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교육사. 교육철학의 연구 방법론

교육학의 변천과정에서 역사적 좌표를 설정하고 시대적인 단서를 포착, 선별하여 교육학의 기초를 마련. 연구방법은 다양 - 주된 관심사? 어떤 자료를 이용? 어떤 관점에서 보고 있는가에 따라 다종다양.
교육사 : 교육현상의 여러 가지 가치 있는 사실들에 대한 史的인 기록.
교육철학 : 철학의 여러 기능을 구사하여, 교육현상의 여러 기본 문제를 철학적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분석.연구하는 학문의 한 분야. - 따라서 @은 교육학의 기능적인 이해와 함께 이루어져야 연구방법론이 정립.
교육철학의 기능
① 분석적 기능(언어와 논리에 관한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기능)
② 평가적 기능(평가로서 그 이론의 타당성과 사실의 확실성 및 합리성을 밝히는 기능)
③ 思辨적 기능(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이나 대안의 제공)
④ 통합적 기능( 전체로서 파악하여 전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교육철학의 고유 기능)
이러한 이해와 함께 @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列傳的 방법 : 과거의 위대한 교육사상가나 실천가들의 생애, 업적, 사상, 교육사적 의의 등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연구해 나가는 방법. 울리히 [교육사상사(68)]
② 原理的 방법 : 교육의 여러 작용 및 영역의 지도원리를 망라하는 연구. 예,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체제 등에 관한 원리를 풀어나가고자 한 연구. 페스탈로찌 [겔트루드의 자녀교육법]
③ 思想史的 방법 : 교육사상의 흐름을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인 특징을 들면서 서술하는 방법. 메드린 [서양교육사상사]
④ 比較的 방법 : 역사적인 제철학, 교육이념, 또는 각 교육철학의 이념을 상호비교, 서로의 특색을 부각시켜, 장점만을 추출하여 절충적으로 새로운 방향 모색하려는 방법. 브라멜드 [문화적 저망에서 본 교육철학]
⑤ 본질추구적 방법 :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방법. 슈프랑거 [교육학의 전망]
⑥ 방법론적 방법 : 교육학을 학문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방법. 브라운 [교육에 있어서의 일반 철학].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⑦ 주제적 방법 : 하나의 연구와 하나의 주제에 교육의 모든 문제를 고착시키는 방법. 오천석 [발전한국의 교육이념 탐구]
⑧ 절충적 방법 : 위의 방법 절충. 거의 모든 교육철학적 연구는 이렇게. 브로바커 [교육 문제의 역사]

슈프랑거의 文化敎育學에서 파악되는 敎育의 개념.
슈프랑거의 교육사상은 딜타이, 파울센을 통해서 계승된 신인문주의 陶冶的 文化敎育學이다. 이미 슈라이엘 막헬에 의해 표현된 "도야란 문화의 존속발전이다."라는 생각을 채용하여 陶冶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陶冶란 스스로 발전하는 정신의 소질 및 영역에 관련된 모든 객관적 가치가 피교육자의 체험, 심정, 창작 능력에서 활발히 성장되도록 받아들여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베를린 대학 재직 당시의 대서 '훔볼트와 인간성의 이념'(1909)을 발표하여 도야의 세계와 인간 정신의 탐구를 역설했다. 훔볼트의 연구를 위시하여 루터,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찌, 프뤼셀, 괴테, 칸트, 피히테 등의 연구를 통하여 인간성에 관한 도야, 즉 이상주의적 교육이념으로 일관하였다.
슈프랑거의 陶冶觀에는 다음 네 개의 중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① 가치와 인격의식과의 관계이다. 자연주의가 아닌 理想主義이며, 개인주의가 아닌 社會性을 강조했다.
② 단순한 가치 감수와 문화이식이 아니라 생동하고 성숙해 가는 상태의 문화이식과 감수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腐儒的 人間을 만드는 것에 반대했다.
③ 부분적 성장이 아니라 종합적, 전체적 성장을 뜻한다.
④ 각 개인의 생활구조에 합치되어야 한다. 그래야 개성의 이질성과 생활사정의 다양성에 합당해야 참된 도야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는 도덕 가치론에 있어서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영역을 여섯으로 나누어, 인격형성의 여섯 원리는 [生의 形成]에서 논술했다.
과학의 규범적 법칙은 근거의 원리에 입각한 理論人

