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제2강> 문방사우의 옛말 영어 중국어 일본어 번역

 

* 文房四友


1. ‘붓’

옛말 : ‘’. ¶붇 :筆(訓蒙上34).


영어 : a writing brush(毛筆)

          a paint brush (畵筆)

          a pen.

중국어 : 毛笔[máo bǐ]   예) 毛笔字 (붓글씨를 쓰다)

            笔[bǐ]          예) 一支 (붓 한 자루)

일본어 : 筆(ふで) - 訓讀

            毛筆(もうひつ) - 音讀


2. 먹

an ink stick; an ink-cake. 먹물 : Indian [Chinese] ink

[mò]

すみ


3. 벼루

an inkstone; an ink slab.

硯臺(yàn tái)

硯(すずり)

 

4. 畵宣紙

Chinese drawing paper

画宣纸[huà xuān zhǐ] - 일반적으로 宣纸[xuān zhǐ]라고 한다.

紙(かみ)

 

문방사우


문방(文房)이란 문한(文翰;글짓는 일)을 다루는 곳 즉,문사(文士)들의 방이란 뜻이다. 문방에 없어서는 안 될 종이(紙),붓(筆) ,먹(墨),벼루(硯)를 문방의 사우(四友)라 하며 혹은 문방사후(文房四候),사보(四寶)라고도 한다. 문방사후란 것은 사우를 의인 화시켜 각각 벼슬이름을 붙혀 준 것이다.



1.붓(筆)

①붓의시작


문자가 생기면서부터 모필(毛筆)이 쓰여지기 전에는 뾰족한 것으로 뼈조각이나 금속과 돌에 새겼다. 문헌에 의하면 붓을 처 음 만든 사람은 몽염이라는 진(秦)나라 사람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중국 은대(殷代)에 이미 모필(毛筆)로 쓴 도기의 조각이 발 견되는 것으로 봐서 몽염이전시대에도 붓의 형태를 지닌 것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②붓의재료


붓은 주로 동물의 털이나, 드물게는 수염을 이용한다. 주로 쓰이는 것은 양 털,토끼털,족제비털 등이 있다. 같은 동물의 털 이라도 채취시기와 신체부위에 따라 성질이 다르다. 붓대는 대부분 죽관(竹管)을 사용하지만 옛날에는 금관(金管),은관(銀管), 상관(象管)도 있었다고 한다.


③붓의 분류


붓의 호(毫)의 굵기에 따라 극대필(極大筆)부터 쥐의 수염4~5개로 만든 미세필(微細筆)까지 종류가 많다. 호의 길이에 따라 서는 장봉(長鋒),중봉(中鋒),단봉(短鋒)으로 나누어진다. 호의 강한 정도에 따라서는 강호(剛毫),겸호(兼毫),유호(柔毫)로 나눌 수 있는데, 겸호는 강한 털과 부드러운 털의 두가지 이상의 털을 섞어 만든 것이다.


④좋은 붓


좋은 붓은 네 가지 덕(德)을 갖춘 것이라야 한다. 즉 첨(尖),제(齊),원(圓),건(健)을 말하는데 `첨'이란 붓끝이 날카롭고 흩 어지지 않은 것을 말하며, `제'란 굽은 털이 없이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원'이란 보기에 원만한 모양을 지니고 회전이 잘 되는 것을 말하며, `건'이란 충실한 선이 꾸준히 그어지며 붓의 수명도 긴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붓대는 너무 크지 않은 것이 좋으며 각자가 잡기에 편하면 좋다고 볼 수 있다.



