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 全唐詩·卷437白居易(백거이) ‘送王十八歸山寄題仙游寺(송 왕십팔 귀산 기제 선유사)‘ 산으로 돌아가는 왕십팔을 보내며 선유사에서 제하다 * 백거이​(772-848), '쉽게 살리라'고 고백한 사나이. 개인...
By.권상호Views.3017
봄비 봄비다!가뭄 안녕!온몸 젖어도대지는 축제다. 워낙이 고마운 비,편의점 들러라면으로 자축(自祝). 빗소리천둥소리새봄 열리는대지의 산고(産苦)다. 오감만족 예천 청령포용궁순대삼강 주막...
By.권상호Views.1999
鳳凰門(봉황문) 柱聯(주련) 雷鳴天地同時吼(뇌명천지동시후) 우레가 치니 천지가 동시에 울리고雨霽江山一樣靑(우제강산일양청) 비가 개니 강산이 하나같이 푸르다.物極魚龍能變化(물극어룡능변화) 만물이 지극하면 어룡도 ...
By.권상호Views.2908
시련은 사람을 더욱 단단하게 만든다.시련은 단련의 기회이다.시련은 뛰어넘으라고 있는 것이다.음악이 없다면 인생은 잘못된 것이다. - (프레드리히 니체) 당신이 인생의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그 사실을 잊지 말라 지...
By.권상호Views.2109
5. 나와 우리 미래를 위한 서예 그대는 어느 곳을 향하여 달리고 있는가? - 지금 여기 내가 있다. - 급한 일, 중요한 일우주의 씨앗. – 항상 곁에서 지키고 있는 시간, 선캄브리아대-고 중 신생대(6천 5...
By.권상호Views.14393
1. 서예 교육(敎育)이란 서예 교육이란 서예에 관한 知識과 글씨 쓰는技術 따위를 가르치며 書格을 통한人格을 길러 주는 일이다.칸트의 <교육학 강의는 \"인간은 교육되어야만 하는 유일한 피조물이다\"라는 ...
By.권상호Views.1980
敎는 글문에 없음. - 宗敎, 敎令의 의미. 教(교)의 본자(本字). 爻(엮다? 사귀다, 본받다, 육효(육효에서 윷이 오지 않았을까? ☞배움)와 부수(部首) 글자 (회초리)의 합자(合字). 회초리로 쳐서 가르쳐 배우...
By.권상호Views.1639
2. 교육 내용 서예경제학(書藝經濟學) -돈이 되는 서예인문학과 서예의 위상 – 문(文)·사(史)·철(哲)과 서예예술로서의 서예 – 순수예술인가 실용예술인가, 조형예술과 시간예술시간,공간,인간을 이어주는 서예–...
By.권상호Views.1840
3. 교육 방법 이론과 실기 병행 지도과제물 첨삭 지도 창작 실기 지도 - 동질성 속의 개성적 서예 PPT(파워포인트, 여러 사람 앞에서 자신의 생각을 발표) 제작 및 활용 교육UCC(User Create...
By.권상호Views.1600
한글 서체 명칭 제안서 권상호(문학박사, 칼럼니스트, 서예가) 한글 서체 명칭은 한글이 쉽듯이 쉽게 정해야 한다. 한글은 척 보면 알 수 있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한자 서체도 ‘전서, 예서, 해서, 행서,...
By.권상호Views.2115
용서한다. 하지만 잊지는 않겠다.- 폴란드 수상 요셉 키란티예비츠가2차대전 때 독일의 나치 정권의 만행을 사죄하기 위해폴란드의 유태인 위령탑을 찾은 서독의 빌리 브란트 총리에게 했던 말이다.아베 총리는 언제 독립기념...
By.권상호Views.3635
海印寺(해인사) 解脫門(해탈문) 柱聯(주련)毘盧遮那佛願力周法界 (비로차나불원력주법계) ​비로자나 부처님의 원력이 법계에 두루 미치니以最後勝體詣菩提道場 (이최후승체예보제도장) ​마지막엔 수승하신 몸으로 보리도량에 나아...
By.권상호Views.2305
‘형태적 특징에 따른 2안 분류’에 대한 토론문 (2안- 곧음체·바름체·흘림체·진흘림체) 권상호(문학박사, 칼럼니스트) ​ ​ 제1안 제2안 1) 해례본체 2) 언해본체 – 언해본체 정자 - 언해본...
By.권상호Views.3002
經學院(경학원) 柱聯(주련) 性情獨許得其眞(성정독허득기진) 성정은 홀로 그 진리를 얻고자 하는데果分金碗綠香淸(과분금완록향청) 과일 담은 금 그릇엔 녹향이 맑게 흐르고景物因人成勝槪(경물인인성승개) 경물 속의 수행...
By.권상호Views.1537
​​ 종남별업(終南別業) 종남산 별장에서 - 王維 中歲頗好道(중세파호도) 中年에 자못 道를 좋아하다가 晩家南山陲(만가남산수) 만년엔 남산 기슭에 집을 마련하였네. 興來每獨往(흥래매독왕) 흥이 나면 매양 홀로 오르...
By.권상호Views.2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