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실

웃음과 울음을 철학적 의미로 해석한 학자가 있었다.

웃음과 울음을 철학적 의미로 해석한 학자가 있었다.

웃음과 울음을 철학적 의미로 해석한 학자가 있었다. 이 둘은 공통적으로 어간 모음 '우'를 취하고 있는데 이 '우' 모음은 입 속 뒤쪽의 깊숙한 부분에서 발음되는 것으로, '웃음'과 '울음'이라는 말은 인간 정서의 절박성을 표현하는 데 더없이 알맞은 것이라고 했다. 또한, 이 두 단어는 어간 모음뿐만 아니라 두 단어에 쓰인 어간 받침에 있어서도 다분히 철학적이라는 것이다. 음성 상징론에 따르면, 'ㄹ'음은 부드럽고 유연하여 슬픔보다는 기쁨을 상기시키는 자음이며, 'ㅅ'은 'ㄷ'으로 중화되어 발음되거나 'ㅅ' 그대로의 마찰음으로 발음되거나 간에 그 각박하고 군색한 음상이 도저히 기쁨과는 어울릴 것 같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자는 여기에서 우리 조상들의 삶의 철학을 찾아 볼 수 있다고 했다. 예로부터 우리 선인들은 근엄 장중한 선비상을 이상으로 삼고, 경거망동을 경계했으므로, 기쁘다고 즉시 웃음을 보이거나 슬프다고 즉시 울음을 터뜨리는 경박한 태도는 멀리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일견 그럴 듯해 보이고 두 감정 명사를 가지고 삶의 철학까지 연결시킨 점은 높이 살 만하다.
그러나 이런 논리는 '살다'와 '죽다', '삶'과 '죽음'이라는 단어를 비교해 보면, 금방 모순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살다'는 양성모음을 가지고 있고 또 받침은 'ㄹ'을 가지고 있는 반면, '죽다'는 음성모음과 무거운 'ㄱ' 받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또 어떤 삶의 철학이 담겨 있어야 할까? 그보다는 '웃다'와 '울다'가 어원적으로 한 뿌리에서 나온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이 더 그럴 듯하다고 본다. 우리말에서는 서로 대립되는 말을 받침의 교체나 모음의 교체를 통해 만들어 내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믈-믙'이 그렇고 '나-너, 설-살, 낳다-넣다' 등이 바로 그 예라고 할 때, '웃음-울음'도 어쩌면 한 뿌리에서 나온 말인지도 모른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