⑤붓의 선택과 손질(보관)


붓을 고를 때는 털을 넓혀 봐서 붓끝이 가지런하고 털끝이 투명한 부분이 많은 것이 질이 좋은 것이다. 물론 앞에서 말한 사 덕(四德)도 갖춘것이 좋겠다. 붓을 처음 사용할 때는 물에 장시간 담가서 풀기를 충분히 제거한 후 쓰도록 한다. 굳은 붓을 먹 으로 눌러 부드럽게 하는 것은 붓을 상하게 한다. 붓을 쓰고난 후 호가 뒤틀리지 않게 잘 빨아 남은 먹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통 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2.종이(紙)

①종이의 기원


일반적으로 종이의 기원은 B.C.4000년 경 이집트의 나일강변에서 자라는 파피루스(Papyrus)라는 식물을 이용해 만들어 쓴 것 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우리가 보통 쓰는 종이는 A.D.105년 중국 후한(後漢)의 채륜(蔡倫)이 삼(大麻)등을 원료로 처음 만든 것 이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그 후 전한(前漢)의 한 무덤에서 종이가 출토됨으로써 이것은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따라서 채륜은 종이를 개량했던 사람인 것같다. 중국에서는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간(簡:간은 대나무를 독은 나무조각을 잘 다듬어서, 표면 에 나무즙으로 필요한 것을 기록하여 그 조각들을 가죽이나 끈으로 연결한 것)과 독(牘)이 많이 사용되었고 붓이 발명되면서부터 는 비단도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


②종이의 종류


서화용으로 쓰이는 종이는 크게 나누어 선지계(宣紙系)와 당지계(唐紙系)로 나누어진다. 선지는 지질이 무른편이며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옥판전 (玉版箋),라문전(羅文箋),백지(白紙)등이 선지에 속한다. 당지는 원래 중국제 종이 전반을 가르 키는 것이었으나 현재는 죽을 원료로 하는 종이를 지칭하고 있다. 그 종류에는 일번당지(一番唐紙),이번당지(二番唐紙),백당지( 白唐紙) 등이 있으며 이 외의 가공지로서 납전(蠟箋),채전(彩箋),문양전(文樣箋),주금전(酒金箋),문당전(文唐箋) 등이 있다. 또 한 청조(淸朝)시대의 종이로서 지금까지 감상의 대상으로 애장되는 고지(古紙)가 있는데 징심당지(澄心唐紙),방금율산장경지(倣金栗山藏經紙)같은 것이 있다.


③종이의 선택과 보관


서화용 종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좋다. 거칠지 않고 매끄러우며 앞뒤의 구분이 정확히 되는 것,흡수,윤갈(潤渴)이 적당히 되어서 필법이 잘 나타나는 것,번지지 않고 발색(發色)이 좋고 먹빛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 것,너무 얇지 않고 찢어지지 않는 보존성을 지닌 것 등이다. 종이 보관할 때는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어서 벌레나 곰팡이로 인해 종이가 파손되지 않게 해야 한다.




3.벼루(硯)

①벼루의 기원과 재료


벼루가 언제 만들어졌는지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 은허(殷墟)에서 발굴된 묵서(墨書)의 흔적으로 미루어 그때 이미 벼루가 있 었던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진시황제(秦始皇帝)때<B.C.217>인 것으로 추정되는 원판석연(圓板石硯)이 발견되면서 그것이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벼루로 알려져있다. 벼루는 대개 돌로 만들어지지만 와연(瓦硯),도연(陶硯)도 있고 수정,비취,금,은등 으로 만든 것도 있다. 먹을 가는 부분을 연당(硯堂),갈려진 먹물을 모으는 곳을 연지(硯池)라고 한다.


②좋은 벼루


좋은 벼루란 한마디로 `마묵(磨墨)과 발묵(發墨)이 잘되고 붓털을 상하게 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봉망(鋒芒;벼루의 표면에 있는 미세하고 날카로운 줄눈과 같은 것)이 가지런히 꽉 차 있어야 하며 단단함과 강도(强度)도 동시에 지녀야 한다. 벼루의 표면은 매끄럽고 경도가 높은 것이 좋으며 적당히 무거워서 먹을 갈 때 흔들리지 않는 것이 좋다. 또 먹 을 가는 촉감이 마치 뜨거운 다리미에 양초를 문지르는 것같이 소리는 들리지 않고 달라 붙어 미끄러지는 상태와 같은 벼루가 좋 은 벼루라 하겠다.


