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from calligraphy to dance, 서예에서 춤을

크로스 장르의 현장! 대만의 댄스그룹이 초서를 모티프로 한 춤을 선보이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서예와 무용이 자아 낸 먹의 카타르시스

Antenna_서예와 무용의 만남 「클라우드 게이트 댄스 씨어터」

먹의 카타르시스
「Cursive 行草」를 보고

2000년 발레 인터내셔널 잡지에 머스 커닝햄, 지리 킬리안, 피나 바우쉬, 윌리암 포사이드 등 세계적인 안무가들과 함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대만의 안무가 린 화이민.
‘동양의 신화, 민속, 미학을 현대적이고도 보편적인 레퍼토리로 완벽하게 승화시킨 춤’이라는 찬사가 아니어도 “서예가들이 글씨를 쓸 때 氣를 모으는 것은 춤추는 원리와 같아요. 우리 무용단의 댄서들은 현대무용, 발레, 동양무술, 명상 훈련을 철저하게 받고 서예공부도 합니다. 단순히 서체를 흉내내는 게 아니라 붓의 획에 담긴 정신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일간지 인터뷰 기사에 실린 안무가 린 화이민의 말은 서예를 하는 사람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경칩이 지난 삼월의 밤은 조금 쌀쌀했지만 봄기운이 완연했다. 조금 일찍 자리에 앉아 주위를 둘러보니 월정 선생을 비롯한 몇몇 서예가와 서예평론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평소에 판소리, 연극, 영화 등 모든 예술을 섭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온 필자에게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조명이 꺼지고 무대는 비어 있었다.

어둠과 고요
적멸궁
망망
모래바람
우박소리
댓잎의 속삭임
여백을 의미했다

동양화의 여백은 그림과 그림 사이를 비워 놓고 상상력을 불러일으키지만, 린 화이민은 동작과 동작 사이, 무대 위에서 전개되는 빛의 변화와 배경들, 그리고 무용수들의 움직임 사이에서 여백을 두고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첼로와 여러 개의 타악기들의 선율이 무대에 흐르고, 재단사가 잘라 놓은 듯한 조명이 켜졌다. 조명은 무대 배경에만 국한되지 않고 무대 바닥에, 때론 무용수의 몸을 이용해 투영된다. 그래서 복잡한 세트 하나 없는 무대가 풍성하게 느껴졌다.
린 화이민은 무용수들에게 서예의 확대된 이미지를 보고 즉흥적으로 춤추기를 요구했다고 한다. 무용수들은 서예가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먹의 흐름을 따라가며 쓰여진 글자를 그 자신의 움직임으로 해석한다. 팔을 이용한 무용수의 움직임, 힘이 넘치는 무용수들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필자는 조형적인 관점에서 공연을 관람했다. 무대는 화선지와 먹을 나타내는 듯 흑백의 대비를 극대화하여 무용수들의 움직임을 더욱 힘있고 현대적인 영상으로 상승시켰다. 공연은 10개의 영상이 바뀌면서 부드러운 흐름의 동작을 보여주는 1부와 공중제비, 점프, 가라데와 쿵푸 동작 같은 자유로운 움직임이 두드러진 2부로 나뉘어 70분간 공연되었다. 무용수들이 한지 위에 먹으로 글씨 쓰는 듯한 동작이 간혹 나오긴 했지만, 그것은 서예가가 아니면 놓치기 쉬운 잠깐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복복(福)자와 길영(永)자는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구상적인 서예이고 춤이었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서예를 하는 필자도 알아볼 수 없는 추상의 서예로 보여졌다. 어쩌면 무용보다 서예 쪽에 더 큰 비중을 두고 공연을 보는 탓이리라.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창문으로 서예 작품을 투사하는 대신 파노라마식 배경막에서 커다란 판이 내려오고 그 판 주위에서 유영하는 여자 무용수의 독무였다. 우리 나라의 승무와 흡사한 검정 드레스의 긴소매를 휘두르는 춤은 마치 큰 붓을 휘두르는 것 같았고, 천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하는 것은 획이 굵어졌다 가늘어졌다 하는 것 같기도 하고, 농묵으로도 보였고 단묵으로도 보였다. 서두르지도 않고 조급하지도 않는 대륙적인 면을 볼 수 있었다. 작은 황금 문자들의 타피스트리가 투사되고 무대 중앙에는 밝은 적색의 원이 놓이는 장면이 있는데 공연 중 가장 독특했다. 그 분위기가 마치 서예의 적멸궁에 들어온 듯한 착각을 하게 했지만 반나체의 남자 무용수가 춤을 추는 장면은 지루한 감이 없지않았다. 화면을 부분적으로 클로즈업 시켰을 때 붉은 색의 조명이 살짝살짝 보였는데, 그건 서예에서도 절제된 칼라를 쓰고 있다는 의미인 듯 했다
배경과 무용수들의 옷 색깔이 모두 흑백으로 대비 된 무대에서 제비가 비상하는 것 같고, 고양이가 기지개를 켜는 듯 하고, 푸마가 질주하는 듯한 동작과 중국의 아침 공원에서 볼 수 있는 기공의 춤동작 같은 단조로운 움직임들을 조명은 역동적인 제 3의 공간으로 연출한다. 클라우드 게이트 즉, ‘운문 (雲門)’은 중국 고대 문헌에 기록된 최초의 무용단 이름을 그대로 빌려 왔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서예가로 아쉬웠던 점은 배경화면이 당송 때의 전통서예로 일관했다는 점이다. 현대적인 춤사위와 어울리지 않았다. 서예가 다른 장르의 예술과 함께 할 수 있다면 서예도, 다른 예술도 함께 발전할 수 있었을 텐데. 배경화면이 현대 서예적인 작품이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공연 내내 떠나지 않았다. 그런 저런 불만이 있긴 했지만 사람 인(人)자를 배경으로 춤추는 장면에서(연출된 것인지 아니지 모르겠지만 ) 필자 눈에는 날아가는 물체가 보였다. 그것은 장자의 나비로 보였다. 내가 서예인가? 서예가 무용수인가?

얼마 전에 장예모 감독의 영화 「영웅」을 보았다. 진시왕을 암살하려는 네 명의 사람 중에 파검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파검은 붓글씨를 쓰다가 무서운 파괴력을 지닌 19가지 공중검술을 개발해 냈다. 신선한 충격을 받은 것은 양조위의 섬세하면서 엄숙한 카리스마가 영상과 잘 어울려서 서예의 과정을 아름답게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결과물로만 보여지는 서예도 창작과정이 함께 보여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서예의 과정을 아름다운 무용으로 승화시킨 이번 공연도 그런 점에서는 「영웅」과 같은 느낌을 주었다. 어쨌거나 느리고 빠른 움직임의 속도, 경쾌함과 잔잔함의 서예 기법을 춤에 접목시킨 「Cursive 行草」는 서예적 절규, 살아 움직이는 서, 입체적인 서, 취필, 당나라 때 초서의 성인이라 불리는 장욱의 광초, 먹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했다. “형식의 다름에도 불구하고 붓으로 칠해진 작품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집중된 에너지이다. 서예가는 붓글씨를 쓰는 동안 춤을 추는 것이다.” 안무가 린 화이민의 말을 떠올리며 극장을 나서니, 삼월의 밤은 더욱 봄기운에 취해 있었다. 아니 필자가 취해 있었다.
글 : 황석봉 (현대서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