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계소식

현존 最古 광개토대왕 묵본 공개

* 나도 자주 참가한 바 있는 고구려연구회에서 오는 11월 3일부터 단국대 서울캠퍼스 서관에서 제11회 고구려 국제학술대회를 연단다. 역사학계의 비상한 관심 속에 동북아 고대사의 비밀을 푸는 중요한 유물로 일찌감치 한국과 일본, 중국 학자들의 논쟁이 끊이지 않았던 광개토대왕비문의 최신 연구성과들이 다수 발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찌감치 각 언론사에는 이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 ------------------------------------

‘광개토태왕비의 제문제’ ‘광개토태왕비와 동아시아의 국제실서’ 등을 주제로 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특히 쉬젠신(徐建新) 중국사회과학원 세계역사연구소 부교수, 가오밍시(高明士) 대만대 명예교수의 탁본 연구가 논란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

▲ 현존 最古 광개토대왕 묵본 공개

쉬젠신 교수는 학술대회 마지막날인 5일 ‘고구려 호태왕비 초기 탁본에 관한 연구’라는 발표를 통해 최근 새로 찾아낸 광개토대왕비 묵본(墨本ㆍ비문 글자를 붓으로 모사한 뒤 여백을 먹으로 채운 것)을 사진자료와 함께 공개한다.

베이징(北京)의 유물경매장에서 확인한 이 ‘이홍예증반조음본’(李鴻裔贈潘祖蔭本)은 첨부된 4건의 제발(題跋ㆍ탁본의 유래를 적은 글)로 판단할 때 1881년이나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쉬 교수는 주장한다.

미리 공개한 발표문에 따르면 이홍예증반조음본은 가로 25㎝, 세로 36㎝ 크기로 재단한 책자 형태이고 비석 글자는 쪽마다 여섯 글자(한 줄에 세 자씩 두 줄)로 134쪽에 걸쳐 편집되었고, 여기에 제발이 두 쪽 덧붙었다.

쉬 교수는 “1877년 회인현(현재의 랴오닝성 환런 지역) 담당관으로 임명된 장월이 1880, 81년 비석을 태우고 탁본을 제작했으며, 이 탁본이 몇 사람을 거쳐 1883년에 반조음의 손에 들어간 것”이라며 “현재 광개대왕비문 묵본 중 제일 이른 묵본”이라고 주장했다.

이제까지 묵본과 탁본을 통틀어 가장 오래된 것은 일본군 밀정이던 사카와 가게아키(酒勾景信)가 1883년 회인현에서 얻어 일본 육군참모본부에 건넨 사카와본이었다.

쉬 교수는 또 “새로 발견한 묵본과 사카와본은 둘다 지면이 매우 평평하고 고르므로 같은 범본을 기본으로 하여 탁본을 떴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며 “새 묵본은 사카와본에 대한 토론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일본이던 사카와본은 입수 경위와 연구 과정 때문에 그 동안 적잖이 변조 시비에 휘말려왔다.

▲ 대만 학자 1883년 이전 초기 원석탁본

하지만 시기가 이르다고 해도 묵본은 원래 비석을 그대로 탁본한 것이 아니라는 한계 때문에 1차 자료 가치가 아무래도 원석탁본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가오밍시 교수가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 촨시녠(傳斯年)도서관에서 4면 자료를 모두 찾아내 소개하는 원석탁본 을본(乙本)의 가치를 눈여겨볼만하다.

가 교수는 3일 ‘촨시녠 도서관 소장 호태왕비 원석탁본 을본의 완정한 형태의 발견’이라는 발표에서 “탁본의 용지 수량(162장)이 원석탁본 중에서 가장 많으며 가장 원시적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작성 연대가 1883년 이전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주장한다.

원석 탁본으로 가장 유명한 일본의 미즈다니(水谷)본이나 베이징대학 소장본은 1889년께, 중국의 왕씨장본(王氏藏本ㆍ151장)은 1883~188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을본은 이보다 “조금 이른 시기에 탁출되었다”는 것이다.

가 교수는 또 광개토대왕비문 중 논란이 있었던 글자를 을본을 토대로 확인하면서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삼는 신묘년조 가운데 ‘倭’냐 ‘後’냐를 두고 논란이 있던 부분은 ‘倭’가 맞다고 밝힌다.

▲ 동북공정 이론가 겅톄화도 발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매우 적극적으로 고구려사 왜곡 논리를 개발,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인 중국 학자인 겅톄화(耿鐵華) 퉁화(通化)사범학원 교수도 참가해 눈길을 끈다.

오랫동안 중국 지안(集安)박물관에 근무하며 지안의 고구려 유적을 직접 발굴하면서 연구 논문을 발표해온 겅 교수는 3일 ‘중국 호태왕비 연구의 현황과 추세’를 통해 중국의 광개토대왕비 연구상황을 소개한다.

또 서길수 서경대 교수는 ‘유럽학계의 광개토태왕비 조사와 연구’를 통해 프랑스인 모리스 쿠랑(1898년)과 에두아르 샤반느(1907년), 러시아인 차를가시노바(1979년) 등 서구 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설명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비문의 금석문적 탐구뿐 아니라 비문 내용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 관계를 재조명하는 논문도 여러 편 발표된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교수의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요동 진출과 대후연정책’, 서영교 목원대 교수의 ‘고구려의 초원 진출과 유목민족 정책’,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의 ‘고구려와 백제의 대립과 동아시아 세계’, 이용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의 ‘4, 5세기 고구려의 동아시아 인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밖에도 모한 호주 시드니대 교수가 ‘4세기 후반 5세기 초 고구려 왕권과 그 정당성’을, 사오토메 마사히로(早乙女雅博) 일본 도쿄(東京)대 교수가 ‘도쿄대학 소장 광개토왕비 탁본’을 발표하는 등 모두 21편의 논문이 소개된다.

고구려연구회장을 맡고 있는 서영수 단국대 교수는 “전성기 고구려의 역사와 국제관계를 담고 있는 광개토대왕비를 입체적으로 재조명하기 위해 이번 학술대회를 마련했다”며 “해외 학자들의 새로운 연구 내용을 두고 회의장에서는 물론 향후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김범수기자 bskim@hk.co.kr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