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서(篆書)
전서는 진한 이전의 여러 서체를 통칭하는 말이다. 전서는 크게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으로 나누고, 100년전에 발굴된 은상 시대의 복사문(卜辭文)도 대전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을 것 같다. 이 시기에는 거북, 동물의 뼈등에 새긴 복사문 이외에도 청동기에 새기기도 하였는데 이를 금문(金文) 또는 종정문(鐘鼎文)이라고 부른다. 또한 대전은 주문이라고도 하는데 주나라 때 사주(史주)가 문자의 짜임을 실용적으로 간소화시켰으므로 붙여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대의 석고문(石鼓文)이 있다. 소전은 진시황(B.C. 246-210)이 중원을 통일하였을 때 승상 이사(李斯)가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새로운 모양으로 정리한 것이다.
대전이 자연스럽고 질박하다면 소전은 반듯하고 중후한 감을 준다. 소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진시황의 공적을 기록한 태산각석, 낭야대각석, 역산비가 있다. 소전은 모두가 원필이며 자형이 아래위로 길다.
갑골문(甲骨文)
갑골문은 귀갑수골(龜甲獸骨)의 준말이다. 갑골문은 은나라 때에 점을 치기 위한 정복문(貞卜文)과 그 당시 사실을 적은 기사문(記事文0이다. 곧 제사. 전쟁. 사냥. 농사. 질병에 대한 길흉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북의 배 부분의 뼈나 소와 사슴의 어깨뼈에 정인(貞人)이나 제주(祭主)가 의문이나 해답 그리고 점친 후의 징험들을 새겼다. 갑골문은 상형문자에 가까우며, 예리한 공구로 새겨서 직선이 많으며 획의 끝이 뾰족한 것이 그 특징이다. 갑골문은 1899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금문(金文)
금문은 청동기 시대의 산물로 그 대부분이 종정(種鼎) 곧 종이나 솥 따위에 주각(鑄刻)하였으므로 종정문이라고 부른다. 그릇, 무기, 거울, 도장, 돈 같은 것에서도 발견된다. 동기에 문자를 기록하는 것은 상(商에서 한(漢)대에까지 이른다. 상대의 것은 그림문자도 많으며, 대개의 금문은 갑골문을 계승하고 진(秦)대의 소전(小篆)에 이어지는 대전(大篆)이다.
석고문(石鼓文)
대전 자체(字體)의 가장 구체적인 작품이며, 중국역사상 가장 오래된 각석으로 북 모양으로 다듬은 돌에 새겨져 있다하여 석고문이라 부른다. 돌의 수는 10개이고 표면에 700여자가 실려 있으나, 판독이 가능한 글자 수는 270여자, 현재 통용되고 있는 글자 수는 470여자 정도이다.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학설이 분분하나, 동주의 위열왕 4년(기원전 481)에 진나라에서 만들어졌다고 하는 설이 유력하다.
석고문은 4언구로 현재 내용이 완벽하게 이해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전국시대의 진나라 군주가 사냥을 하는 것과 영토의 개척으로 도읍을 세운 것, 제사에 관한 일들이 기술되어 있다. 석고문은 금문과 소전의 중간에 속하고 금문보다 잘 정리되어 있다. 그리고 소전보다 방편(方遍)하고 복잡한 것이 있고 자체는 대체로 정방형을 이루고 있다.
태산각석(泰山刻石)
태산각석은 진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한 후, 동방의 군현을 순회하면서 세운 송덕비의 하나로 낭야대각석과 더불어 소전의 표준 이라 불릴 만큼 유명하다. 이 각석을 탁본해 본 결과 2백 23자의 전문을 얻을 수 있었는데, 명시대의 탁본에는 29자만 남아 있었고, 청조 때는 화재로 파손되어 그 패석에 겨우 10여자가 보일 뿐이었다.
낭야대각석(瑯耶臺刻石)
진시황제는 태산각석을 세운 해에 산동의 낭야에 올라가 제대를 쌓고 돌에 각하여 진의 덕을 기리었다. 이 각석의 글자는 뭉개지고 떨어져나가 겨우 탁본으로 10행정도 전해지고 있다. 이 비석의 패석은 북경 박물관에 일부 소장되어 있다. 이사의 서(書)로 전해지며, 태산각석이 정제된데 비해 용필이 좀 부드럽고 좌우 상칭의 균제가 잘 잡힌 힘찬 표현의 장중감을 준다.
