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강의 자료 11. 12

초서 원리 2 – 생략의 원리(왼쪽 생략, 평행획 생략, 점획 생략)
①왼쪽 생략
  水, 永, 丞(도울 승) - ‘왼쪽 생략’의 원칙에 따라 왼쪽의 치킴획과 삐침획은 점으로 처리한다.
  口, 月, 中, 舟, 尙 - 口, 月자는 단독으로는 행서체로 쓰지만 글자 속의 부분으로 들어가면 부분 생략이 나타난다. 나머지 글자들은 ‘왼쪽 생략’의 원칙이 적용된다. 中의 1획은 생략한다. 만약 살리고 싶으면 굴림 끝에 점찍고 쳐올리면 된다.
그러나
同, 用 등은 왼쪽을 생략하지 않는다.

  帝, 帶 - ‘冖’과 ‘巾’의 왼쪽 생략에 의해 회오리바람이 일어난다.


  婦, 掃, 歸 - 역시 ‘冖’과 ‘巾’ 등의 왼쪽 생략이 이루어졌다.
 

  羽, 習, 搨(베낄 탑) -


②평행하는 가로획의 생략

  長, 書 - 長은 전체적인 인상만 살려 4개의 가로획을 하나만, 書는 5개의 가로획을 하나로 줄인다.

  以 - 以의 예서는 ‘口+人’이었다. 따라서 口의 가로획을 생략하면 가로 2점만 남는다.

  幸 - 고생(辛)을 뚫고 나가야 행복(幸)이 온다. 幸자의 초서도 생략이 많아 이해가 쉽지 않다. 幸의 갑골문은 ‘梏(手匣 곡)’의 의미와 ‘夭(어릴 요)+屰(거스를 역)’이 나타내는 ‘일찍 죽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었다. 나중에 앞의 의미로는 쓰이지 않고 후자의 의미로만 사용된다. 후자의 의미는 예서시대에 와 ‘大+羊’으로 쓰며 ‘다행’의 뜻으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초서에서는 幸의 마지막에 가로획을 하나 더하기도 했다. 시작을 역순으로 쓰고, 생략 결과는 가로획이 둘뿐이다.

  執(잡을 집) - 幸자가 부분으로 쓰일 때는 초서 幸자보다 한 획을 더한다.

  摯(잡을 지, 도타울 지), 眞摯(진지) -

  澤(못 택), 擇(가릴 택) - 방이 전서에서는 ‘睪(엿볼 역, 目+大+羊)’으로 썼었다. 예서에 오면서 ‘大’자가 사라진 형태로 쓴 것이 초서로 굳어졌다.

  拜(절 배) - 예서에서 오른쪽 방의 가로획이 4개에서 3개로 다시 2개로 생략했다.

   掛(挂, 걸 괘) - 몸의 가로 4획을 3획으로 줄이고, 卜이나 刂는 굴림으로 나타낸다. 점은 선택적이다.


③평행하는 세로획의 생략
再, 稱, 構 - 내리 3획은 줄여서 2획으로 처리한다.

④점획 생략
  旨, 指, 脂 - 예서 ‘亠’는 왼쪽을 생략하고 ‘ㄴ’처럼 쓴다. 指, 脂는 흐름상 두 가지 경우로 쓴다.
 
 堅 - ‘丶+ㄴ+又’에 ‘土’를 쓴다.

   縣 - 예서를 보면 ‘目+木+系’로 이루어져 있다. 오른쪽 ‘系’는 ‘小’로 생략해 쓴다.

 葛 - 曷의 갈고리 안이 점 하나로 생략된다.
 
  揭(들 게), 揭揚(게양) - 曷의 갈고리 안이 점 둘 또는 하나로 생략된다.


⑤완전 생략

  深, 探 - 冖 안의 2점 생략

  掌(손바닥 장), 撑(버틸 탱), 支撑(지탱) - 口의 완전 생략이다.
 
  陽(阳), 楊(杨), 揚(扬) - ‘日’은 바라 밑의 ‘一’과 평행하기 때문에 완전 생략한다.

  盧(卢, 밥그릇 로), 廬(오두막집 려) - 盧자의 예서와 비교해 보면, 田은 완전생략 皿도 마지막에는 ‘그’자처럼 생략했다.

  州 - 丿부터 쓰고 난 뒤에 첫 점만 찍고 나머지 점은 생략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