③벼루의 취급과 보관


오랫동안 벼루에 묵은 먹물은 먹빛을 감소시키고 벼루를 손상케할 뿐 아니라 붓을 상하게 하므로 벼루 사용후엔 반드시 깨끗 이 닦아 놓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그리고 벼루에 말라붙은 먹은 벼루를 상하게 하며 다음 쓸 때 먹빛을 상하게 한다. 특히 여 름철에는 곰팡이가 날 경우도 있고 붓까지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끓인물로 벼루를 씻지 말고 헝겊이나 종이로 표면을 닦아내는 것도 올바른 취급이 아니다. 또 벼루를 포개서 보관하지 않도록 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4.먹(墨)


①먹의 기원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형태와 비슷한 먹은 한대(漢代)에 들어와서 소나무의 그을음으로 처음 만들어졌다.


②먹의 종류


먹은 첫번째로 노송(老松)을 태워 나온 그을음에 아교와 기타 약품을 섞어 만든 송연묵(松烟墨)이다. 먹은 그을음의 고운 정 도와 아교의 질 등에 따라 좋고 나쁨이 결정되며, 송연묵은 오랜 세월이 지나면 청홍색을 띠는 것이 특색이다. 다음으로 유연묵 (油烟墨)이 있는데 이는 식물의 씨를 태워서 만든 것으로 가격이 상당히 비싸 궁궐에서 혹은 고관대작만이 썼다고 한다. 또 양연 묵(洋烟墨)인데 카본블랙이나 경유,등유등을 써서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쓰는 대개의 먹은 바로 이 먹이다. 이 밖에 석각을 하거나 전각을 할때 쓰이는 주묵(朱墨)이 있다.


③좋은 먹


먹은 부피에 비해 가벼운 것이 좋으며 주묵(朱墨)은 무거운 것이 좋다. 먹의 표면은 매끄럽고 결이 고우며 윤기가 나는 것이 좋다. 오래된 먹은 수분기가 빠져 단단하므로 새로 만든 먹이 좋다. 그리고 ,광택(光澤)은 먹빛에 따른 필수조건으로서 화려 한 윤기가 아니라 침착하고 그윽한 광택이 나는 것이 좋다.


④먹의 사용법


좋은 먹이라도 가는 방법이나 사용법이 좋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갈 때는 너무 힘을 주어 갈면 안되는데, 이는 먹의 입자 가 거칠어져 쓰기에도 힘들고 먹빛도 않좋기 때문이다. 가는 것에 대해서는 `마묵여병아 파필여대장부(磨墨如病兒 把筆如大壯夫 )'라는 말이 있듯이 천천히 가볍게 둥글게 가는 것을 본령으로 삼는다. 그리고 전날보다 남은 먹물에 물을 넣어 갈아 쓰는 경우 , 아교질과 탄소(炭素)가 분리되어 먹물이 광택을 잃게 되고 번지게 되므로 쓰다남은 먹물에 물을 넣어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1. 붓
 毛筆에 사용한 동물의 毛質은 토끼, 너구리(raccon), 양, 말, 고양이, 쥐, 담비(marten), 늑대, 다람쥐, 여우, 소, 물소, 곰, 돼지, 흰돼지, 닭, 학, 백조(swan,현재 백조털로 된 붓은 일명 학모필이라고도 한다), 人胎髮(사람의 머리털인데 태어나서 한번도 자르지 않은 원래의 털끝이 보존된 머리털) 등을 붓 원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밖의 털도 많이 사용하였다. (흰 돼지털은 유화 붓으로 많이 쓰고 담비털은 수채화 붓으로 많이 쓴다). 또한 레드 세이블(red sable)은 소련의 시베리아에서 나는 붉은 밍크의 털인데 이것이 가장 좋은 수채화 붓으로 이름났으며 일명 콜린스키(kolinsky)붓이라고도 한다. 백양모붓을 감정할 때에는 붓의 봉(붓끝)이 좋아야 하며 붓 끝부분이 일직선이 되어야 하고 끝이 순백색이 아닌 약간 회색빛이 나며 붓털 하나하나가 가늘수록 좋다. 곧 같은 크기의 붓이라면 털이 400개로 된 것보다 600개로 된 것이 더 좋은 붓이라고 할 수 있다.
 붓털은 동물의 단백질로 된 것이므로 병충해의 피해가 많다. 고급붓이라고 아끼다가 해를 입는 예가 허다하다. 붓은 통풍이 좋고, 습기가 적은 곳에 두어야 병충해나 곰팡이의 해를 받지 않고 잘 보존할 수 있다. 장뇌(나프탈렌) 등을 넣어두거나 방충제를 뿌려두는 것도 괜찮다. 한번 사용한 붓은 반드시 물로 씻어서 두는 것이 좋다. 또 보관할 때에는 붓털을 반듯하게 잘 다듬어서 두어야 한다.