---------------
전서(篆書)
갑골문(甲骨文),종정문(鐘鼎文:金文) = 고문(古文)
대전(大篆), 소전(小篆)을 포함한 서체를 말한다
전서라고 불리는 문자가 이 세상에 통용된 기간은 매우 길다. 따라서 전서는 그것이 사용된 지역도 넓을 뿐 아니라, 그 종류도 많아 한마디로 어떠한 것이 전서라고 꼬집어 말하기는 쉽지도 않다.
또한 전서란 예서(隸書) 이전의 모든 문자를 통칭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자의 원시적 형태로부터 위시하여 대전(大篆)과 소전(小篆)으로 불리는 것들이 포함된다.
1. 갑골문(甲骨文)
갑골문이란 귀갑수골문자(龜甲獸骨文字)의 약칭으로 은허문자 (殷墟文字), 복사(卜辭) 또는 정복문자(貞卜文字)라고도 불린다. 고대 중국어에서 貞은 "곧을 정"이 아니라 점을 "물을 정"이다. 기간은 거의 전부가 商代말기(1300 - 1100 B.C)로 왕의 점복기록이다.
정확히 말하면 商代후기에 판껑(盤庚)왕이 은(殷)으로 도읍을 옮긴 이래로 상(商)왕조의 마지막 왕 띠신(帝辛), 즉 저우왕(紂王)까지 12왕 273년간 商왕실에서 행하여진 점복기록의 문자이다.
그리고, 西周시대의 甲骨文이 새로이 발견되었는데, 주로 북경 昌平 白浮의 燕國 묘지와 협서성 기산등에서 1만 7천여 편의 갑골을 발굴했으며, 특히 扶風懸 齊家村에서 문자가 있는 甲骨 100여字을 찾아내어 이로써 甲骨文이 商의 은허(殷墟)뿐 아니라 西周時代에도 쓰였음을 알수 있었다. 출토장소는 殷墟 갑골은 거의가 회갱(灰坑)에서 출토되었지만 西周 갑골문은 대다수가 종묘 궁전기지에서 발견되었다. 甲骨卜辭의 주요 내용은 제사, 기상, 수렵, 질병, 몽환, 정벌등이다.
갑골문을 새기는데 사용된 재료로는 귀갑(龜甲), 소어깨뼈(牛肩)가 주류를 이루며, 그 밖에도 소의 다리뼈,늑골, 두개골, 사슴두개골, 사슴뿔(鹿角), 코뿔소(犀牛骨), 호랑이뼈(虎骨), 심지어는 사람두개골까지도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갑골조각총수는 대략 15만-16만여 조각이라고 하며 글자는 150만자 정도가 된다고 한다. 그 중에서 겹친 글자를 빼면 대략 5천여 자 정도의 글자로 2~30%정도만 해석되고 나머지 7.80%가 과제로 남아있는 셈이다. 해독된 글자는 1000여자 정도이며 나머지는 아직 정확히 해석되지 않고 추측에 불과한 설들만 무성하다. 형태는 매우 상형적(象形的)이며 필획이 가늘기는 하지만 그 법도는 방원(方圓)이같이 어울리고 비수(肥瘦)가 조화를 이루는 의취(意趣)를 보인다. 필획은 방필(方筆)이 다수를 차지하고, 그 원형(圓形)인 것은 구불구불 은근히 구르면서 자연스러워 도무지 칼로 새긴 것 같지가 않으며, 서예의 시각으로 분석하면 크게 웅장하고 힘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갑골문이 먼저 글씨를 쓰고 난 뒤에 새긴 것이냐? 아니면 직접 칼로 새긴 것이냐에 대해, 과거에는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먼저 글씨를 쓴 다음 칼로 새긴 것으로 여기고 있다.
갑골문의 발견으로 알 수 있는 중요한 것으로 당시에 이미 붓 모필(毛筆)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1929년에 발견된 3편의 수골(獸骨)에는 아직 다 새기지 못한 서사문자(書寫文字)가 적혀 있다. 여기에는 모필과 묵즙(墨汁)으로 서사하였는데, 이것이 곧 필묵(筆墨)으로 서사한 후에 새겼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2. 금문(金文)
금문은 종정문(鐘鼎文)이라고도 부르는데 은주시대(殷周時代)의 청동기위에 주조(鑄造)되어 있거나 새겨진 글자를 가리킨다. 동기 중에는 종(鐘)과 정(鼎)이 비교적 중요하여 이 때문에 鐘鼎文이라 부르는데, 鐘은 일종의 악기(樂器)로 받침대 위에 걸어 놓고 나무망치를 쳐서 소리를 냈으며 鼎은 제기(祭器)로 세 발과 두 귀가 있고 향로와 비슷하다.
