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隶 隹부 초서

隶 隹부 초서

 

隶(미칠 이{대}; dài,yì,shì) - 

隷(隶. 붙을 례; lì) - 예서체를 보아야 초서를 이해할 수 있다. 앞의 예서는 석문송, 뒤의 예서는 조전비 예서이다. 當代의 徐伯清(1926—2010)은 간체자로 썼다.

隹(새 추; zhuī) - 

隻(只. 새 한 마리 척; zhī) - 간체자 유의

雀(참새 작; què,qiāo,qiǎo) - 

雁(기러기 안; yàn) -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있다. 처음은 孫過庭의 글씨. 둘째는 명대 초기의 沈度의 동생 沈粲의 글씨. 셋째 넷째는 唐代의 懷素 글씨. 다섯째는 當代 啓功의 글씨이다.

雄(수컷 웅; xióng) - 예서의 口 자가 초서에 이어졌다.

集(모일 집; jí) - 隹 자를 3획으로 줄이고 木 자를 붙였다. 鳥 자 머리를 올린 모습도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가로획 생략이다.

雅(초오 아; yǎ,yā) - 

雇(품살 고{새 이름 호}; gù) - 

雉(꿩 치; zhì) - 예서를 보면 초서를 이해할 수 있다.

雍(누그러질 옹; yōng) - 전서를 보면 원래는 雝(할미새 옹, 누그러질 옹)이었다. 예서에 오면서 모양이 간편하게 바뀌기 시작하여 지금의 雍으로 바뀌었다. 발음은 할미새의 울음소리이다. 낯설게 다가오지만 처음의 孫過庭과 두 번째 王鐸, 세 번째의 徐伯清의 초서는 세 번째 예서에 근거한다. 세 번째의 초서 형태가 친숙하고 또 많이 나타난다. 네 번째 초서는 필순만 바뀌었을 뿐 세 번째 초서와 맥락을 같이한다. 전서 邑이 예서 乡으로, 다시 초서에서 子로 바뀐 것이 재미있다. 마치 糸이 초서에서 왼쪽 생략에 의하여 子로 바뀐 것과 같은 이치이다.

雌(암컷 자; cí) - 두 번째 초서는 匕 자를 생략했다.

雕(독수리 조; diāo) - 둘 다 손과정의 초서인데, 隹마저 3점으로 처리한 것이 재미있다.

雖(虽. 비록 수; suī) - 점은 언제나 선택적이다. 왼쪽생략의 법칙에 따르더라도 虽는 子가 될 수 없다. 다섯 번째의 王羲之 초서는 阝로 오판하기 쉽지만 그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마지막 두 글자는 각각 王羲之와 蔡襄의 글씨이다. 채양의 고민을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雛(雏. 병아리 추; chú) - 

雞(鸡. 닭 계; jī) - 간체자에는 鳥 자가 붙어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마지막은 왕탁의 초서이다.

雜(杂. 襍. 섞일 잡; zá) - 간체자 유의. 襍이 본자이다. 여러 색깔과 모양이 뒤섞여 있는 옷을 뜻했다. 예서에서부터 木자가 衣 밑으로 와서 초서에서도 그렇게 쓰였다. 卒 자 초서와도 상통한다. 雜草. 雜技. 雜湯.

雙(双. 쌍 쌍; shuāng) - 개성이란 이름 아래 마음대로 썼다. 쌍소리가 나온다. 오죽했으면 간체자 双을 보면 새 한 쌍을 손 한 쌍으로 정했을까.

離(离. 떼놓을 리; lí) - 차례로 北宋의 黃庭堅(1045~1105), 南宋의 초대 황제 高宗 趙構(1107~1187), 셋째도 역시 趙構, 넷째는 明의 宋克(1327~1387), 마지막은 明의 祝允明(1460~1526) 초서이다. 한결같은 강한 개성으로 눈을 뗄 수 없다.

難(难. 어려울 난; nán,nàn,nuó) - 차례로 王羲之, 趙構, 孫過庭, 張旭, 다시 王羲之, 啓功 등의 초서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