다. 그래서 壽似山 福如海라고 했다. 
山과 三은 흔들림과 변함이 없다. 
산을 닮은 사람을 ‘산을 닮은 사람’ 곧 ‘仁者’라 했다.
’ 자는 ‘사람·하늘·’을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仁者樂山 知者樂水’라는 말이 탄생한다.

오악(五岳/五嶽) : 
1. 우리나라의 이름난 다섯 산동의 金剛山서의 妙香山남의 智異山북의 白頭山중앙의 三角山을 이른다.
2. 중국의 이름난 다섯 산타이산(tài), 화산(huá), 헝산(héng,), 헝산(héng), 쑹산(sōng)을 이른다(저울대 형)과 (항상 항)의 중국 발음은 같다.
3. 사람의 얼굴에서 이마좌우 광대뼈를 이르는 말. 여기에서 관상이 출발한다.

유명인일수록 이름이 많다. 산도 그렇다. 
금강산은 계절마다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삼각산은 소뿔산셔블산세뿔산한산북한산중악삼봉산화산부아악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때 名山이자 靈山이다.

'三角山'이란 명칭과 '北漢山'의 명칭의 빈도수를 조사해 보았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角山'이란 단어가 182회 나오는 데 반해, '북한산'은 145회 나타난다.
<고전번역서>에서는 291 대 145, <한국문집총간>에는 391 대 76으로 나타난다.
통계적으로 보면 '삼각산'이란 용어가 '북한산'이란 용어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삼각산의 명칭 유래를 유추해 본다. 
도봉산의 ‘牛耳峰’(인수봉에 뾰족이 튀어나온 바위가 소의 귀를 닮은 것으로 보기도 함), 강북구의 ‘牛耳洞’, 강북구와 도봉구 사이를 흐르는 ‘牛耳川’이라는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삼각산은 '소'와 관련이 깊은 산이다. 우이동은 본명은 ‘쇠귓골’이었다. 그렇다면 ‘소뿔산’이 삼각산의 원명일 것이다. 북쪽에서 바라본 삼각산은 마치 소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백운봉과 만경봉은 겹쳐 보여 마치 ‘소뿔’처럼 보인다. 우리 민족의 뿌리가 북방에서 내려온 민족이라면 분명 그렇게 보았을 것이다.
여기에서 백제의 수도가 들어서자 ‘소뿔산’이 ‘셔블산(서울산)’으로 와전된다. 문제는 셔블산 남쪽에서 바라보면 소뿔 2개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백운봉·인수봉·만경봉이 3개의 뿔로 보인다. 여기에서 ‘세뿔산’으로 와전되고, ‘세뿔산’을 한자로 옮기면 ‘三角山’이 되는 것이다. 삼각산의 다른 이름으로 백제의 수도를 지키는 산, 곧 ‘한산(漢山)’과 오악의 하나인 ‘중악(中岳)’도 있다.
이외에도 삼봉산(三峰山, 세봉오리로 이루어진 산), 화산(華山, 꽃이 만발하는 산) 또는 부아악(負兒岳, 어린아이를 등에 업고 있는 모습) 등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 때에는 산의 형상이 아이를 업고 있는 모양과 같다 하여 부아악(負兒岳)으로 부르기도 했다. '북한산'으로 불리게 된 것은 백제의 수도 이전 당시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기록으로는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부터라고 추정된다. 원래 수도를 지키고 있는 산을 ‘큰 산’의 의미인 ‘한산(漢山)’이라 했다. 한강 북쪽 위례에 도읍하던 백제가 고구려에 밀려 한강 남쪽 하남으로 밀려나고는 새로운 ‘한산’ 명명이 불가피했다. 여기에서 ‘북한산’은 ‘남한산’의 상대적 개념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이를테면 북한산, 남한산 등은 동산, 앞산처럼 고유명사라기보다 보통명사적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왜 '삼각산' 대신에 ‘북한산’으로 불리도록 강요당하는가. 역사 교과서에서 '삼각산'이란 명칭 대신, 일제가 붙인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라고 명명함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은 모두 '북한산'이란 말에 익숙하게 길들여지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추사 김정희의 역할이 크다. 추사는
<阮堂先生全集卷一>의 '眞興二碑攷'에서 '이상의 신라 진흥왕순수비는 지금 경도(京都)의 북쪽으로 20리쯤 되는 북한산 승가사(僧伽寺) 곁의 비봉(碑峯) 위에 있다'(右新羅眞興王巡狩碑 在今 京都北二十里北漢山僧伽寺傍碑峯之上)라고 하여 '삼각산'이란 명칭 대신에 '북한산'으로 불렀기 때문이다.
