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계소식

유희삼매(遊戱三昧) - 학고재 중창전

학고재(學古齋)는 원래 송나라 주휘유의 서재 이름이라.
그림과 글씨에서 '옛것을 배운다'는 화랑의 초심에서 사용한 이름.
15년 전 서울 인사동에 문을 연 고미술전문화랑 학고재 대표 우찬규 사장님.
새 건물을 올리고 마련한 중창 기념전이 '유희삼매-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이다.

우찬규 대표님 왈
"옛것에서 오늘의 답을 발견할 때 옛것의 가치는 새롭다."
"옛날 선비의 세계에 녹아든 단아한 취미를 맛보며
오늘 인사동의 정신을 되새겨보고 싶다."

흙벽에 종이창을 내고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으며
시와 음악 속에 살아가리."
(조선시대 화원이었던 단원 김홍도가 '포의풍류도'에서 그린 선비의 모습.

조선시대 5백년이 낳은 정신과 가치체계의 결집체라 할 선비는
도덕군자이면서 또한 예술을 즐길 줄 아는 멋쟁이였다.
명필로 이름난 송하옹 조윤형(1725~99)은 그 경지를
'유희삼매(遊戱三昧)'란 한마디에 담았다.

18세기 후반 조선에서 손꼽히는 의관 출신의 서화 수장가였던
석농 김광국(1727~97)이 남긴 화첩 '석농화원(石農畵苑)'에 들어있던
외국 전래품 세 점이 출품된 것도 이번 전시의 수확이다.
미술사가인 이동주 선생이 처음 언급해 세상에 알려진 두점은
17세기 네덜란드의 판화가 피터 솅크의 동판화 '술타니에 풍경'과
일본의 채색화인 '우키요에(浮世繪)'로,
18세기 선비들이 외국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는 좋은 증거다.
동판화의 작가와 제목을 확인한 이태호 명지대 교수는
"당시 지식인 사회의 서양화에 대한 호기심, 곧 이국 취미를 확인하는 동시에
조선 후기 서학의 수용 범위를 알려주는 사례로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 북학파 실학자인
초정 박제가(1750~1805)의 화첩이 처음 공개된 것도 화제다.
호암미술관이 네폭을 소장하고 있는
석창 홍세섭(1832~84)의 여덟폭 '영모 병풍'의
나머지 네폭이 발견된 것도 흥미를 던져준다.
큰 물건이 나오면 쪼개서 팔던 화상들의 풍습을 반영하는 사례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고풍스런 멋이 돋보이는 '학고재(學古齋)' 화랑은 서울 인사동과 소격동 두 곳에 있다.

지난 88년 인사동 학고재가 먼저 문을 열었으며 소격동 학고재는 고미술과 차별시켜 젊은 작가들을 위한 화랑을 표방하며 지난 96년 개관했다.

우찬규 사장(46)은 "학고재는 '옛 것을 익히는 집'이란 뜻으로 논어의 '온고지신(溫故知新)'과 '학고창신(學古創新)'에서 따온 말"이라며 "옛 것을 알고 새로움을 추구한다는 개관 이념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우 사장은 초등학교 이후 서당식 한학교육을 받은 이색적인 학력 소유자다. 그는 어릴 적부터 사서삼경을 읽었고 부여의 곡부서당과 상고서실 서당 등을 다니다가 서울로 올라와서는 신호열ㆍ성낙훈ㆍ조교철 등 내로라하는 한학자들에게 사사했다.