종정의 명문(銘文)은 사전(祀典), 사명(賜命), 정벌(征伐), 약계(約契)에 관한내용이 많은데 은대(殷代)의 금문은 대부분 자수(字數)가 많지 않고 주대(周代)에 이르러 명문이 많아지며, 가장 긴 것은 선왕(宣王)시대의 모공정(毛公鼎)으로 499자에 이른다. 명문은 요(凹)로 된 것이 관(款)이고, 철(凸)로 된 것이 지(識)이다. 종정의 주조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르고 쓰여진 字體도 서로 다르다. 이런 것들 중에는 갑골상형문자(甲骨象形文字)도 있고, 고문(古文)과 육국이문(六國異文)도 있다. 명문의 대다수는 본(本)을 보고 새겨서 주조(鑄造)한 것인데, 이 때문에 글자의 필획은 갑골에 비해 조장(粗壯)하고, 자체(字體)도 비교적 응중(凝重)되어 있으며, 곡선과 직선은 변화가 많아 비교적 자유롭고 개방적이다. 결구(結構)는 조화(調和)와 호응(呼應)이 중시되었고 크기도 점차로 균형 잡혀 있으며, 여유롭고 아름다운 느낌을 주고 있어 당시의 심오한 기교를 엿볼 수 있다.
금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모공정(毛公鼎), 송정(頌鼎), 대우정(大盂鼎), 산씨반(散氏盤)등이 있다.
3. 대전(大篆)
大篆이라 함은, 秦始皇이 중국을 통일하기 이전에 7국(진, 초, 연, 제, 한, 위, 조)에서 각자 사용했던 조금씩 다른 글자 전체를 말한다. 현재 남아있는 것으로는 石鼓文이 유일하며 현존하는 最古의 石刻文字이다. 석고문에 대해 설명하자면 옛날에는 둥근 것을 갈(碣)이라 하고, 네모난 것을 비(碑)라 하였는데, 석고는 원형이었고 새겨놓은 내용이 대부분 전국시대 진(秦)나라의 임금이 사냥하는 일이었으므로 엽갈(獵碣)이라고도 한다. 석고문은 10개의 북(鼓)모양의 돌에다 주문을 새겼다. 석고의 높이가 90cm, 직경이 60cm정도이며, 머리 부분이 밑 부분보다 가늘고, 원문이 약 700자 정도 실려 있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글자는 겨우 300여자이며, 그나마도 적지 않은 글자들이 깨지고 훼손되어 판독하는 자는 270자 내외에 지나지 않는다. 현존하는 송탁본(宋拓本)에는 465자가 실려있다. 석고문의 연대에 관해서는 주선왕(周宣王)때의 것이라는 설(說)이 많았으나, 사실 진양공(秦襄公) 8년 때의 것이라는 설이 이미 정론으로 되어 있다. 서체는 소전(小篆)으로 변하기 이전의 문자로 대전의 체계에 속하며 대전의 유일한 법칙이기도하다. 그 결체(結體)는 서로 대립되는 법칙이 있고 필획은 굳세고 엄정하며 결구는 빽빽하고 기이하며 웅장하다.
당(唐)의 장회관(張懷瓘)은 서단(書斷)에서 "體象卓然 殊今異古 落落珠玉 飄飄纓珞 倉頡之嗣 小篆之祖 以名稱書 遺迹石鼓"
"글자의 형상이 고금과 달리 매우 뛰어나니 옥구슬이 주렁주렁 달린 듯, 영락이 하늘하늘 날리는 듯하다. 창힐의 뒤를 이었고 소전의 조종이 되었다. 북 모양의 돌에 글자를 새겼으므로 석고(石鼓)라는 명칭으로써 그 글자를 일컫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석고문은 甲骨, 金文을 계승하고 이사(李斯) 소전의 조종(祖宗)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당대(唐代) 구양순(歐陽詢), 우세남(虞世南), 저수량(楮遂良)은 물론, 송대(宋代) 이후의 역대 서법가들이 모두 이를 추숭(推崇)하지 않는 이가 없었고 아울러 전서의 모범으로 삼았다.
권상호
정리하는 일은
정확한 자기를 만들어가는
첩경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