그리고 1910년대 일제의 친일적 조선 지명 명명과 오늘날 정치적 메커니즘의 영향도 크다고 본다. 게다가 1983년에 '삼각산'과 '도봉산'을 ‘북한산국립공원’으로 지정함으로서 '삼각산'이란 말 대신에 ‘북한산’이란 명명이 더욱 공고해졌다. 이후 지명학회를 비롯한 몇몇 민간 단체의 노력이 있었지만 말이란 인위적으로 바꿀 수 없는 사회적 기능 탓으로 쉽게 되돌릴 수 없는 형편이다. 
만약 추사가 '삼각산신라진흥왕순수비'라고 했거나, 정부에서 '삼각산국립공원'이라고 했다면 '북한산'이란 명칭 대신에 '삼각산'이 힘을 얻었을 것이다. 비봉의 진흥왕순수비는 국보 제3호로 신라 진흥왕의 북한산 순행을 기념하여 碑峯에 세운 순수비이다. 다시 말하면 신라의 영역표시이다. 1816년에 김정희가 비문의 일부를 판독한 후 널리 알려졌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전체적인 흐름을 유추해 보면 시작은 '소뿔산'이었으나 백제의 수도가 들어온 이후 명칭이 두 갈래로 나뉘어, 고유명사로서의 '삼각산'계 및 보통명사로서의 '북한산'계로 나눠 볼 수 있다.
1. 소뿔산(북쪽에서 볼 때, 소의 두 뿔로 보임. 고유명사) - 세뿔산(산의 남쪽에 있는 위례성에서 볼 때, 뿔이 세 개, 또는 三峰이 3각형을 이룸. 고유명사) - 三角山(고유명사. '세뿔산'을 三角山을 표기)
2. 셔블산('서울의 산'이란 의미의 보통명사) - 漢山('수도를 지키는 산', '큰 산'의 의미로 '동산', '앞산'과 같은 보통명사. 순우리말 '한산'을 '漢山'으로 차자 표기) - 北漢山(보통명사. 남한산에 대한 상대적 개념. 北漢山으로 표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三角山 (유래, 북한산 유래, khan 산)
중국의 五嶽 : 다섯 靈山.
한국의 五嶽
백운대 836.5 인수봉 810.5 만경대 787가 삼각형을 이루고 있어 삼각산, 또는 三峯山, 華山으로 불렸다.
* 北漢山 白雲臺 836m라고 예서체로 씌어져 있다. 노적봉(716), 영봉(604), 비봉(560), 문수봉(716), 보현봉(700) 등 이름난 봉우리만도 40여 개나 된다.
등산코스는 구기동, 우이동, 정릉, 세검정, 구파발을 기점으로 하는 코스와 칼바위틍선, 사자능선, 탕춘대서능선, 형제봉능선, 응봉능선, 비봉능선 등이 등산로로 이용되는 능선이다.
빼어난 풍경의 계곡을 자랑하는데 진관사계곡, 검정계곡, 성북동계곡, 정릉계곡, 우이동계곡, 구기계곡, 삼천사계곡, 산성계곡, 구천계곡, 평창계곡, 효자리계곡, 소귀천계곡 등도 볼 만하다.
중랑천, 창릉천, 불광천, 모래내는 북한산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다.
북한산 능선에는 북한산성이 8km에 걸쳐 펼쳐지는데, 평균 높이는 7m이며, 14개 성문 가운데 대남문, 대서문, 대성문, 보국문, 용암문 등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북한산에 동물상은 약 140종의 곤충과 조류 42종이 있으며, 야생동물은 그 종류가 매우 적어 10여 종에 불과하다.
식물상은 신갈나무와 소나무가 가장 흔하게 있으며 철쭉군락, 상수리나무 등이 많이 자란다.
오소리, 살쾡이, 너구리, 멧돼지 등 포유류가 있으며 큰오색딱다구리, 소쩍새, 후투티 등이 서식한다.
흑비둘기, 솔개, 부엉이, 황조롱이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조류들도 서식한다.
1983년 도봉산과 함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3년 10월 31일 명승 제10호로 지정되었다.
도봉산의 가장 높은 봉우리는 자운봉(紫雲峰) 739m이다. 만장봉 718m, 선인봉 708m, 주봉, 우이암, 서쪽으로 5개의 암봉이 나란히 줄지어 서 있는 오봉 등 각 봉우리는 기복과 굴곡이 다양하여 절경을 이루고 있다.
마치 금강산을 빚어 놓은 것 같아 서울의 금강이라 불리고 있다.
도봉산의 능선을 이루는 칼바위, 기차바위, 해골바위, 피바위 등 재미있는 이름의 바위들이 이어진다.
도봉산은 牛耳嶺을 경계로 북한산과 나란히 솟아 있으며, 북으로 사패산이 연이어 있다.
도봉산의 대표적인 등산로는 도봉산역 1번출구로 나와 도봉계곡을 따라 오르는 길인데 도봉서원을 지나 약 1km를 더 오르면 도봉산장이 나오고 다시 1km를 더 오르면 신선대 정상이다.
천축사 뒤 선인봉은 암벽 등반코스로 유명하다.
水落山 638m, 冠岳山과 함께 서울 근교 명산으로 불린다.

서울을 품은 자연의 절경 삼각산. - 문화유산채널
⦗지⦘ 서울에 있는 북한산의 딴 이름《백운대·인수봉·만경대의 세 봉우리가 있어 이렇게 부름》.
∘ [속담][삼각산 바람이 오르락내리락] 거들먹거리면서 하는 일 없이 놀아난다는 뜻. 삼각산 풍류.
∘ [속담][삼각산 풍류] 삼각산 바람이 오르락내리락.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고국산천을 떠나고자 하랴마는
시절이 하 수상하니 올동말동하여라,. 김상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