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로이 지내며
臨溪茅屋獨閑居 개울 옆의 띠풀 집에 한가히 혼자인데
月白風淸興有餘 밝은 달과 맑은 바람 흥취가 넘치누나.
外客不來山鳥語 찾아오는 손님 없이 산새와 벗을 하고
移床竹塢臥看書 대밭으로 평상 옮겨 누워서 책을 보네.
- 길재(吉再 1353~1419) 〈술지(述志)〉 《야은집(冶隱集)》(한국문집총간 7집) : 길재는 고려말기의 문신으로, 조선이 건국하자 절의를 지켜 은거하였던 인물입니다. 이 시에도 미련 없이 속세를 떠나 한가로이 지내는 시인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이 시는 그의 문집인 《야은집(冶隱集)》에는 〈술지(述志)〉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고, 《동문선(東文選)》과 《용재총화(慵齋叢話)》 등에는 〈한거(閑居)〉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습니다. 조선의 조정에서 예우를 갖추어 모시려 했지만 끝내 거절하였던 절의를 생각할 때에는 〈술지(述志)〉도 좋겠지만 한 단계 더 나아가 세상일에 초탈했던 풍모를 생각할 때에는 〈한거(閑居)〉가 좀 더 어울리는 듯합니다.
시골의 조용한 개울가에 작은 초가집을 짓고 혼자 살고 있지만, 불어오는 바람은 시원하고 맑은 밤하늘에는 달빛이 환하게 비추어주니 삶에 흥취가 절로 가득합니다. 그리고 세상과 등지고 살고 있으니 찾아오는 손님 하나 없지만 언제나 산새가 옆에서 지저귀니 외롭지도 않고, 시원한 대나무 그늘 아래의 평상에서 엎치락뒤치락 누워 책을 볼 수도 있으니 더 이상의 한가로움도 없습니다.
이 시는 시인의 절의와 달관자적 삶을 표현했다고 하지만, 이런 거창한 의미 부여를 하지 말고 그냥 한가한 어느 한 때의 모습을 묘사한 정도로만 읽을 때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더 많은 느낌을 줄 것 같습니다. 현대인들 특히 도시인들은 인공 구조물 속에서 늘 바쁘고 여유가 없습니다. 한 번씩 누릴 수 있는 휴가 기간조차도 평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의 틈바구니에서 정신없이 시간을 보내고 맙니다. 어느덧 이번 여름도 다 지나고 가을의 문턱에 서 있습니다.
권상호
臥(엎드릴 와; ⾂-총8획; wò) - 규칙에 의한 초서의 변화 과정을 알아야 한다.
朢(보름 망; ⽉-총14획; wàng) -
賢(어질 현; ⾙-총15획; xián) - 돈을 보고 손쓰다. 손과 재산을 보는 사람. 보고 재물을 손쓰는(나눠주는) 사람 – 어질다. 臤(어질 현, 굳을 간),
* 賢에 딸린 글자: 堅(굳을 견, 단단하게 하다; ⼟-총11획; jiān) - 땅을 보고 손쓰다, 腎(콩팥 신; ⾁-총12획; shèn) - 몸을 보고 손쓸 곳은 콩팥, 竪(세울 수, 豎의 속자) - 제기를 보고 손쓰다.
監(볼 감; ⽫-총14획; jiān,jiàn) -
覽(볼 람{남}; ⾒-총21획; lǎn) - 閱覽室,
臨(임할 림{임}; ⾂-총17획; lín) - 물건을 보고 사람이 임하다.
두 개는 ‘많다’ - 冫 多 艸 竹 林 霖 友 赫(爀) 竝 步 從 行 絲 彗(비 혜) 門 영
세 개는 ‘매우 많다’ - 氵 火 光 山 首 氣 森 衆 品 三 參 川 集의 고자. 巢
네 개는 더더욱 많다 - 水 米 雨
* 狡兔死 走狗烹, 飛鳥盡 良弓藏, 敵國破 謀臣亡 :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어져서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되고, 나는 새가 다 잡히면 좋은 활이 감춰지며, 적국을 무너뜨리고 나면 일을 도모하던 신하를 죽인다. <十八史略>
狡兔死走狗烹(교토사주구팽) -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일이 있을 때는 실컷 부려먹다가 일이 끝나면 돌보지 않고 학대(虐待)함. 兎死狗烹(토사구팽) - ‘토끼가 죽으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에게 삶아 먹히게 된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야박하게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 <史記>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敵國破 謀臣亡(적국파 모신망) - 염량세태(炎涼世態: 세력 있을 때는 아첨하며 따르고 권세가 없어지면 푸대접하는 세상인심.)의 冷酷한 인심을 비유해 이르는 말.<史記>
谿(시내 계; ⾕-총17획; xī) 막힌 골짜기를 어찌어찌하며 흘러가다 → 溪
茅(띠 모; ⾋-총9획; máo) 창처럼 길게 자라나는 ‘띠’(볏과의 여러해살이풀)
屋(집 옥; ⼫-총9획; wū) 사람이(尸) 이르러(至) 머물 수 있는 곳으로 ‘집’을 뜻함. 집의 외형을 뜻함. 室은 ᄉᆞᆷ이 사는 집. 屋下架屋(옥상가옥, 지붕 위에 거듭 지붕을 얹는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일을 부질없이 거듭함의 비유) 屋外集會, 屋外廣告
獨 - 개(犬)는 모이면 싸우므로 한 마리씩 떼어 놓은 데서 「홀로」를 뜻함. 개는 무리지어 살지 않고 혼자서 살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홀로’라는 뜻이 생겼다. 單獨, 孤獨, 獨特
閑(막을 한; ⾨-총12획; xián) - 마소가 멋대로 도망치지 못하게 우리의 입구에 가로지른 나무. 전(轉)하여 간을 막다→‘막다’의 뜻으로 씀. 음(音)을 빌어 ‘閑暇하다’, ‘틈’이란 뜻으로 씀.
移(옮길 이; ⽲-총11획; yí) - 모가 많아지면 옮겨 심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