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서 추가 내용(11월 9일)
좌우대칭 예외
攀(더위잡을 반) -
攜(끌 휴) 携(끌 휴)의 본자
攝(당길 섭) -
좌우 대칭
覺
攫(붙잡을 확)
懼(두려워할 구)
니형
收 - 又자로 마무리
攸(바 유) - 예서의 형태에 따라 攵의 형태도 달라진다.
改와 攻(칠 공)의 차이는 없어 보인다. 실제로 같이 쓴 예도 있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攻자의 초서에 1획을 더함으로써 구분하고 있다.
放 -
政, 正, 謠, 遙, 瑤 -
故 - 이 글자는 왜 2점으로 처리했을까?
效 - 왕탁만은
叙(베풀 서) 敍의 속자 – 이 글자만 왜 2점으로 처리했을까?
敎, 敏, 救, - 救자의 서로 다른 형태를 익혀야 한다.
敢(감히 감) - 攵을 왜 서로 다르게 표현했을까?
散 -
馬, 敦 - 敦은 2가지 형태가 공존한다.
敬 -
敲(두드릴 고) -
數 -
整(가지런할 정), 整理 -
斂(거둘 렴), 收斂 -
文 - 뗀 것과 붙인 것, 두 가지 종류가 있다.
甚(심할 심), 斟(술 따를 짐)
필순 바꾸기
斜
斤(도끼 근)은 근처만 갔다가 오게 쓴다.
斧 -
斬(벨 참) - 車 운전은 어렵다. 쓰기도 어렵다. 길만큼 다양하다.
斯(이 사) -
新 - 새롭기 위해서도 꾸준히 변화해야 하는가 보다.
斷 - 왼쪽을 왼쪽은 ‘上(3점)’+‘ㄴ’으로 써야 한다. ‘가로2점’+‘세로2점+ㄴ’으로 출발한다.
方
於
施 -
旁(곁 방, 두루 방, 널리 방) - 갑골문을 보면 보습을 먼 곳까지 밭을 가는 모습이다. 흙은 바로 ‘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곁 방’이 되기도 하지만, 먼 곳까지 두루 보습질을 하는 데에서 ‘두루 방’의 의미도 더해졌다.
旅(군사 려, 나그네 려) -
旌(기 정), 旌閭(정려), 銘旌(명정), 旌善郡(정선군) -
族(겨레 족) - 깃발 아래 무기[矢]를 들고 있는 공동체. 家族(가족), 氏族(씨족), 部族(부족), 民族(민족)
旋(돌 선), 旋律(선율), 旋回(선회), 斡旋(알선), 周旋(주선), 凱旋(개선), 旋風的(선풍적) -
旗(기 기), 旗幟(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