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원삼국시대 新羅의 金石文

* 사진은 임신서기석(동아대백과사전)

 

新羅의 金石文

1. 迎日冷水里碑(443, 503?)

  이 비는 현존 신라 最古의 것으로 추정되며, 1989년 3월말 경 이곳에 사는 주민 李相雲이 자기 소유의 밭에서 발견하였다. 경북 迎日郡 神光面 冷水2里에서 발견되었으므로 붙여진 이름1)이며, 국보 264호이다. 앞면에 ‘至都盧葛文王’이라는 智證王의 즉위 전의 호칭이 있고, 癸未라는 干支로 미루어 443년(訥祗王 27) 또는 503년(智證王 4)에 건립된 것이 분명하다.

  이 비는 節居利라는 인물의 재산소유와 사후의 재산상속 문제를 결정한 사실을 기록한 公文書的 성격을 지니고 있는 吏讀2)碑이다.

  迎日冷水里碑의 의의는 역시 멋대로 생긴 돌에다 눈비를 피할 수 없는 윗면에도 글자를 새겨 놓았다는 점이다. 마음대로 생긴 돌에는 마음대로 생긴 글씨가 어울릴 것이다. 못생긴 글씨를 그것도 한문 실력도 없어 吏讀로 솔직하게 써 놓은 순수성을 높이 사고 싶다. 이것이 신라만의 調和의 美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라는 지리적 여건상 서북쪽이 산맥으로 가로막혀 있어 遊移民 집단의 이주가 활발하지 못하였으므로 외래 문화의 유입이 아무래도 늦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다호리붓의 발견으로 볼 때 붓은 기원전 1세기 경에 벌써 신라 본땅에 들어왔다고 보겠으나 筆法이니, 書體니 하는 것은 알지도 못했고 또 거리가 멀었다고 사료된다.

 

2. 蔚珍鳳坪碑(524)

  이 비는 524년(법흥왕 11)에 세워진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1월 慶北 蔚珍郡 竹邊面 鳳坪2里의 논에서 객토(客土)작업을 하던 중 발견되어, 4월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현재는 원래 발견된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50 m 옮겨 비각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국보 제242호이며 蔚珍鳳坪新羅碑3)라고도 한다. 비의 석질은 變成花崗岩으로 그렇게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으므로 원래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碑文 자체는 대체로 양호하나 異體字를 많이 사용하고 또 일부는 마멸되어 읽기 어려운 글자가 30여자에 달하며, 文體 또한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新羅式의 독특한 한문을 사용한 까닭에 문장의 해석상 애매한 곳이 적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 파악은 상당히 어렵다.

   書體는 北朝風의 楷書로 되어 있으나, 자획의 형태에는 부담 없이 쓴 篆氣와 隸氣가 많이 남아 있다.

 

3. 永川菁堤碑(536)

  이 비는 慶北 永川市 道南洞 山7의 1番地에 있는 신라시대 農業水利關係碑로 보물 제517호이다. 곧 영천 청못(菁池)의 築造와 重修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두 개의 비이다.

  1968년 한국일보사 주관 新羅三山學術調査團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 비는 흔히 ‘청제비’라고 부르는데, 비의 양면에는 각기 시대가 다른 비문이 새겨져 있다. ‘丙辰年’의 銘文이 있는 것은 청못을 처음 축조할 때 새긴 것이고, 반대 면의 ‘貞元十四年’의 명문이 들어 있는 것은 청못을 새로 수리하였을 때 각한 것이다. 그리고 이 청제비의 바로 옆에는 1688년(肅宗 14)에 세워진 ‘菁堤重立碑’가 있다. 丙辰年銘 碑文과 貞元十四年銘 碑文이 있는 비석은 花崗巖 自然板石의 양면을 가공한 직사각형 비석으로 蓋石과 基壇石은 처음부터 없었던 듯하고, 높이 130cm, 너비 93.5cm, 두께 45cm이다.


4. 丹陽赤城碑(545~550)

  이 비는 忠北 丹陽郡 丹陽邑 下坊里에 있는 545(진흥왕 6)~550년(진흥왕 11)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시대의 古碑로 國寶 198호이다.

  1978년 1월 6일 단양읍 하방리 뒷산인 성재산 赤城내에서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하여 발견, 조사되었다. 花崗巖 自然石의 곱고 판판한 면을 이용하여 비문을 새겼는데 얕게 음각하였으나 오랫동안 땅 속에 묻혀 있었으므로 비면이 깨끗하여 字劃이 생생하다. 전체의 명문은 도합 430자로 추산되는데 지금 남아 있는 글자는 284자로서 거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 비의 字體는 중국 南北朝(439~589년) 초기의 것과 일치하며, 굴곡을 지닌 율동적인 글씨로 隸書에서 楷書로 옮겨가는 과정의 여운이 그대로 나타난 運筆法이다. 얕게 새긴 글자인데도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붓을 움직인 선율의 감각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다.