조직의 유형
1. 파슨즈 유형
*구분기준 : 조직의 목표 및 사회에 대한 기능에 따라
생산조직 - 사회가 소비하는 재화나 비용 등을 생산하는 조직
정치·목표지향적 조직 - 사회내부에 정치권력 배분, 사회에 부여된 가치적 목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
통합적 조직 - 조직의 목표성취를 위해 구성원들간의 갈등해소, 동기유발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구성원들의 활동을 통합하는 조직
유형유지 조직 - 사회의 계속성을 유지하는 기능으로 교육, 문화, 표현 등의 행동을 통하여 이루려는 조직.
*문제점:조직현실이 목적과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 내부구조에 대한 설명 미흡

2. 에치오니의 유형
* 기준 : 조직의 질서와 구조에 있어서 지배-복종의 관계
강제적 조직 - 형무소, 포로수용소처럼 대부분의 구성원이 소외의식을 지니고 있는 조직
공리적 조직 - 기업체, 경제단체처럼 보수를 주된 통제 수단으로 하는 조직
규범적 조직 - 학교나 종교기관처럼 상징적, 도덕적 가치가 주요 수단이 되는 조직
*문제점:위의 요소 외의 것을 소홀히 취급

3. 블라우와 스코트의 유형
*기준 : 수혜자가 누구나
사업조직 : 제조공장이나 금융기관, 보험회사 등과 같이 조직의 소유자가 수혜자가 됨.
호혜조직 : 정당, 노동조합, 종교단체 등과 같이 조직 구성원이 수혜대상자가 됨
공공복리조직 : 군대, 경찰, 소방서와 같이 일반대중이 수혜자
봉사조직 : 학교 병원 재활원과 같이 고객이 수혜자가 됨.
* 문제점: 수혜자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4. 카츠와 칸의 유형
*기준 - 사회의 본질인 기능
생산적 또는 경제적 조직 - 일차적인 산출물, 즉 의식주의 산출의 제공
관리적 또는 정치적 조직 - 행정기관, 정당, 노동조합, 각종 압력단체
적응적 조직 - 대학, 연구기관, 문화예술 활동조직과 같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개발 검증하는 기능
유지조직 - 학교, 종교기관, 병원과 같이 사회의 안정성 유지와 인간의 사회화를 기함으로 사회의 규범적 통합을 유지하려는 조직
*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 기능간의 갈등의 소지가 있었음.

5. 칼슨의 유형
*기준 - 고객 선발의 방법
유형1(야생조직) : 사립대학, 일반 복지 후생기관 등과 같이 고객과 조직이 모두 긍정적 유형2 - 미국 주립대학과 같이 고객이 조직을 선발.
유형3 - 조직이 고객을 선발, 고객은 조직을 선발할 수 없음(이론상에 그침)
유형4 - 교도소처럼 조직과 고객이 모두 부정적.
* 순치조직에서 고객의 동기유발과 조직내의 적응이라는 방법의 문제

사회체제로서 학교조직

장학이론(4)
敎育指導性 이론의 발달
(인간은 조직을 형성하고 그 조직체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온갖 노력을 한다. 이 조직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이나 집단이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指導性이라 한다.)
1. 특성 연구 - 1910-40. Gibb기브, Stogdill스톡딜이 대표
초기의 지도성에 관한 연구는 지도성을 ‘個人의 特性’에 기반을 두고 지도자와 비지도자를 구별하려고 노력하였다.
지도자의 특성 (합리적 사고능력, 지능수준, 지식의 깊이와 넓이/정상인의 체위와 체력, 건강/통찰력, 창의력과 적응력, 진취성, 인내력, 야망 등)
Stogdill - 지능, 능력, 신체적 특성, 인성(EQ), 사회적 배경, 과업지향성의 5가지 영역. 인성은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 곧 자기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의지력을 길러 주는 것.
그러나 개인의 특성이 다양하고 그 많은 특성들을 측정하여 지도자의 특성이 어떤 것이라고 규정하기에는 곤란할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이 지도자들의 공통된 특성을 소유하였다고 해도 반드시 지도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2. 행동 연구 - 1940년대-60년 말.
지도성의 핵심을 지도자의 행동에 두고 지도자에게는 독특한 指導性 類型이 존재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行動的 接近硏究도 역시 실증연구의 결과, 일관성 있는 결론을 얻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도성에 작용하는 여러 가지 狀況的 變數들을 무시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1) Lewin레빈, Lippitt리피트, White화이트
專制型 지도자(집단구성원들에게 신뢰성이 없고 일방통행적인 지시형),
放任型 지도자(집단목표가 명확히 정해져 있지 않고 최소의 의사소통과 집단상호작용이 이루어짐)
民主型 지도자(집단구성원들과의 균형 있는 분배를 꾀하며 개인적인 결정사항이 있을 때는 그 이유를 집단구성원들에게 설명하고 의사전달을 객관적으로 비판하고 부하들을 칭찬한다)
2) 탄넨바움, 슈미트
參與型 지도자(민주적인 유형으로 구성원 각자에게 의사결정에 있어서 참여의 폭을 넓혀준다.)
指示型 지도자(전제적 유형으로 지시적이고 권위적이어서 일반구성원들의 자유영역이 좁다.)
3)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연구 : 높은 구조주도(지도자가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하들의 역할을 규정하고 구조화하는 정도)와 높은 배려가 있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이 두 차원은 지도자의 행동기술조사표(LBDQ)에 의하여 측정된다. 생산성만 강조하다가 보면 구조주도형이 되고, 인간지향성(관용,자유,배려)만 강조하다가 보면 배려형이 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성향의 조화가 가장 바람직한 지도자상이라 할 수 있다.
4) 미시건 대학교의 연구 : Likert리거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에 의하면 감독자의 감독유형은 직무중심과 종업원중심의 양차원으로 분류되는데, 생산성이 높은 부서는 종업원중심 감독이 좋고, 생산성이 낮은 부서는 직무중심 감독자가 좋다.
그리고 감독자의 감독방식에 따르면 생산성이 높은 부서일수록 거시적 감독이 좋고, 생산성이 낮은 부서일수록 미시적 감독이 좋다.
5) Blake와 Mouton모튼은 지도자의 생산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의 양차원으로 구분하고, 그 유형을 無關心型(1·1) 人氣型(1·9) 課業型(9·1) 中度型(5·5) 理想型(9··9)의 5가지로 나누고 이상형을이 가장 효율적인 유형으로 보고 있다.

