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頁부 초서

頁부 초서

 

頁(页. 머리 혈; yè) - 간체자는 초서에서 가져왔다.

頂(顶. 정수리 정;; dǐng) - 

項(项. 목 항; xiàng) - 처음의 孫過庭의 글씨를 보면 天 자 스타일로 쓰기고 한다.

順(顺. 순할 순; shùn) - 

須(须. 모름지기 수; xū) - 

預(预. 미리 예; yù) - 

頌(颂. 기릴 송; sòng) - 

頒(颁. 나눌 반; bān) - 

頑(顽. 완고할 완; wán) - 頑固(융통성이 없음)

頓(顿. 조아릴 돈; dùn,dú) - 

頗(颇. 자못 파; pō) - 

領(领. 옷깃 령; lǐng) - 食부와 흡사하다.

頡(颉. 곧은 목 힐, 새가 날아오를 힐; xié,jié) - 

頤(颐. 턱 이; yí) - 

頫(머리 숙일 부; fǔ) - 俯fǔ와 같음(중국어 사전).

頭(头. 머리 두; tóu,tȯu) - 두 번째 明의 宋克의 글씨는 생략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세 번째의 초서 부분에서 간체자를 짐작할 수 있다.

頰(颊. 뺨 협; jiá) - 

頸(颈. 목 경; jǐng,gěng) - 

頹(颓. 무너질 퇴; tuí) - 

頻(频. 자주 빈; pín) - 대부분 生 자로 시작한다. 두 번째의 王鐸의 글씨에서는 연결감이 부족하다.

題(题. 표제 제; tí) - 세 번째 글씨는 啓功의 것이다.

額(额. 이마 액; é) - 

顔(颜. 얼굴 안; yán) - 마지막은 懷素의 초서이다.

願(愿. 원할 원; yuàn) - 차례로 王羲之, 米巿, 范成大까지는 이해가 간다. 대부분이 네 번째의 王羲之 초서 스타일로 쓰는데, 생략의 극치라고 할 수 있겠다.   놀랍게도 여섯 번째 漢의 馬圈灣前漢簡에 초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간체자는 본자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

顚(颠. 꼭대기 전, 이마 전; diān) - 眞의 다양한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

類(类. 무리 류; lèi) - 

顧(顾. 돌아볼 고; gù) - 

顯(显. 나타날 현; xiǎn) -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