 

5. 月城壬申誓記石(552, 612?)

  이 비는 儒敎經典을 습득하고 실행할 것을 盟誓한 것을 새긴 신라 때의 비석이다. 비석의 첫머리에 ‘壬申’이라는 干支가 새겨져 있고, 또한 그 내용 중에 忠誠을 서약하는 글귀가 자주 보이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34년 5월 慶北 月城郡 見(현)谷面 金(금)丈里 石丈寺터 부근 언덕에서 발견되어 현재 國立慶州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냇돌의 자연석에 5행으로 74자가 새겨져 있다. 돌의 길이는 약 30cm, 너비는 윗부분이 12.5cm이나,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두께는 약 2cm이며, 1행 18자, 2행 16자, 3행 14자, 4행 16자, 5행 10자로 되어 있다. 글자는 모두 알아 볼 수 있으며, 순수한 한문식 문장이 아니고 우리말식의 漢文體이다.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

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

行誓之 又別先辛未年七月二十二日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 한문체

壬申年六月十六日二人幷誓記曰 天前誓之

自今三年以後 執持忠道 誓无過失

若失此事則誓得大罪於天 

若國不安又世大亂則誓可容行之

別先於辛未年七月卄二日大誓

誓三年以內倫得詩尙書禮傳


-> 번역문

 “壬申年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기록한다. 하느님 앞에 맹세한다. 지금으로부터 3년 이후에 忠道를 執持하고 과실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약, 이 일(맹세)을 어기면 하느님께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약, 나라가 불안하고 세상이 크게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忠道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먼저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곧, 詩․尙書․禮記․傳(左傳 혹은 春秋傳)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6. 眞興王巡狩碑

  신라 眞興王이 국토확장을 위한 拓境과 巡行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들로 昌寧眞興王拓境碑(561, 국보 제33호) ․ 北漢山眞興王巡狩碑(568, 국보 제3호) ․ 黃草嶺眞興王巡狩碑(568) ․ 磨雲嶺眞興王巡狩碑(568) 등을 일컫는다.

  진흥왕대는 신라가 종전의 미약했던 국가체제를 벗어나 일대 팽창, 三國統一의 기틀을 마련한 때이다. 진흥왕은 540~576년의 37년간 재위 동안 낙동강 서쪽의 伽倻 세력을 완전 병합하였고, 또 한강 하류 유역으로 진출하여 서해안 지역에 橋頭堡를 확보하였으며, 東北으로는 함경남도 이원지방까지 經略하는 등 국토의 팽창을 이룩하였다. 이렇게 확대된 영역을 진흥왕이 직접 순수하면서 민심을 살피고 국가에 忠誠과 節義를 바친 자에 대한 공로의 포상을 선포하고 君臣이 함께 경하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또한 이러한 戰勝紀念碑에는 征服集團의 신통한 能力과 정복사업의 偉業을 자랑하고 征服地 백성을 편안하게 해 줄 수 있다고 선전함으로써 被征服民을 회유하는 고대사회의 이데올로기적 선전의 역할도 겸하였다고 본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은 모두 4개인데, 이들을 약칭하여 昌寧碑․北漢山碑․黃草嶺碑․摩雲嶺碑라고도 한다. 해서체로서 음각된 이들 네 순수비는 신라의 강역뿐만 아니라 臣僚의 명단과 소속부명․관계명․관직명 등이 기록되어 있어 진흥왕 당대의 금석문 자료로서 이 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7. 大邱戊戌銘塢作碑(578?)

  이 비는 어느 戊戌年에 영동리촌(另冬里村)에 저수지를 만들기 위해 塢壁 곧, 堤防을 쌓은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이다. 1946년 大邱 大安洞에서 任昌淳에 의하여 발견되어, 전란 등으로 우여곡절을 겪다가 현재는 大邱 慶北大學校 博物館에 보존되어 있다. 戊戌塢作碑라고도 하며, 另冬里堤防築造碑인 이 비는 보물 제51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비는 赤葛色의 自然石으로 넓적한 선인장 잎과 같은 형태로, 상부는 원형으로 처리되고 하부는 대체로 직선으로 잘려 있다. 비의 높이는 103cm, 상부 너비는 65.8cm, 하부 너비는 53.8cm, 두께는 12cm이다. 碑面은 자연석 그대로이고 비문을 刻字한 면도 연마를 하지 않은 자연석 그대로이다. 자연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행은 9행이나 매행마다 字數가 20자 내외로 일정하지 않고, 또 마멸된 곳이 많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