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서예계소식
서예계소식
秦시대 기록물 竹簡 2만점 발견
秦시대 기록물 '竹簡' 2만점 발견 (2002.07.17) 중국 진(秦)나라 시대(기원전 3세기)의 것으로 보이는 죽간(竹簡) 2만점이 후난(湖南)성 룽산(龍山)현 리예(里耶) 지역에서 발견됐다고 상하이(上海)의 문회보(文匯報) 등 중국 언론들이 15일 보도했다. 죽간이란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얇게 쪼갠 대나무에 글자를 써서 여러 개를 엮은 것이다. 중국에서 진대의 죽간이 이처럼 대량으로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문회보는 이 죽간이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수많은 문자 자료들이 소실된 상황에서 진대의 정치·경제·사회 상황을 알려주는 원자료이며, ‘병마용(兵馬俑) 이래의 귀중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 죽간이 발견된 곳은 후난성과 쓰촨(四川)성의 경계에 있는,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와 한(漢)대에 걸친 성곽 지역이며 이곳의 면적은 2만㎡에 달한다. 수력발전소 건설을 앞두고 발굴작업이 이루어져 지난 6월 성곽 내 우물에서 생활용품과 함께 발견됐다. 죽간에는 고대의 한자체인 ‘고예서(古隸書)’로 수십만자가 쓰여 있으며, 대부분은 지방관청 간에 오간 문서로, 군사·수학·관직·민족 등에 관한 내용이라고 문회보는 전했다. 죽간에는 또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던 때의 일들과 ‘4×8=32, 5×8=40’ 등 구구단도 기재돼 있다. 그동안 중국에 전해져온 진대의 죽간은 2000여점에 불과, 진대 역사 연구는 주로 사기(史記)나 한서(漢書)에 의존해 왔다. (池海範기자 hbjee@chosun.com ) --------------------- 중국서 대나무에 새긴 고대기록 2만여점 발굴 (2002.07.17)
오는 2009년 준공할 중국 싼샤(三峽)댐 수몰 예정지인 후난(湖南)성 서부에서 진(秦)나라(BC 221~207) 때 제작된 죽간(竹簡) 2만여 점이 발굴됐다고 16-17일 국내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됐다. 죽간이란 대나무를 뜻하는 죽(竹)자와 편지, 서찰, 문서 따위로 옮길 수 있는간(簡)을 합친 말로, 글자가 쓰인 대나무 조각을 말한다.
종이가 없거나 희귀하던 시절 중국을 필두로 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대나무나 나뭇조각에다 글을 썼다. 글은 묵과 붓을 이용하거나 칼과 같은 예리한 도구로 새겼다.
비단을 이용한 경우도 있으나, 비단은 그 때나 지금이나 대단한 고가품이어서사용 범위가 극히 한정됐다.
한국의 공주에서 무령왕릉이 발견되던 1971년, 그 해 12월27일 양쯔강 남쪽 중국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에서 발견된 전한시대 마왕퇴(馬王堆) 무덤에서는 노자의 「도덕경」을 비롯해 피장자가 생전에 읽던 책자가 많이 발굴됐는데 그 대부분은 비단책이었다.
글이 적힌 대나무와 나뭇조각을 중국에서는 흔히 간독(簡牘)이라 부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명칭은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익숙한 용어가 아니다. 왜냐하면 한국과 일본에서는 죽간은 사례가 극히 드물고 목간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그 명칭이 무엇이건 간독 연구는 한동안 일본이 주도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에서는 1961년 고대 왕경 유적인 헤이조쿄(平城宮) 터에서40점이 출토된 것을 시작으로 주로 7~9세기에 제작된 목간이 수십만 점 출토됐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 출토 목간은 20만 점을 웃돌고 있다.
중국에서도 간독이 더러 출토돼 이 분야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기는 했으나 그다지 활발한 편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삼국시대 오(吳) 나라 한 유적지에서만 목간 20만점이 쏟아짐으로써 이 분야 연구는 아연 활기를 띠었다.
고대 기록이 엉성하기 짝이 없는 한국 학계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이러한 목간발굴 성과에 그저 부러운 눈길을 보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고고학계에 불문율이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 같이 출토되는 유물은 언젠가는 한반도에서도 그러한 유물이 출현한다는 것이다. 불에 지져 그 갈라짐의 모양을 보고 점을 친 도구인 복골(卜骨)이라는 짐승뼈가 그랬다.
중국이야 갑골문으로 대표되는 복골이 무수하게 쏟아졌고 일본에서도 복골은 꽤많은 양이 출토됐다. 이러한 복골을 찾지 못한 한국고고학계에도 80년대 초반 마침내 경남 지방에서 복골을 발굴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복골은 주로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더러 출토되고 있다.
목간 또한 마찬가지였다.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목간 51점이 대량으로 출현했다. 이를 시발로 경남 함안 성산산성과 부여 궁남지, 경기 하남 이성산성 등지를 중심으로 2002년 현재 국내 목간 출토품은 200여 점을 헤아리게 됐다.
한국 또한 당당히 ’목간국(木簡國)’ 대열에 합류한 것이다.
목간과 죽간은 중국에서는 한 때 책 구실을 하기도 했다. 「논어」에 보면 위편삼절(韋編三絶)이란 유명한 말이 있는데 공자가 하도 책을 많이 읽어 가죽끈이 세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를 일컫는다.
이 때 공자가 읽은 책이 바로 죽간으로 된 「주역」이다. 공자 시대에는 종이가없었기 때문에 글을 쓴 대나무 조각들을 가죽끈으로 엮어 책을 삼았다. 책을 뜻하는한자어 ’冊’은 바로 죽간을 끈으로 연결한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다.
