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言부 초서

言부 초서

 

言(말씀 언; yán) - 

計(꾀 계; jì) - 

訂(바로 잡을 정; dìng) - 앞의 것이 孫過庭의 초서이다. 汀과 혼돈이 오기 때문일 것이다.

訊(물을 신; xùn) - 

討(讨. 칠 토; tǎo) - 

訓(训. 가르칠 훈; xùn) - 

訖(讫. 이를 흘; qì) - 

託(托. 부탁할 탁; tuō) - 話화 혼돈하기 쉽다.

記(记. 기록할 기; jì) - 

訟(讼. 송사할 송; sòng) - 

訣(诀. 이별할 결; jué) - 決과 구분해야 한다.

訪(访. 찾을 방; fǎng) - 

設(设. 베풀 설; shè) - 

許(许. 허락할 허; xǔ) - 

訴(诉. 하소연할 소; sù) - 

診(诊. 볼 진; zhěn) - 

詐(诈. 속일 사; zhà) - 

詁(诂. 주낼 고; gǔ) - 

詔(诏. 고할 조; zhào) - 

詞(词. 말씀 사; cí) - 

評(评. 꼻을 평, 평할 평; píng) - 

詠(咏. 읊을 영; yǒng) - 간체자에 유의해야 한다.

試(试. 시험할 시;shì) - 마지막은 삐침이 아니라 점임을 명심해야 한다.

詣(诣. 이를 예; yì) - 

詩(诗. 시 시; shī) - 

詳(详. 자세할 상; xiáng) - 

話(话. 말할 화; huà) - 

誅(诛. 벨 주; zhū) - 

誇(夸. 자랑할 과; kuā) - 간체자에서는 言이 떨어져나갔다.

誌(志. 기록할 지; zhì) - 

誓(맹세할 서; shì) - 

認(认. 알 인; rèn) - 간체자 유의. 

誕(诞. 태어날 탄; dàn) - 

誘(诱. 꾈 유; yòu) - 

語(말씀 어; yǔ,yù) - 

誠(诚. 정성 성; chéng) - 

誣(诬. 무고할 무; wū) - 

說(说. 말씀 설; shuō,shuì,yuè) - 

誤(误. 그릇할 오; wù) - 

誡(诫. 경계할 계; jiè) - 예서의 형태를 보면 초서에 대한 이래가 쉽다.

誦(诵. 욀 송; sòng) - 

誨(诲. 가르칠 회; huì) - 海와 같이 쓰기도 한다.

誼(谊. 옳을 의; yì) - 

課(课. 매길 과; kè) - 

諄(谆. 타이를 순; zhūn) - 

調(调. 고를 조; diào,tiáo) - 

談(谈. 말씀 담; tán) - 

誰(谁. 누구 수; shéi,shuí) - 

請(请. 청할 청; qǐng) - 

論(论. 말할 론; lùn,lún) - 간체자 유의.

諒(谅. 믿을 량; liàng,liáng) - 

諛(谀. 아첨할 유; yú) - 

諜(谍. 염탐할 첩; dié) - 

諧(谐. 화할 해; xié) - 

諦(谛. 살필 체, 자세할 체; dì) - 

諭(谕. 깨우칠 유; yù) -

諱(讳. 꺼릴 휘; huì) - 

諫(谏. 간할 간; jiàn) - 

謀(谋. 꾀할 모; móu) - 某가 ‘甘+木’인데, 예서에서 其의 형태가 나타나므로, 글자가 복잡해졌다. 대부분의 초서는 마지막 형태인데, 木 자 두 글자를 내리쓴 형태이다.

謨(謨. 꾀 모; mó) - 총 18획이지만 謀(16획)와 뜻과 발음이 비슷하므로 여기에 싣는다.

謁(谒. 아뢸 알; yè) - 

諡(谥. 시호 시; shì) - 

諺(谚. 상말 언; yàn) - 彦 안에 彡도 있으나, 대게 두 개의 삐침으로 쓰여 있다.

諾(诺. 대답할 낙; nuò) - 

諸(诸. 모든 제; zhū) - 法 자와 혼동하기 쉽다.

謂(谓. 이를 위; wèi) - 語 자와 혼동하기 쉽다.

謙(谦. 겸손할 겸; qiān) - 

講(讲. 익힐 강; jiǎng) - 간체자를 어디에서 추출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謝(谢. 사례할 사; xiè) - 

謠(谣. 노래 요; yáo) - 

謬(谬. 그릇될 류; miù) - 

謫(谪. 귀양 갈 적; zhé) - 

謹(谨. 삼갈 근; jǐn) - 菫(제비꽃 근) 자는 難(어렵다) 또는 ‘적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饉(흉년 들 근), 勤(부지런할 근), 勤(부지런할 근), 僅(겨우 근), 槿(무궁화나무 근) 등의 예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조심스러워 말하기가 어렵다’에서 ‘삼갈 謹’이 되었다고 본다. 菫을 상하 3단계로 보고 手처럼 쓰고 있음이 특이하다.

證(证. 증거 증; zhèng) - 간체자에서는 正과 政 등은 발음이 같으므로 쉬운 자로 대신하였다.  

識(识. 알 식; shí,zhì) - 戠(찰진 흙 시)는 ‘幺+戈’로 씀에서 출발한다.

譜(谱. 계보 보; pǔ) - 

警(경계할 경; jǐng) - 

議(议. 의논할 의; yì) - 

譯(译. 통변할 역; yì) - 

譬(비유할 비; pì) - 

護(护. 보호할 호; hù) - 戶와 발음이 같다. 

譽(誉. 기릴 예; yù) - 

讀(读읽을 독; dú,dòu) - 간체자는 초서에서 가져왔다.

變(变. 변할 변; biàn) - 

讐(雠. 원수 수; chóu) - = 讎(짝 수; chóu,shòu)

讓(让. 사양할 양; ràng) - 

讖(谶. 참서 참; chán) - 

讚(赞. 기릴 찬; zàn)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