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석고문 서체의 주요 특징 -석고문.고륜.전윤성-

   용필법


  석고문의 용필법은 기필처에서는 장봉역입하여 중봉으로 평출하되 삽행(澁行)하며, 수필처에서는 획이 뭉그러지지 않도록 가볍게 회봉질제 해야한다. 이렇게 하면 기필처나 수필처 모두 원필중봉을 이루게 되며, 행필과정은 필획의 조세가 균일하고 점획이 만나는 접필처는 그 흔적이 나타나지 않아야 최상이라 할 수 있다.


   석고문의 용필 가운데 가장 어려운 부분이 전절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절처는 대부분 호형으로 석고문에서의 호형은 그 유형이 다양하다.


   그 예를 살펴보면 반호, 환호, 장호, 원호, 곡호, 호미 등인데, 이러한 호형처의 용필은 원활하면서도 굳세며, 탄력성을 잃지 않고 자연스러운 맛이 풍부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전절처에서 음이 양이 되고, 양이 음이 되는 운필의 묘를 정획히 터득해야 소위 장장사가 말한 `절차고`의 원리를 깨달았다 할 것이다.


   결 구 법


  
석고문의 결구는 방정하고 균정한 특징을 갖고있다. 글자마다의 형체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을 갖추고 있으며, 포백균칭하고 좌우대칭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석고문의 결구법도는 구체적으로 후대의 한례나 당해의 생성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유로 글씨를 배울 때는 마땅히 석고문으로부터 입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석고문이 전서의 규범 법도 뿐만 아니라 모든 서체의 기본 법도가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청나라 강유위는 `광예주쌍집`에서 "석고개위중국제일고물 역당위서가제일법칙야"라 하여 "석고문은 중국에서 제일 오래된 것일 뿐 아니라, 마땅히 서가에게 제일 중요한 법칙이 된다"고하였으니, 석고문이 차지하는 서예사적인 위치와 서법의 기본 법도가 구비된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장  법 


   석고문의 장법은 행열이 비교적 규정하고 글자와 행간의 거리가 모두 평형을 유지하며 공백의 안배를 고르게 하였다. 석고문의 이러한 장법은 이후 소전의 장법 형성에 모범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체 또한 대전에서 소전으로 변화해 가는 과도기 서체로 오히려 소전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석고문이전의 종정문인 상씨반은 장법이 자사난만한 특징을 갖는다. 이는 서사기구와 심미의식의 차이로 산씨반은 청동기 위에 쓴 청동조형이므로 규정이 매우 어려우나, 석고문은 돌 위에 쓰고 새긴 것이기 때문에 포치가 비교적 쉬우므로 평행정식한 장식효과를 강구 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것으로 미루어 석고문은 용필, 결구, 장법 뿐만 아니라 서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처음 서예에 입문할 때 석고문을 통해 기본 용필법과 결구법, 그리고 장법을 자세하고도 정확히 익힌다면 서예의 기본 법도에 어긋나지 않게 될 것이 분명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정보의 공유 시대에 한발 앞서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습니다. 노고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