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실

홀수배 飮酒法의 의식과 허식

홀수배 飮酒法의 의식과 허식

  술은 '불타는 듯한 화끈한 물'의 의미인 '수불'에서 '수울'을 거쳐 '술'로 정착되어 오늘날의 술의 어원이 되었다는 게 일반론이다. 물과 불은 서로 공유할 수 없는 성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은 차가운 이성을 대변하고 불은 뜨거운 감성을 대변한다. 그러나 술은 이 두 가지 성격을 모두 포함하여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내고 있다. 특히 술을 마시는 사람의 마음과 몸속에 정열의 불길을 만들어 낸다. 인간에게 술은 술이 아니라 예술품으로 창조된 새로운 세계라고 설명하고 있다. 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올바른 주도를 배우지 못한 접객문화가 판치는 오늘날, 홀수배 음주법의 의식과 허식을 통해 새로운 주도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여유 있게 음주하면서 풍류를 즐기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론과 깊은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한 예로 주도에는 1/3/5/7/9의 원칙이 있다. 술잔은 반드시 홀수라야지 짝이 차서는 안 된다는 원리이다. 한잔 술이란 있을 수 없고 석 잔은 좀 적은듯하고 다섯 잔은 적당하며, 일곱 잔은 지나치고 아홉 잔에는 취한다. 잔 수는 어째서 홀수라야 하는 것일까? 달도 차면 기우는 법, 술잔 역시 수치가 꽉 차 버리면 기울게 마련이다. 곧 기울어 버릴 만월보다도 돋아나는 반달을 성스럽게 여기듯이 술잔에도 장차 메워질 여유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꽉 차 있는 짝수보다는 한 구석 비워 있는 홀수를 택하는 것이라 한다.
-------------
- 군자와 소인의 주작문화

  멀고 먼 옛날 천지의 시초에는 음식과 약(藥)만 있었고 술은 아직 없었다. 술은 신(神)들의 세계에서만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인간의 세계에는 실질(實質)은 있었으나, 문화가 없었고 생활은 야(野)하며 단조로웠다. 후에 성인(聖人)이 나서 인간생활을 널리 살펴보고 먹고사는 일이 뭇 짐승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하여 이를 가엾게 여겨 술을 만들어 내놓았고 그 마시는 법을 일일이 정하였다.

  대저 성인이 술을 마시는 법을 만들 때 천지자연의 법칙에 준거하여 만든 까닭에 군자가 이 법도에 따라 술을 마심으로써 덕을 크게 성취할 수 있다. 혹자(或者)는 말하기를 “술은 인간에 이롭지 않다. 정신을 흐리게 하고 몸을 상하게 한다…”고. 그러나 그것은 그렇지 않다.  술을 마심으로써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은 그 속에 맑음이 있는 것이고, 몸이 피곤해지는 것은 그 속에 굳건함이 있는 것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첫째 잔 : 盞을 洗淨하면서/ 9

둘째 잔 : 酒精과 精神에서‘精’의 유사점/ 25

2.1 알콜의 정신성(spirit)                  2.2 알코올, 불타는 물

2.3 음수사원의 정신                      2.4 제버의 알코올과 빌뇌브의 생명수

2.5 알코올의 야누스적 성격              2.6 불설분별선악소기경에서 술의 해악

2.7 술에 관한 우리말 시리즈

셋째 잔 : 술잔의 미학과 해학/ 65

3.1 술잔의 의미성과 발전사                3.2 술잔의 유형

3.3 술잔의 명칭고                        3.4 성호사설 만물문의 주기보(酒器譜) 

3.5 해학과 풍류적 술잔                    3.6 제 술에 제 술잔 이야기       

3.7 주상취담에서 술잔                    3.8 술잔 잡는 손을 보면 성격이 보인다



넷째 잔 : 술 권하는 예의/ 157

4.1 예기의 향음주의                      4.2 시경의 빈지초연

4.3 시․서․수․령의 고대의 주령          4.4 넘침을 경계하는 계영배라는 신기한 술잔

4.5  예청⟷예사, 고청⟷고사, 강청⟷종사    4.6 군자와 소인의 주작문화

다섯째 잔 : 음다흥 음주망과 음주흥과 음다망의 세계/ 193

5.1 왕부(王敷)의 다주론(茶酒論)            5.2 란슈구의 주다론(酒茶論)

5.3 설총의 다주동위론(茶酒同位論)

여섯째 잔 : 동양에서의 홀수의식과 금주법/ 223

6.1 홀수가 양, 짝수가 음                  6.2 壹(一)과 천지창조

6.3 홀수의 시작점 3이라는 의미성          6.4 삼배주계(三杯酒戒)의 주령

6.5 조선시대 주호들의 삼배주계            6.6 朝酒三杯 不可廢

일곱째 잔 : 술잔 그 홀수배의 허식과 의식/ 293

7.1 주불쌍배 또는 주불단배설              7.2 여유잔설

7.3 음양오행설                            7.4 풍류배설

7.5 두주불사배설

마지막 잔 : 음미하고 아쉬워하면서 마시는 석별의 잔/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