한문번역과 한문교과서 편찬일을 해오던 그는 한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학고재'화랑을 열었다. 이후 일반인이 접하기 어려운고미술을 기획 전시해 좋은 평판을 쌓아갔다.
권상호
遊戱三昧(유희삼매) - 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 (고서화도록7)  23000원
선비는 어떻게 살았을까
선비는 조선시대 5백 년의 역사가 낳은 가장 자랑스럽고 뿌리깊은 가치개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오늘날로 치면 지식인에 해당될 이 선비라는 지칭에는 문인과 학자 들이 지녀야만 할 숭고한 도덕과 올바른 처신 그리고 자기 도야의 가치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선비가 어떤 자세로 살았는가’는 이번에 출품된, 영조시대의 문인 한정당(閒靜堂) 송문흠(宋文欽)의 글씨 〈행불괴영 침불괴금(行弗愧影 寢不愧衾)〉 즉 “행동할 때는 그림자에 부끄럽지 않게 하고, 잠잘 때는 이부자리에 부끄럽지 않게 한다”라는 경구에서 남김없이 엿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선비가 항시 그렇게 엄격한 기강 속에서 경직되게 살았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들에게는 항시 공자님 말씀대로 “도를 목표로 하고, 덕에 근거하며, 인에 의지하는(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한편으로 예에서 노니는 것, 즉 “유어예(遊於藝)” 할 줄 아는 여백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이번에 출품된 송하옹(松下翁) 조윤형(曺允亨)의 〈유희삼매(遊戱三昧)〉라는 네 글자 속에 담겨 있습니다. 이 글씨를 보면 송하옹이 명필인 백하(白下) 윤순(尹淳)의 사위이자 자하(紫霞) 신위(申緯)의 장인이어서인지 반은 백하를 닮았고 반은 자하의 풍이 있습니다.
따스한 정이 느껴지는 간찰
선비의 예술은 편지, 시, 그림 등 다양한 장르로 전합니다. 그 중 선비의 편지에서는 풍부한 감성과 자상한 마음씨를 살필 수 있습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남언경(南彦經)을 떠나보내며 적은 시에서 “학문이 비록 어려운 것이나 자세히 보고 전체를 살펴 우리 늙은이들을 감탄하게 하기 바란다”고 적고 있으며,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은 애제자의 미망인에게 친정의 상사(喪事)에 대해 위로하며 너무 슬퍼하여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당부하는 글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정조(正祖)가 은퇴한 전 영의정 채제공(蔡濟恭)에게 건강을 걱정하며 적은 윤기 있는 행서체의 간찰에서는 학자 군주의 면모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가 사촌형의 부음을 듣고 조카에게 보낸 통곡의 편지에서는 가문을 지키지 못하고 멀리 떨어져 있어야만 하는 아비의 통한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시 그림에서 선비의 넉넉함을 만난다
인사동 학고재 재개관展 '유희삼매…' 20일부터
겸재 정선(1676~1759)은 대가답게 생전에 많은 그림을 그렸다. 그는 '박연폭도', '인왕제색도', '청풍계도', '금강전도' 같은 대작도 많이 남겼지만, 어느 화가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많은 화첩(畵帖)을 그렸다. 현재까지 알려진 그의 화첩은 금강산, 영남의 승경, 한강변의 명승 등의 실경과 정형산수를 연작으로 그린 것으로 모두 열두첩에 이른다.

겸재의 단양 실경 세 폭과 각 폭마다 붙어있는 제화시 그리고 관아재 조영석과 후계 조유수가 따로 쓴 두개의 제발문이 동시에 출품되는 전시가 열린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선보인 도록중 가짜로 판명된 다산 정약용의 글씨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작품도 나온다. '시첩-성화(聖華)를 기리며'라는 것으로 그의 글씨는 해맑게 한점 흐트러짐이 없고 굵기도 유려하면서도 강약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온고이지신(옛것을 중히 여겨 새것을 배운다) 정신'으로 작품성이 뛰어난 동양화와 화보집 그리고 각종 문방구를 전시 판매하면서 오랫동안 인사동의 대표적인 화랑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학고재(대표 우찬규)가 1년여의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 기획전으로 마련한 '유희삼매-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전에서다.

20일부터 12월2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편지, 시, 그림 100여점을 통해 조선조 선비들의 멋을 흠뻑 느낄 수 있는 흔치 않은 것으로 쉽게 볼 수 없는 고전 명품들이 나온다. 전시되는 작품들은 학고재 소장품을 비롯해서 개인소장가 10여명의 도움으로 이뤄졌다.

2년여전부터 우찬규대표와 이태호(명지대교수, 미술사)씨와 함께 기획을 준비했던 유홍준(명지대교수, 미술사)씨는 "개인 콜렉터들이 히든카드로 갖고 있는 작품을 학고재 전시라는 것에 뜻을 두고 빌려준 것에 매우 감사한다"면서 "이 전시가 옛날 얘기로 끝나지 않고 근대와 현대에도 계승되기를 희망하는 의미에서 고암 이응노씨와 수화 김환기씨의 작품도 함께 연다"고 말했다.

