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 〈훈민정음〉 해례본이 기적적으로 발견됐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한글은 2009년과 2018년 개최된 세계문자대회에서도 1위를 차지해 우수성을 보여줬다.
한글 서체 정립과 세계화를 위한 전국 학술 토론회가 부산에서 처음으로 열린다. ㈔한글서체연구회(이사장 허경무)는 27일 오후 2~5시 부산일보 10층 강당에서 토론회를 주최한다. 이번 학술 대회에는 한글 서체, 서예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해 한글의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에 나선다.
한글서체연구회 부산서 첫 토론회
27일 오후 2시 부산일보사 강당
김슬옹 세종국어문화원 원장은 ‘〈훈민정음〉 해례본체와 언해본체의 기원성과 명명의 가치-〈훈민정음〉 해례본체를 중심으로’를 이날 발표한다. 훈민정음학 박사인 김 원장은 “한글은 해례본이라는 목판본 책을 통해 과학적이면서 예술적인 모습을 처음으로 드러냈다. 첫 글꼴답게 붓글씨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닌 반듯한 디자인 꼴의 반듯체”라고 주장한다. 김 원장은 “해례본의 내용과 새 문자를 널리 퍼뜨리기 위해 탄생한 언해본은 해례본의 원형 글꼴을 좀 더 부드럽게 응용 변용한 말랑체”라고 전할 예정이다.
권상호 도정문자학연구소 소장은 ‘한글 서체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다. 권 교수는 “40여 개나 될 정도로 난립했던 한글서체 명칭 정립이 어느 정도 됐다. 정해진 한글 서체 명칭 사용의 실천과 공유를 위해 노력할 때”라고 주장한다. 권 교수는 적극적 한글 서예 홍보, 영어 서예 연구를 통한 서구문화권 전파, 서예가들의 국한문혼용 작품 창작 동참, 가로쓰기 서체 연구 박차, 서예관광 상품 개발 등 한글서체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밖에 정우영 동국대 교수의 ‘〈훈민정음〉(해례본-언해본)의 사료적 가치와 한글서체’, 신미경 ㈔한글서체연구회 이사의 ‘우리나라 서예공모전의 한글서체 분류 현황과 과제’, 류재학 응용서화연구소 소장의 ‘문인화 한글제관에 관한 소견’, 김정민 수원대 특임교수의 ‘한글인장의 현황과 한글서체 활용방법 및 발전 방안’ 주제 발표도 이어진다. 김상훈 기자 nea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