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메일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부족한 실력으로 해석해 올립니다.
참고로 이곳에 옮겨 놓고 함께 많은 분들과 함께 즐겁게 고민해 볼까 합니다.
------------------------------------
不解作客勞煩主人(불해작객 노번주인)
객노릇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주인을 수고롭고, 번거롭게 하는도다.
곧, 손님노릇을 할 줄 모르면서 주인을 골치아프게 한다.
客(불교에서 ‘客’은 객체적 자아, 외부세계와 접촉하는 자아) 노릇을 이해하지 못하고,
主人(주체적 자아, 얼, 혼, 정신, 참자아, 부처)을 근심스럽고 번뇌에 빠지게 한다.
* 절을 많이 지은 양무제가 찾아온 달마에게 공을 물으니, 달마는 '無'라고 대답했다 한다. 이 때, 양무제를 주인으로 달마대사를 객으로 보면, 열받은 양무제가 달마를 꾸짖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 그러나 달마도의 화제로 쓰인 성격상, 달마가 주인(부처)의 입장에서 양무제에게 꾸짖는 형국이다. 따라서 달마를 주인으로 보고, 양무제를 객으로 보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
面無慚色少喜多嗔(면무참색 소희다진)
얼굴에 부끄러운 빛이 없으니,(곧, 뻔뻔스러운 걸 보니)
기쁜 일은 적고 성낼 일만 많구나.
* 달마는 자랑하며 위세를 떠는 양무제를 보고 위와 같이 갈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