3. 상황 연구 - Fiedler의 狀況適合理論은 지도성 유형과 지도자의 상황통제력 및 영향관계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도성의 효과성이나 집단의 성과는 이들의 適合에서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결국, 지도성 연구는 상황이라는 변수를 조직이나 집단내에 끌어들임으로써 종래의 특성적 접근연구나 행동적 접근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피들러의 지도성 상황은 한마디로 구성원이 미성숙한 단계이면 독재가 높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겠다.

상황이론은 최근까지도 가장 유력한 지도성 이론을 부각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피들러 같은 학자는 狀況適合理論을 제시하기도 하였는데, 그는 지도자의 指導性 類型과 狀況的 變因들을 결합시켜 지도자의 특성이나 행동적 관점에서 벗어나 어떠한 指導性 類型도 特定한 狀況에 適合하다면 가장 效果的인 統制力과 影響力을 행사할 수 있음 示唆해 주기도 하였다.
2) House의 經路-目標理論의 주된 관심은 집단구성원들의 과업목적을 위한 경로를 자각하는데 있어서 지도자의 영향관계에 두고 있다.
3) Reddin레딘의 三次元的 理論은 지도성의 두 가지 차원, 즉 과업지향형과 관계지향형에 效果性의 측면을 첨가함으로써 3차원적 이론으로 발전시켰다.
4) Hersey허시와 Blanchard블랜차드의 狀況理論의 초점은 부하들의 과업에 대한 成熟度에 적합하고 효과적인 지도성의 유형을 찾는데 있다. 곧 부하들의 성숙수준이 낮으면 지시적 지도유형이 적절하고, 부하들의 성숙수준이 높으면(책임능력 있고 자발성과 자신감이 있음) 위임적 지도성 유형이 적절하다고 하겠다.


敎育工學이 失敗하는 理由는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成功시킬 수 있을까?

요약; 교육공학은 오늘날 대단히 인기가 있는 주제들이다. 여러 가지 혁신적인 교육 방안들, 이럴테면 프로그램 학습 교재, 교수 기계, T.V를 통한 수업, 컴퓨터에 의한 수업(CAI) 등은 학교교육을 혁신시킬 수 있는 교육공학의 산물이라고 환영받고 있다. 그러나 C. Chadwick는 교육공학이 학교교육을 혁신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는 교육을 혁신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여러 가지 새로운 교육방안이라는 것도 결국 전통적인 교육체제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응용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교육공학의 개념은 종합적인 '체제접근'에 입각하여 규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것은 교육의 모든 요인과 그 상호관계 위에서 정립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본다.
교육공학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고 많은 제안과 장미빛 같은 전망도 있었다.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도 다양하고 교육에 시사하는 점도 많고 여러 가지 방안도 제시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교육공학이 실제적으로 교육에 미친 영향은 대단히 미약하다고 본다.