2. 먹
 墨의 우리말이 먹이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천연 鑛物性 石墨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요즘의 黑鉛(black lead)이다. 현재 연필심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흑색 또는 회색이며 손으로 만져보면 미끈미끈하고 石炭(coal)이나 금광석과 같은 순수한 炭素(carbon)이다. 이 石墨을 물에 녹이든지 옻칠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 먹의 시초라고도 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옻칠을 불에 태워서 그을음(soot)을 만들고, 또 소나무를 태워서도 그을음을 만들어 이 두 가지 연기의 검댕을 혼합하여 굳혀서 먹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제조방법은 오늘날 탄소분말에 阿膠液을 섞어서 단단한 먹으로 제조하는 방법과 흡사하다.
610년 담징이 일본에 파견될 때 종이와 먹을 전하면서 그 제조법도 가르쳐주었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전하고 있어 우리의 먹 역사를 짐작케 한다. 먹은 원료에 따라 松烟墨, 油煙墨, 색상에 따라 담묵, 자묵, 고묵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좋은 먹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이 잘 섞여 있다. 연대가 70년, 100년 정도 되는 묵은 광택이 없고 아주 깊은 색감이 나는데 이를 고묵이라 한다. 먹의 수명은 200년 이상 지속된다고 한다. 먹을 갈 때는 40도 정도의 각도로 눕혀 벼루 위에서 힘을 주지 않고 서서히 갈아야 한다. 물은 화학약품이 첨가되지 않은 증류수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벼루
 벼루 중에는 중국의 단계연, 용미연, 등니연 등이 대단한 명품으로 알려져 있다. 벼루는 강도가 중요한데 먹보다는 강해야 한다. 먹이 갈리지 않고 벼루가 갈아지면 먹물이 탁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수분을 적당히 흡수하는 것이 좋은데 벼루에 물방울을 떨어뜨려서 그 물방울이 몇 분 동안이면 마르는지를 보고 벼루의 질을 알 수도 있다. 벼루는 石製여서 水分이 있는 것이 좋으므로 보관할 물을 부어두는 것이 좋다. 도자기로 된 벼루나 한번 구운(열처리한) 기와벼루를 사용하기도 한다