죽간이나 목간은 이 외에 토지매매라든가 재산상속, 호구조사 문서, 판결문 및물품 꼬리용으로 쓰인 경우도 대단히 많다. 서적을 제외한 이러한 용도는 종이가 발명된 이후에도 한동안 효용성을 유지했다.
왜냐하면 종이 또한 비단 못지 않게 비쌌기 때문에, 간략한 내용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죽간이나 간독은 여전히 애용됐다.
국내 출토 목간의 경우 물품 꼬리표로 쓰인 것이 압도적이다. 예컨대 지방에서징발한 곡물 부대 같은 곳에는 그 곡물이 어느 지방 누구에게서 거둔 것인데 어디로보내졌다는 표식을 하기 위해 목간을 이용했던 것이다.
요즘 유행하는 말을 빌린다면 이런 목간은 원산지 표시나 바코드용이라고 보면이해가 쉽다. 일본 목간 출토품 또한 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중국에서는 그 용도가 실로 다양한 간독이 줄을 이어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간독 자료는 왕실 지배층 중심이기 마련인 문헌기록에 비해 실제 사람들이 산 기록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는 이루 말할 나위가 없다.
월남전쟁때 인도지나 반도의 고산지대에서 사는 묘족 병사들이 참전 했었다. 이 병사들은 허리춤에 나무 껍질로 맺은 매듭줄을 주렁주렁 매 고 다니는 것으로 식별할 수가 있었다. 그 매듭줄 머리에 글자가 새겨 진 대나무 쪽이 꽂혀 있는데 애인이나 아내가 사랑 불변을 약속한다는 뜻의 글이 새겨진 죽간이다.
하룻밤 자고나면 그 매듭 하나씩을 풀어 나가는데 그 줄매듭을 모두 푸는 날이 재회하는 날이다. 낭만적인 사랑의 죽간이 아닐 수 없다. 묘 족들은 약속의 신물로서뿐 아니라 먼곳에 있는 친지에게 소식을 전할 때에도 대나무나 나무쪽에 글을 새겨 하인에게 전달시킨다고 한다.
기원 100년께인 한나라의 화제때 채륜이 종이를 발명하기 이전까지 는 대나무나 여느 나무를 갸름하게 깎아 그 표면에 글을 쓰고 실로꿰어 엮었다. 이를 죽간 또는 목간이라 했다. 책이라는 한자는 바로 이 글을 새긴 갸름한 간찰들을 가로로 꿰어 엮은 상형문자임을 알 수 있다.
역시 책을 뜻하는 본이라는 한자의 유래설 가운데 하나로 「목+-」 곧 목간을 가로로 꿰었다는 상형이라는 견해도 있다. 중국 말로 책을 본자 책자 그리고 권자라 하는데 권자는 종이가 발명된 이후에는 두루 마리에 글을 쓴데서 생겨난 말이다.
정치를 두고 시시비비를 하는 유학자들과 그 유학을 증오했던 진시 황이 천하의 책들을 모아서 불태우고 유생들을 매장해 죽인 분서갱유사 건에서 태워 없앤 책들은 종이로써 만든 책이 아니라 바로 죽간이나 목 간이었을 테니 소리내어 잘도 탔을 것이다.
1930년 중국 감숙성에 있는 한나라때의 봉수대 자리에서 1만점이나 되는 죽간들이 대량으로 발견되었는데 그 당시 수자리를 지키는 병졸들 이 아파도 치료도 받지 못하고 죽으면 풀섶속으로 던져버리는 등의 참 상이 해독되기도 했던 것이다.
1972년 산동성의 은작산에서 출토되었던 죽간에는 「손자병법」과 「육 도」 「안자」 등 선진시대 문헌의 일부가 발견되기도 했다. 또 작년에는 손자병법의 알려지지 않았던 낙질 죽간들이 발견돼지금 정리중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번에는 삼국지시대 오나라 수도 장사의 한 옛 샘에서 죽간 수십만 개가 발견돼 학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역사정보의 발견 분량으론 사상 최다이기 때문이다. 손견 손권 부자가 다스린 초기 오나라 사실을 비롯 삼국지 내용이 풍요해질 죽간 발견이 아닐 수 없다. ------------------------------------ 中둔황서 2천년전 농작물 씨앗 발견 (2002.05.15)
막고굴(莫高窟)로 유명한 중국 간쑤(甘肅)성 둔황(敦煌)에서 2천년전의 농작물 씨앗들이 발견됐다. 15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간쑤성 문물고고연구소(文物考古硏究所)는간쑤성 둔황 한대현(漢代縣) 천치(泉置) 유적에서 2천년전의 보리, 밀, 조, 콩, 마늘, 호두, 살구 등의 씨앗이 출토됐다고 밝혔다. 고고학자들과 농업전문가들은 출토된 씨앗의 보존상태가 양호해 싹을 튀울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씨앗과 함께 출토된 죽간(竹簡)에 따르면 이 농작물들은 당시 고대인들이 생산한 것으로, 농작물의 명칭이 오늘날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죽간에는 당시관청의 농작물 관리 등도 기록돼 있다.
문물고고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이 씨앗들이 대부분 서한(西漢)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둔황지역의 건조한 자연환경으로 인해 씨앗들이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놀라움을 나타냈다. 이 관계자는 이번 발견이 식물학연구에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이 씨앗들을 발아시켜 2천년에 걸친 농작물의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What can I do to resolve this?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