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중국 상해에서 부탁받은 글씨 - 沈霄 王洋 王志剛 선생 제위로부터

​​

종남별업(終南別業) 종남산 별장에서 - 王維

中歲頗好道(중세파호도) 中年에 자못 를 좋아하다가

晩家南山陲(만가남산수) 만년엔 남산 기슭에 집을 마련하였네.

興來每獨往(흥래매독왕) 흥이 나면 매양 홀로 오르고

勝事空自知(승사공자지) 좋은 일 있으면 부질없이 혼자 즐기네.

行到水窮處(행도수궁처) 물이 다하는 곳까지 가보기도 하고

坐看雲起時(좌간운기시) 구름 일면 앉아서 바라본다네,

偶然値林叟(우연치림수) 우연히 숲속에서 늙은이라도 만나면

談笑無還期(담소무환기) 담소하느라 돌아갈 줄도 모르네.

  <?xml:namespace prefix = o />

* 왕유: 이백과 같은 해에 태어나 60을 살고 간 당나라 자연시파의 거두다.

벼슬을 마치고 말년에는 불교에 많이 기울었다. 隱遁期에는 長安의 종남산에 별장을 짓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탐닉하다 생을 마쳤다. 또한 南宗畵의 비조로 일컬어진다. , , 에 모두 능했던 그를 일러 훗날, 蘇東坡는 그의 시에는 그림이 들어있고 (詩中有畵), 그의 그림에는 시가 들어있다 (畵中有詩)라고 높이 평했다.

 

望嶽(망악) 산을 바라보며-杜甫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산은 과연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와 노나라에 걸친 그 푸르름 끝이 없구나.

造化鍾紳秀(조화종신수) 천지간에 신령스럽고 빼어난 것 모두 모았고,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산의 밝음과 어두움을 밤과 새벽으로 갈라놓았다.

胸生曾雲(탕흉생층운) 층층이 펼쳐진 운해 가슴 후련히 씻겨 내리고,

決眥入歸鳥(결자입귀조) 눈 크게 뜨고 돌아가는 새를 바라본다.

會當凌絶頂(회당능절정) 반드시 산 정상에 올라,

一覽衆山小(일람중산소) 뭇 산의 작음을 한번 에 내려 보리라.

 

2006429일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이 미국을 공식 방문하여 대화하는 과정에서 조지 부시 미 대통령 주최의 공식 만찬장에서 연설하며 인용한 시다.

당 시인 두보가 山東에 있는 泰山에 올라가 쓴 望嶽이라는 시이다. 정상에 올라 여서 산을 발 아래 두고 굽어보며 불어오는 바람을 가슴으로 받아들이는 심정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모를 것이다. 산은 그런데, 높은 자리에 오른 사람들의 마음은 어떨까?

 

鳥鳴澗(조명간) 새 우는 산골 -王維

人閑桂花落(인한계화락) 사람은 한가롭고 계수나무 꽃잎 사뿐히 떨어지는데

夜靜春山空(야정춘산공) 고요한 봄밤의 산은 텅 비었네.

月出驚山鳥(월출경산조) 달이 뜨자 공연히 산새만 놀라

時鳴春澗中(시명춘간중) 이따금 봄 산골짜기에서 우네.

 

이 시는 선적인 적정의 경계를 묘사한 왕유의 선시들 중에서도 명편으로 꼽히는 시다. 대자연에 대한 섬세하고 치밀한 느낌을 담고 있는 시심(詩心)은 한 폭의 수묵화를 방불케 하는 청신담아(淸新淡雅)함과 한 편의 소야곡 같은 편안하고 고요하며 그윽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5언 절구인 <조명간>은 왕유의 산수시 <황보악운계잡제오수(黃甫岳雲溪雜題五首)>중의 제1수다. 황보악은 왕유의 친구이고 운계는 황보악의 별장이 있던 곳으로 현재의 강소성 단양이다.

인한(人閑)'은 번뇌 · 근심이 없음을 상징한다. 시인의 심경은 오직 유한(悠閑)할 뿐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풍수 사이트
http://sgfengshu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