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현재 한자의 원형으로 정의 내리고 있는 갑골문(甲骨文)은 '甲'과 '骨'에 회화적 요소를 지닌 표시를 기록한 것이 유적에서 발굴됨으로 인해 문자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고, 은(殷)나라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갑골문은 한자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게 만든 결정적인 역할과 함께 한자의 자원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하는 계기가 된 문자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甲骨의 '甲(갑)'은 거북의 배 껍질의 의미이고, '骨(골)'은 소 같은 짐승의 어깨 뼈나 넓적다리 뼈 같은 것입니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1,000년 무렵까지 있었던 중국 고대 은(殷)나라[商(상)이라고도 함]는 종교적인 색채가 강한 정치형태를 지니고 있었는데, 전쟁 등의 국가 중대사부터 모든 행위와 현상을 제사장이 천신(天神)이나 자연신(自然神), 혹은 조상신(祖上神)에게 이 갑골을 이용해 점을 쳤습니다.
점을 치는 방법은 주로 갑골에 구멍 같은 흠집을 내고 그것을 불에 올려놓고, 열로 인해 그 흠집으로부터 갈라진 방향에 따라 길흉(吉凶)의 판단했습니다. 주로 점을 친 후에 그 결과를 갑골에 기록을 해 놓았기 때문에 갑골문은 "복사(卜辭)"라고도 불리고, 칼로 새겨놓았기 때문에 '계문(契文)'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1899년 홍수 때 처음 발견된 갑골문은 그 지역[현재 하남성(河南城) 안양현(安陽縣) 소둔(小屯)]이 은(殷)나라의 도읍지였기 때문에 '은나라의 옛터'라는 의미로 '은허(殷墟)'라고 불리고 그 문자를 '은허문자(殷墟文字)'라고도 합니다..
갑골은 그 자체가 아주 딱딱하기 때문에 그 표면에 글자를 새기기 위해서 청동(靑銅) 같은 금속이나 경옥(硬玉) 같은 단단한 칼날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래서 갑골문은 서체가 가늘고 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수의 갑골문은 먹이나 붉은 먹을 이용해 붓으로 쓰여진 것들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또한 갑골문은 원시 문자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회화적 요소가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사물의 모양을 그대로 묘사해 문자화했기 때문에 상형문자(象形文字)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것입니다. 아울러 주로 단독적인 독체자(獨體字)[文]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현재 대략 4,000여 자 정도를 확인했는데, 아직 상당수의 글자는 해독을 못하고 있고, 특이한 점은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동일한 글자도 그 모양의 차이가 상당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갑골문은 현재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단순한 문자학(文字學)뿐만 아니라 고대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소중한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한자 이해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갑골문의 서체를 처음 접하면 현재의 한자가 어떻게 해서 만들어 진 것인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결국 한자 이해의 측면에서 갑골문으로부터 서체의 변화를 접하면서 보다 분명한 한자의 자원(字源)을 확인하는 것이 한자를 바르게 이해하는 첩경이 될 것입니다.
[2]. |
原 원
| 字 자 | |
原 (언덕원) : 본래 산골짜기에서 처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본뜬 것이다. 뒤에 <언덕>의 뜻으로 쓰이게 되어, 다시 『原』자를 만들었다. ※『原』자는 < (민엄호)>의 부수자에 속한다. ※『原』이 다른 글자의 음부 글자로도 쓰인다. 願(원할 원) ⇒ 예 : 所願 (소원)
⊙ 原始要終 (원시요종) : 일의 시작을 깊이 窮究하고 일의 마지막을 잘 알아차림
| | (갑골문) | (소전체) | (해서체) |
皮 피
| 字 자 | |
皮 (가죽 피) : 뱀의 가죽을 손으로 베끼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皮』자가 다른 글자의 음부자로도 쓰인다. 彼(저 피) → 彼此, 被(입을 피) → 被害 疲(피곤할 피) →疲困, 波(물결 파), 破(깨뜨릴 파), 頗(자못 파)
⊙ 『皮』가 쓰이는 예 : | 皮革 - | 木皮 - | 表皮 - | 羊皮 - | ⊙ 虎死留皮 (호사유피) :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김과 같이 사람도 죽은 뒤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
卵 란
| 字 자 | |
卵 (알 란) : 물고기 알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卵』자는 < (병부절) > 부수자에 속한다. 『卵』자와 비슷한 글자 : 卯(토끼묘) → 예 : 卯年, 印(도장인) → 예 : 印刷(인쇄)
⊙『卵』가 쓰이는 예 : | 卵生 - | 卵形 - | 魚卵 - | ⊙ 累卵之危 (누란지위) : 알을 쌓아(포개) 놓은 것처럼 위태로운 형세의 비유.
