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먹물이 튀듯 생생한 옛 선비들의 자연사랑 [중앙일보] 예술의전당 ‘조선서화 보묵전’‘유치웅 선생 유묵전’

감동적인 시구가 잠시 눈을 멈추게 하네요.
여기 봄을 봄답게 하는 전시회가 있습니다.
중앙일보 기사의 일부를 옮겨 봅니다.


“무리를 떠났으니 누구와 같이 시를 읊을까(離群誰與共吟壇)

바위의 새와 개울의 물고기 내 얼굴을 익혔구나(巖鳥溪魚慣我顔)”


이언적(1491∼1553)은 1535년 경주 양동 자옥산에 은거하며 이렇게 노래했다. 제자 이황(1501∼1570)은 단정한 행서로 이 시를 옮겼다. ‘유거(幽居·그윽한 거처)’다.

“산수의 정회는 늙을수록 더욱 새로우니(山水情懷老更新)

어찌 오래도록 돌아가지 않으리(如何長作未歸人)”


양사언(1517∼1584)은 흐드러진 초서로 이렇게 적었다. ‘학성기우인((鶴城寄友人·학성에에게 보냄)’은 미친 듯 써내려간 광초(狂草)의 진수다. 그는 조선 전기의 문인으로 초서와 큰 글자를 잘 써서 안평대군·김구·한호와 더불어 조선 전기 4대 서예가로 꼽혔다.

일반에 첫 공개되는 이 두 작품엔 조선 선비들의 자연사랑이 오롯이 드러나 있다.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이 기획한 ‘아라재 컬렉션-조선서화보묵전’에서다. 조선시대를 총망라하는 다양한 글씨와 그림 90여점을 내놓은 이번 전시를 관통하는 주제는 ‘자연’이다. 자연과 하나됨을 품위있게 적은 서예들 틈에는 김명국(1600∼1663 이후)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기려도(騎驢圖)’가 걸려 있다. ‘천석고황’,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이 됐다고 짐짓 엄살 부리던 이들이 바로 조선 선비들이다. 그래서 나귀를 탄 선비는 자연 속으로 유유자적 들어가는데, 뒤따르는 몸종은 악기와 술통을 짊어지고 낑낑거린다. 술을 즐겨 호도 ‘취옹(醉翁)’, 즉 술취한 늙은이로 썼던 김명국이 남긴 한 자락 유머다.

이번 출품작들은 사업가 김명성 씨의 소장품이다. ‘아라재(亞羅齋)’는 서울 안국동에 있는 그의 장서각 당호로 그가 모은 고서화는 ‘아라재 컬렉션’으로 불린다. 전시는 25일까지다. 02-580-1281.
중앙일보
권근영 기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