1. 교육의 전통적 모형
전통적인 교수 . 학습모형을 12개의 주요 부분 혹은 요인으로 나누어 본다. 이 12개 요인들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교수 . 학습모형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정보전달의 일차적 수단으로서 교사라고 불리우는 사람이다. 교사는 정보전달의 이차적 전달수단인 교과서의 도움을 받는다. 교사는 정보의 주요 원천일 뿐만 아니라 해설자이다.
② 의사결정으로서 전통적 모형에서는 일반적으로 학급운영의 주도권이 교사 한 사람에게 있다. 교사는 학급 내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수많은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③ 정보의 제시형태인데 주로 언어적 형태인 경우가 많다. 교사가 제시할 때는 구어/언적이고 교과서를 통해 제시할 때는 시각/언어적 형태를 취하는 겅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내용은 언어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내용에 국한되기 쉽다.
④ 정보의 수령자로서 학생들의 역할이다. 학생들은 수동적인 입장에서 마치 스폰지나 우편함과 같다. 이와 같은 상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오래 지속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질문을 한다고 해서 이와 같은 상황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
⑤ 수업은 대체로 집단형태로 이루어 진다. 미국의 초.중.고등학교의 교사 일인당 학생수의 전국 평균은 19.2이다(1974~75, 통계연보). 서반구의 저개발국가는 그 비율이 30~70:1로서 이보다 더 나쁜 국가도 있다. 만약 어떤 교사가 자기 시간의 25%를 개개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할애한다면 각 학생에게 돌아오는 시간은 전체 시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교사가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집단 전체의 욕구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을 뜻한다.
⑥ 학습자료의 양에 관계없이 수업시간은 고정되어 있다.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약간 융통성있게 조정될 수 있지만 중등학교 수준에서는 주업시간이 45~55분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⑦ 학습에 대한 근본 책임은 학생에게 돌아간다. 물론 학습과제를 체계화시켜 잘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과 같은 것은 교사의 책임이다. 그러나 학생이 학습을 하고 안하고는 학생 자신의 책임이다.
이상의 일곱 가지의 요인은 전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변동의 여지가 전혀 없으며 전달수단, 교사의 역할, 자료제시형태 등에 아무런 융통성이 없다.
⑧ 다음 요인은 교과내용이다. 언어적 제시형태, 일차적 전달수단으로서의 교사, 고정된 수업시간, 학생들의 수동적 역할 등을 고려해 볼 때 교과 내용이 주로 언어적 정보가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⑨ 평가방법은 교사가 제시한 언어적 정보를 암기하거나 암송하는 형태나 방법이다.
⑩ 평가목적으로서 일반적으로 총괄평가이다. 평가는 매월 혹은 한 학기에 두 번 혹은 네 번에 걸쳐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인 목표는 학생들이 제시된 교과내용을 어느 정도 학습하였는지 확인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⑪ 평가회수이다. 이 전통적 모형에서는 총괄평가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실시하는데 일반적으로 학기말이나 학년말의 시험은 가장 중요하다.
⑫ 비교의 기준으로서 타학생이 비교의 기준이 된다. 이것이 소위 규준지향 평가방법으로서 전통적인 모형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오늘날 교육목표는 변화하였지만 그에 따른 교육방법이나 과정은 옛날 그대로 남아 있었다. 즉, 소수 일레트교육을 담당했던 전통적.선택적 교수모형이 대중.일반교육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2. 새로운 교육공학적 교수 모형
전통적 교수모형에는 수정 보완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는 것은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나 그것이 수정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찾아 볼 수 없다. 전통적 교수.학습모형을 변화시키는 합리적 방안은 무엇인가?
① 전달매체의 사용이다. 새로운 모형은 한두 개의 매체에 의존하는 대신 광범위한 매체를 사용한다. 따라서 교사나 인쇄된 언어매체 뿐만 아니라 시청각매체도 포함된다.
② 교수.학습상황에서의 교사의 역할이다. 새로운 모형에서는 학습 내에서 모든 중요사항을 교사 혼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 특히 학생도 포함되어, 같이 결정하고 책임도 나누어 진다는 점이다.
③ 자료의 제시형태로서 매체의 성격, 교과내용, 수업상황에서 요구되는 학생들의 반응 형태 등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
④ 학생의 역할로서 완전한 수동적인 상태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참여자로 그 역할이 변화되어야 한다.
⑤ 이 교육공학적 모형에서의 수업은 개개 학생들의 욕구를 종합하거나 집단 전체의 욕구를 근거로 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수업은 가급적 개별화 시키되, 학생들 개개인의 욕구를 고려하면서 집단수업, 소집단 활동과 토의학습, 동료학생의 협력학습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⑥ 수업시간으로서 수업시간은 학생들의 개인간 차이 뿐만 아니라 개인내 차이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배정되어야 한다. 수업시간의 변이범위는 거급적 넓은 것이 좋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