戶 호
| 字 자 | |
(집 호 ) : 본래 외쪽 문(지게 문)의 모양을 본뜬 것인데, 뒤에 일반 백성의 집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戶』가 위에 ①房(방 방) ※『戶』가 왼쪽에 ②所(바 소)
⊙ 家家戶戶 (가가호호) : 집집마다 |
[3]. 甲骨文(殷商)
은상시기의 선조들은 특별히 귀신을 숭상했다. 크고 작은 모든 일, 즉 전쟁수렵경작을 비롯하여 자연의 풍우와 번개 등은 일종의 신의 역량으로 좌우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일을 하기 전에 먼저 신령의 암시를 얻기 위해 신에게 점을 물었다. 점을 묻는 방법으로 처음에는 소나 말의 견갑골을 불에 태워 파열된 문양의 조짐을 보고 길흉을 정했다. 이후 수골(獸骨)과 갑골(甲骨)을 겸용했다. 그리고 점괘와 이와 관계된 일을 갑골에 새겼으니 이것이 바로 ‘갑골문’이다. 갑골문의 하남성 안양 소둔촌의 은허에서 최초로 출토되었다. 당시는 이것이 중요한 고물(古物)인지 모르고 혹 잘게 부수어 ‘도첨약(刀尖藥)’을 만들거나 혹은 대부분 약재로 쓰이는 ‘용골(龍骨)’로 사용했다. 이는 광서 25년(18990에 왕의영(王懿榮)과 유악(劉鶚) 등이 발견했으며 1904년 손이양(孫詒讓)이 『계문거례(契文擧例)』를 편찬하여 처음 고증하고 풀었다. 이후 계속하여 발굴해서 약 10만 편 이상이 되었으며 현재 알고 있는 단독자는 약 5000자이며 이중에서 1500자 정도만 해독이 가능하다. 문자의 결구는 이미 단독자에서 합체자로 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 20% 정도의 형성문자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들은 상당히 성숙한 것으로 현재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자이다. 장기간의 연구를 걸쳐 동작빈(董作賓, 1895-1963)은 새겨진 글씨의 서로 다른 풍격에 따라 은나라 후기 약 300년간의 갑골문을 5시기로 나누고 또한 신구 양파로 분리했다. 제1시기는 반경(盤庚)에서 무정(武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四王) 서풍은 웅장하고 위대하며 기세는 드높다. 제2시기는 조경(祖庚)과 조갑(祖甲)에 이르는 기간으로(一世二王) 서풍은 근엄하고 온유하면서 조용하다. 제3시기는 늠신(廩辛)과 강정(康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一世二王) 서풍은 무너져 거칠고 구차하며 때로는 전도되어 틀리기도 한다. 제4시기는 무을(武乙)과 문정(文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二王) 서풍은 혹 거칠고 성글며 고졸하면서 굳세거나, 혹 기울고 생동하면서 골력이 펼쳐지기도 하며, 혹 가늘고 작으면서 수려하다. 제5시기는 제을(帝乙)과 제신(帝辛)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二王) 서풍은 엄정하고 큰 글자는 비교적 적으며 작은 글자는 엄숙하고 공정하며 수려하면서 자태가 다양하다. 곽말약(郭沫若)은 『계수편ㆍ자서(契粹篇ㆍ自序)』에서 이렇게 말했다.
복사는 귀골에 새긴 것으로 그 새김이 정갈하고 글씨가 아름다워 수천 년 뒤인 우리들에게 정신을 전해준다. 문자의 작풍 또한 사람과 세상에 따라 다르다.……세상에 새김 문자가 존재함은 실로 일대의 법서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글씨를 새긴 사람은 은나라의 종요왕희지안진경유공권이다. 卜辭契于龜骨, 其契之精而字之美, 每令吾輩數千載後人神往. 文字作風且因人因世而異……足知存世契文, 實爲一代法書. 而書之契之者, 乃殷世之鍾王顔柳也.
도판은 제1시기의 대표적인 갑골문으로 가장 완전하며, 전체는 6단락으로 나누어졌으나 읽는 방향에 다름이 있다. 서풍으로 보면 필의가 상당히 웅장하고 호방하면서 통쾌하고 시원하며 필법이 정갈하고 능숙하면서 교묘하다. 필획마다 굵고 가늠이 다르며 한 필획에서도 암암리 경중이 있고 내리긋는 획은 더욱 입체감이 있다. 특히 왼쪽부분(제5단락) 선의 변화는 더욱 풍부하고 기세는 분방하며 골력은 굳세어 큰 기세를 이룬다. 가장 주의할 점은 각종 전절에 방절(方折)과 원전(圓轉)이 있다는 것이다. 방절은 비록 직선으로 서로 접하나 매우 교묘함과 동시에 경중과 음양으로 나누어 더욱 의미가 있으니 ‘日’‘貞’이 그러하다. 원전은 도법이 유창하고 경중과 굵고 가늠이 뜻에 다라 변해 마치 쓴 것과 같은 의취가 있으니 ‘旬’이 그러하다. 이러한 것은 서예뿐만 아니라 전각에 대해서도 매우 계발적인 의의가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