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초서 - 대련 쓰기

 

桃花飛綠水(도화비록수) - 이백

野竹上靑霄(야죽상청소) - 두보

 

揮毫對聯

送鮮于伯機之官浙東

衣冠文獻參諸老

臺閣功名負此公

十載黃塵看去馬

萬山青眼送飛鴻

揮毫對客風生座

載酒論詩月滿篷

昭代需才公論定

起分春雨浙江東

- 鄧文原

  字善之綿州人父漳徙錢塘文原年十五通春秋/在宋時以流寓試浙西魁四川士至元二十七年

  行中書省辟為杭州路儒學正大悳二年調崇悳/州教授擢應奉翰林文字陞修撰謁告還江南至

  大元年復為修撰預修成宗實録授江浙儒學提/舉入為國子司業陞翰林待制出僉江浙肅政亷

  訪斷疑獄如神至治二年召為集賢直學士明年/兼國子祭酒泰定元年充經筵官以疾乞致仕召

  拜翰林侍講學士㢘訪嶺北湖南道俱不赴卒/年七十一有文集及内制集若干卷藏於家.

 

揮毫對客風生座 載酒論詩月滿篷 笔锋灵动生机 节律分明韵味长

(휘호대객풍생좌 재주논시월만봉)

휘호하며 손님을 마주하니 자리에서 바람이 일고

술 싣고 시를 논하니 거룻배(돛이 없는 작은 배) 안에 달빛이 가득하다. (鄧文原)

 

賓客不來門戶俗 詩書無敎子孫愚

(빈객불래문호속 시서무교자손우) )

손님이 오지 않으면 집안이 속되고

글을 가르치지 않으면 자손이 어리석다 (명심보감)

 

浮世榮華暫時事 笑看天際白雲來

(부세영화잠시사 소간천제백운래)

뜬구름 같은 영화는 잠시의 일이라

웃으면서 하늘의 흰 구름을 본다. (김충열시)

 

故山春色渾如舊 回首龜城雙涕流

(고산춘색혼여구 회수귀성쌍체류)

옛 산의 봄빛은 흐림이 옛날과 같은데

머리를 귀성에 돌리니 두 줄기 눈물이 흐른다.

(사계선생시)

 

 

주자는 목민관은 백성을 대함에 있어서 반드시 먹고살게 하는 일을 먼저 생각하고, 그 뒤에 교화시키며, 교화시킨 뒤에 학문을 닦게 한다(君子之於小民也 必先養而後敎 敎而後學焉)”.

 

대학군자에게는 큰 길이 있으니 반드시 정성과 믿음으로써 이를 얻고, 교만으로 잃는다(君子有大道 必忠信以得之 驕泰以失之)”.

 

대중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 대중을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得衆則得國 失衆則失國)”.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