4. 종이
 동양화에 쓰이는 종이 바탕은 마지(삼베), 저지(닥종이), 죽지(대나무) 나아가 견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먹을 잘 흡수하는 종이도 있고 먹을 흡수하지 않는 종이도 있다, 동양화에 사용되는 종이를 보통 畵仙지라 하는데, 옛날 중국 선주지방의 종이가 질이 좋고 유명하여 이렇게 이름하게 된 것이다. 그리는 주제에 따라 종이의 선택도 달라야 하는데, 화조화에는 먹을 적게 흡수하는 종이가 좋고, 산수화용은 먹을 잘 흡수하는 종이가 좋다. 닥종이는 지질이 질겨 글을 쓰는 서화에 알맞으며, 마지는 두터워 채색화에 좋다. 서양의 와트만지는 바로 이 마지에 해당한다. 죽지는 담황색으로 얇고 빳빳한 지질이어서 채색에 좋다. 면지라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목면으로 만든 종이가 아니라 선지 중에서 마치 목면처럼 부드러운 종이를 일컫는 말이다.
 수묵화는 화선지에 먹이나 염료성 안료 등의 입자가 고운 물감을 써서 스며들고 번지는 선염법을 이용하여 그린다. 그러나 채색화를 그릴 때는 물감이 스며들거나 번질 수 없도록 화선지에 호분과 아교물, 명반을 혼합한 바탕막을 씌우는 처리를 한위에 그린다. 이처럼 채색화를 그릴 때 바탕에 잘 흡수되지 않도록 처리를 하는 이유는 크기와 성분이 다양한 안료의 알갱이들을 화면에 잘 고착시켜 발색저하를 막고 색상을 정확히 하며 안료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착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약 처리되지 않은 흡수력이 큰 화선지에 그대로 물감을 칠하면 안료의 작은 입자와 성분, 아교 등의 고착제까지 함께 흡수되어 버리고 안료의 굵은 입자와 성분만이 표면에 남아 표면 난반사로 인해 발색이 저하되고 선택적 흡수로 인한 색상 저하, 고착제 부족으로 인한 채색층의 박리가 일어나기 쉽다. 이것은 유화를 그릴 때의 가공 처리된 캔버스 표면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도 같은 원리이다.
 중국 옛 문헌에 선지 중 최상품은 닥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림용으로 뛰어나다는 옥판전지도 닥종이 계이다. 중국의 기록에 의하면 종이는 중국 후한시대(104년)에 채륜이라는 사람이 발명하였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610년에 이 제지법이 우리나라를 거쳐서 당시 고구려의 담징이 일본에 먹과 더불어 그 기법을 전해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권상호
聿(붓 율; 聿-총6획; yu&#768;) 秦 이래로 筆로 쓴다. 드디어, 마침내, 스스로
律(법 율{률}; 彳-총9획; l&uuml;&#768;)
栗(밤나무 율{률}; 木-총10획; l&igrave;)
慄(두려워할 율{률}; 心-총13획; l&igrave;)
率(비율 율{거느릴 솔,장수 수}; 玄-총11획; shua&#768;i,l&uuml;&#768;) 지키다. 따르다. 본받다.
筆(붓 필; 竹-총12획; b&#464;)

肅(엄숙할 숙; 聿-총12획; su&#768;) 정중하다. 嚴肅.
蕭(맑은 대쑥 소; 艸-총16획; xia&#772;o) 삼가다.
簫(퉁소 소; 竹-총18획; xia&#772;o)
嘯(휘파람 불 소; 口-총15획; xia&#780;o) 읆조리다.

화선지(畵宣紙)
Chinese drawing paper


『털붓』 a writing brush (모필); a (paint) brush (화필); 『펜』 a pen.
┈┈• 붓 놀림새 one’s way of handling a brush; 『필치』 touches; brushwork (화가의)
┈┈• 붓을 놓다 lay [put] down one’s pen; cease to write
┈┈• 붓을 들다 hold a pen; put pen to paper; write
┈┈• 붓으로 생활하다 live by one’s pen; write for one’s living; make a living by writ-ing
┈┈• 붓 가는 대로 쓰다 let one’s pen wander; put down (on paper) what-ever comes into one’s head
┈┈• 명필은 붓을 탓하지 않는다 A bad workman quarrels with his tools.


『먹물』 India(n) [Chinese] ink; 『고체의』 an ink stick; an ink-cake.
┈┈• 먹 한 자루 a cake [stick] of Chinese ink
┈┈• 먹을 듬뿍 묻힌 붓 an ink-filled [ink-laden] brush
┈┈• 먹을 갈다 grind an ink-cake
┈┈• 먹을 묻히다 『붓에』 dip in ink; 『얼굴 등에』 smear [stain] with ink.

벼루
① 『먹을 가는』 an inkstone; an ink slab.
┈┈• ∼에 먹을 갈다 rub an ink stick on the inkstone.
┈┈• 벼룻돌 (stone used as) an ink-stone.
┈┈• 벼룻물 ink(stone) water; water for an inkstone; ink.
┈┈• 벼룻집 『연상(硯箱)』 a stationery cabinet; a writing case; 『연갑』 an inkstone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