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서예가들 제주로 제주로 - 미디… 권상호 6일전
빈정경 초대전 콜라보 - 중앙일보, 스포츠경향… 권상호 6일전
봉암서예원, 이경무 원장 8주기 추모 권상호 6일전
춤과 글씨는 하나다 - 2025. 10월호 &… 권상호 6일전
민족대창(民族大昌)의 참뜻 <민족대창&g… 권상호 6일전
월간서예 논단 2025. 5. 권상호 6일전
달막달막 부푼 달 권상호 10.07
포털 외에 검색, 메신저, 쇼핑 등을 포함한 … 권상호 07.31
문자학으로 본 蔡道河(채도하) 1 蔡(평강 채… 권상호 05.22
한글서예 궁체 정자 쓰기 한글 서예에서 궁체 … 권상호 11.03
"붓은 떨고 먹은 울다" - 초정 선배님 영전… 권상호 03.19
傅大士[1] 空手把锄头[2] 空手把锄头… 권상호 11.24
布袋和尚颂으로 나온다. 권상호 11.24
● 문자학으로 풀어본 蔡道炅 蔡(나라 채, 거… 권상호 08.12
<경희대> 한문의 이해 3…
학생
한자만 그냥 배운 대로 다 쓰면 뭐가 뭔지 잘 모르겠거든요;;
(물론 필기는 스스로 해야겠지만;)
배우는 주제별로 띄어쓰기 혹은 그 한자들간의 연관관계를 글로
풀어서 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한마디로.. 이해할 수 있게 좀 더 자세히 써주시면 좋겠다는 건데요~
아무튼 매주 정리해주어서 고맙습니다~ 수고하세요~^^
이지연
죄송하지만 아무래도 그런 것들은 수업내용때 각자 정리하셔서 학습하신 후, 궁금하신 점은 교수님께 여쭤보면 자세히 답변해 주시지 않을까요?^^
아무튼 의견을 수렴해서 앞으로 좀 더 유익한 강의노트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