'꼿꼿한 지조와 강인한 기개'로 얘기되는 선비의 예술은 편지, 시, 그림 등 다양한 장르로 전한다. 그중 선비의 편지에서는 풍부한 감성과 자상한 마음씨를 살필 수 있다. 퇴계 이황은 남언경을 떠나보내며 적은 시에서 "학문이 비록 어려운 것이나 자세히 보고 전체를 살펴 우리 늙은이들을 감탄하게 하기 바란다"고 적고 있으며, 우암 송시열은 애제자의 미망인에게 친정의 상사에 대해 위로하며 너무 슬퍼하여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당부하는 글을 보내기도 했다. 또한 정조가 은퇴한 전 영의정 채제공에게 건강을 걱정하며 적은 윤기 있는 행서체의 간찰에서는 학자 군주의 면모를, 추사 김정희가 사촌형의 부음을 듣고 조카에게 보낸 통곡의 편지에서는 가문을 지키지 못하고 멀리 떨어져 있어야만 하는 아비의 통한을 살펴볼 수 있다.

선비 예술의 면모를 본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갖가지 소재의 문인화를 통해서다. 특히 사군자는 선비들이 자신의 인품 또는 성격을 표현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즐겨 그림의 소재로 삼았는데, 이번 전시에서는 묵죽화의 일인자였더 탄은 이정의 준경하면서도 유려한 필치가 유감없이 살아있는 '묵란도'에서부터 음영을 섬세하게 표현한 몽인 정학교의 '석란도', 석파 이하응이 운현궁 시절에 그린 전형적인 석란도와 운미 민영익이 상해 시절에 복건성에서 자생하는 건란을 사생하여 완성한 운미란, 세상 사람들의 기준에 맞게 그리기보다 군자의 노닒을 따라 흔쾌히 그린 소호 김응원의 '선면 묵란도'와 '묵란도축', 선비의 멋과 취미를 온몸으로 체득한 마지막 선비 화가라 할 수 있는 근원 김용준의 '묵란도'에 이르기까지 난초를 그린 작품이 가장 많이 소개된다. /서울 경제 박연우기자
매일경제
옛 지식인들의 풍류를 본다 - 인사동 학고재 '유희삼매'展

선비를 요즘 말로 풀면 지식인 정도가 될텐데, 옛날 지식인들은 참 멋졌다. 학문도 학문이지만 틈 나면 시를 쓰고 그림을 그렸다. 그들 은 공자 말씀을 따라 도(道)를 목표하고 덕(德)에 근거하며 인(仁)에 의지하는 한편으로 예(藝)에서 노니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들이 실현했던 이성ㆍ감성의 조화는 요즘 지식인들을 여지없이 불구로 보게 한다.

서울 인사동 학고재가 전시를 통해 그들의 예술ㆍ정신세계를 조명하고 있다.  십수년 동안 단층 건물이었다가 지난 20일 지하1층ㆍ지상4 층으로 새로 문을 연 것을 기념하는 대형 기획전시다.

'유희삼매(遊戱三昧)-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란 이름으로 옛 지식인들의 편지ㆍ 시ㆍ그림을 보여준다.

작품 하나 하나가 선비들이 겸비했을 문(文)ㆍ사(史)ㆍ철(哲), 시(詩 )ㆍ서(書)ㆍ화(畵)를 한데 모아 구현하고 있다. 시를 쓰고자 하였으나 뭉게뭉게 진을 친 구름과도 같은 그림이 됐다는 능호관 이인상의 '와운(渦雲)', 지리산으로 벗을 찾아 나섰다가 본 고란사 풍광을 말로 전하기 어려워 대신 그렸다는 단릉 이윤영의 '고란사도'를 통해 비들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다.

그 밖에도 표암 강세황, 단원 김홍도 등 대가들이 남긴 그림이 여럿 있다. 문인화, 그 중에서도 사군자를 통해 보여지는 것은 선비들의 인품이요, 성격이다.

묵죽화 일인자로 통하는 탄은 이정에서부터, 석파 이 하응, 마지막 선비 화가라는 근원 김용준 작품까지 다양한 '묵란도' 가 선보인다.

우봉 조희룡, 북산 김수철 등 그림은 추위를 이기고 맨 처음 꽃을 피 우는 매화를 통해 선비들의 아름답고도 강인한 품성을 보여준다.

전시는 12월 2일까지. (02)739-4937

/매일경제 이지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