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금강예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로 유명한 유홍준 교수(영남대)에게 최근 별명이 하나 붙었다. ‘금강산 귀신’이 그것이다. 그도 그럴 법한 게 지난 98년 이래 모두 다섯번이나 금강산을 다녀왔고 금강산의 모든 것을 알기 위해 금강의 사계를 모두 놓치지 않고 탐승했기 때문이다.
그런 저자가 이번에는 가히 금강예찬이라고 할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중앙M&B·1만2,000원)를 완성했다. ‘하편’이라고 붙은 것은 평양과 묘향산을 중심으로 관서지방을 답사하고 펴낸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98년)에 이은 후속편이란 뜻이고 부제로 ‘금강예찬’을 넣은 것은 오로지 금강산 한 곳만 답사지로 정해 다녀온 기행문이란 의미다.

“왜 그토록 금강산을 예찬하는가”라는 물음에 육당 최남선의 말을 빌려 ‘본능적인 조선심(朝鮮心)’이라고 자문자답하는 저자는 옛 문인들의 금강행부터 소개하기 시작한다. 통일신라의 최치원 이래 고려시대 이제현…,조선시대 권근 서거정 김시습 정철 박지원 김삿갓…,근대 들어 최남선 이은상 정비석….

선조들이 금강산을 놓고 좋은 말,멋있는 말을 다 써버린 것을 한탄할 수밖에 그 이상은 형언할 수 없었다는 저자는 크게 3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금강입문으로 금강산 탐승의 기록과 의미를 짚었고,2부에서는 현재 금강산 관광코스로 가볼 수 있는 외금강과 해금강 탐승의 길 안내를 겸한 해설을 덧붙였다. ‘나무꾼과 선녀’의 전설이 깃든 상팔담,금강산의 오지 만물상,네 화랑이 사흘간 놀고 갔다는 삼일포의 유래와 정경 등이 담겼다.

내금강편이라고 할 수 있는 3부에서는 세조가 신하들의 기강을 잡고 몸 보전을 위해 온천욕을 했다는 온정령,‘장하던 금전 벽위∼’로 시작하는 가곡 ‘장안사’의 내력,겸재가 ‘금강전도’의 구도를 잡았던 정양사,내금강의 절경으로 꼽히는 만폭동과 높이가 15m나 되는 묘길상 마애불의 모습 등이 벅찬 감동과 옛 사람들에 대한 아련한 그리움 속에 소개되고 있다.

또 책 말미에는 답사 동승자인 시인 고은,소설가 김주영과의 남은 이야기들,북한의 향토음식 등을 따로 묶어 ‘북한 답사 여록’에 실었고 금강산의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부록으로 실었다.

무엇보다 기행문의 묘미는 현장감. 북한 안내원들의 다소 생경한 모습이 드러나는 대화는 물론 답사자의 순간순간의 감동이 고스란히 실려 있어 금강산 관광을 다녀온 사람이든 아니든 금강예찬의 생동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스포츠투데이에서.
옛문인 발자취따라 ‘금강예찬’
[연예오락] 2001년 01월 28일 (일) 11:16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