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기호학파

조선 중기 기호지방을 근거지로 한 이이(李珥)․성혼(成渾) 학파를 통칭한 말. 원래 기호지방은 경기도와 호서지방․해서지방을 포괄하는 지역을 의미하지만, 역사적 개념에서 기호학파는 경기도․충청도 지역의 이이․성혼의 문인과 학자들의 집단을 지칭한다. 조선 전기에 영남지방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왕조교체에 불만을 품고 은거한 학자들을 중심으로 일단의 학자군이 형성되고, 조선 중기에 이황(李滉)이 배출되면서 영남학파가 성립되었지만 기호학파는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학문적 결속력이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선조 후기에 동서분당이 형성되고 영남학파의 다수가 동인이 되면서 이에 대항하는 서인세력이 기호지역을 중심으로 결집하게 되었다. 당색(黨色)으로 볼 때 기호학파는 서인의 주축을 형성했지만, 서경덕(徐敬德)처럼 기호지방(개성)을 근거지로 하면서도 북인(北人)으로 나간 인물들이 있음을 고려할 때, 기호학파가 정치적으로 곧 서인이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는다. 기호학파를 성립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는 이이․성혼․송익필(宋翼弼)을 들 수 있으며, 인조반정 이후 서인들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기호학파의 세력은 크게 확장되었다. 특히 이이의 문인인 김장생(金長生)을 거쳐 송시열(宋時烈)에 이르러서는 연산(連山)․회덕(懷德) 등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기호학파는 정계․학계의 주도권을 차지하였다. 기호학파가 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한 데는 무엇보다도 서울에 지역적으로 근접해 있다는 이점이 많이 작용하였다. 숙종대에 이르면 기호학파 내부에서도 분열이 일어나 회덕을 중심으로 한 송시열 계열은 노론이 되고, 이산(泥山)을 중심으로 한 윤증(尹拯) 계열은 소론으로 분립되었다. 기호학파는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등의 성리설과 예학 등에서 많은 학문적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송익필․김장생․송시열 등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예학은 현종대에 남인과 맞서 극렬한 예송논쟁(禮訟論爭)을 일으키게 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영남학파 :

조선시대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학문상의 한 유파. 주로 이황(李滉)에 의해 제기된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 등의 성리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학파를 가리킨다. 기호학파를 율곡학파(栗谷學派)라고 하는 데 대하여 영남학파는 퇴계학파(退溪學派)라고도 한다. 조선 전기 김종직(金宗直)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영남학파는 당대 사림(士林)을 대표한 학파로서 정계․학계․문단 등 여러 분야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황과 조식은 각각 영남좌도와 우도에서 영남학파의 영수로 추앙되어 많은 문도를 거느리면서 저명한 학자를 배출하였다. 이황과 조식은 서로 경우(敬友)로 대하였고, 그들의 문인들은 대개 두 사람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조식의 문인들은 광해군 때 정계에 다수 진출하여 주도권을 잡았으나, 광해군의 패륜과 폭정을 바로잡지 못한 데다 선현(先賢)을 모독한 정인홍(鄭仁弘)사건으로 물의를 빚었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이후 조식학파는 점차 그 학맥이 쇠잔하여지고 퇴계학파는 그 학맥이 성해지면서 좌도․우도의 구별이 사라지고 영남의 학자들이 퇴계학파에 흡수되어 마침내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대명사가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조목(趙穆)․김성일(金誠一)․유성룡(柳成龍)․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정경세(鄭經世)․허목(許穆)․이현일(李玄逸)․이상정(李象靖)․이진상(李震相)․곽종석(郭鍾錫) 등이 있다. 한편 영남학파에서는 광해군 12년(1620) 이황 문하의 양대고족(兩大高足)의 유성룡과 김성일을 호계서원(虎溪書院)에 추향(追享)함에 있어, 위차(位次)의 선후를 놓고 양현(兩賢)의 자손과 후학들 사이에서 다툼이 일어나 오랫동안 시비가 분분하였다. 이 사건을 병호시비(屛虎是非) 또는 애학시비(厓鶴是非)라고 한다. 이로 인한 두 계열의 대립은 이후로 해소되지 않고 계속되었는데, 유성룡 계열에서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을 근거지로 하고 김성일 계열에서는 호계서원을 독점하여 서로 대치함으로써, 마침내 병파와 호파로 갈리게 되있다. 병파나 호파 모두 이황의 주리설(主理說)에 귀일하고 있다. 유성룡을 중심으로 한 병파의 학통은 정경세․유진(柳袗)․유원지(柳元之)․정종로(鄭宗魯) 등으로 이어지고, 김성일을 중심으로 한 호파는 장흥효(張興孝)․이현일․이재(李栽)․이상정․유도원(柳道源) 등을 거쳐 이진상․곽종석에게 이어진다. 한편 이황의 적전으로 조식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였던 정구의 학통은 근기지방(近畿地方)으로 전해져 별파(別派)를 형성한다. 정구는 성리학과 예학에 뛰어났을 뿐 아니라, 역사․지리․의학 등 방대한 저술을 통해 <응용구시(應用救時)>의 측면에 크게 유의함으로써, 후일 허목을 통해 근기학파의 학자들에게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이익․안정복(安鼎福)․정약용(丁若鏞) 등의 경세치용(經世致用)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