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는 그 장식기법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며 특히 백토분장을 소극적으로 한 것과 적극적으로 한 것에 따라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소극적인 백토분장은 상감분청사기(象嵌粉靑沙器)·인화분청사기(印花粉靑沙器)이며, 적극적인 분장은 박지분청사기(剝地粉靑沙器)·조화분청사기(彫花粉靑沙器)·철화분청사기(鐵畫粉靑沙器) 등으로, 백토분장을 한 뒤 다시 깎아내거나 그림을 그려 장식하는 것이다.
이 밖에 단순히 백토를 분장함으로써 장식이 끝나는 경우가 있으며, 백토의 분장법에 따라 귀얄로 분장된 것은 귀얄문, 백토를 묽게 한 것에 그릇을 덤벙 담가 도장한 것은 분장문 또는 덤벙문이라 한다.
이 중 귀얄문은 도장하였을 때 귀얄 자국과 백토의 농담에 따라 힘있고 빠른 운동감과 그 사이사이의 백토와 태토의 대조로 문양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덤벙문은 그릇의 표면을 완전히 백토로 덮기 때문에 거의 순백색의 백자와 비슷한 색감을 주기도 한다.
상감·인화 등 소극적인 분장법은 타작한 청자상감의 기법을 이어 조선초로부터 시작되어 세종·세조 연간에 그 특징이 두드러지며, 귀얄문·분장문(덤벙문)을 기본으로 하는 박지·조화·철화문은 세종·세조 연간으로부터 세련되기 시작하여 성종·중종 연간까지 그 특징이 두드러지고, 단순한 귀얄문과 분장문도 16세기 이후에야 대량생산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분장 [粉粧]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